목차
1. 핵심내용정리
2. 객관식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2. 객관식 기출문제
3. 해답과 풀이
4. 주관식 기출문제
5.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④
36. ④
37. ④
38. ②
39. ④
40. ③
동녕부는 서경에 설치되었던 기구이다.
41. ②
윤관은 여진을 정벌하여 동북 9성을 쌓았고, 서희는 거란의 침입 때 외교 담판으로 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
42. ③
고려 후기의 지배 세력으로 등장한 것은 권문 세족이었다. 이들은 친원적인 보수 세력으로 개혁 정치를 반대하였다.
43. ⑤
전시과 체제는 고려 전기 문벌 귀족들이 대토지를 소유하게 되면서 무너지게 되었다.
44. ③
지도는 공민왕 때 수복된 영토를 나타낸 것이다.
45. ②
고려 말에는 중국에서 홍건적이, 그리고 서남 해안에는 왜구가 침입해 왔다.
46. ②
신진 사대부는 성리학을 받아들이고 불교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47. ④
무신 정변 이후 선종이 조계종으로 통합되어 교세를 크게 떨쳤다.
48. ④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들 중 가장 오래된 것은 고려 시대의 것들이다.
49. ①
고려 전기에는 의천이, 고려 후기에는 지눌이 교종과 선종의 융합을 통한 고려 불교계의 통합을 추구하였다.
50. ③
고려 말의 사대부들은 성리학을 받아들여 불교를 비판하였다.
51. ①
무신 정권은 기존 세력인 문벌 귀족을 누르기 위해 교종을 억압하고 선종을 후원하였다.
52. ④
농장을 소유하고 사원과 결탁한 보수 세력은 권문 세족이다.
53. ①
지행 합일은 양명학에서 강조하는 실천 윤리이다.
54. ⑤
균여 대사의 향가 11수는 고려 전기에 해당한다.
55. ⑤
①-일연 ②-김대문 ③-이승휴 ④-각훈
56. ③
팔만 대장경은 불교 신앙심으로 몽고의 침입을 격퇴시키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57. ⑤
한글 소설의 내용을 소재로 한 판소리와 창극은 조선 후기에 발달하였다.
58. ①
②-통일 신라 시대 ③-혜허의 그림 ④-최우 ⑤-대성악은 송에서 수입
1. 다음에서 설명하는 저서는? (개워, 상원)
1377년 흥덕사에서 간행된 것으로 금속 활자로 인쇄된 책 중에서 지금까지 세계에서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책
2. 다음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공민 왕 개혁 정치의 근본적인 목적을 쓰시오. (중동, 목일)
정동 행성의 폐지 관제의 복구
영토의 회복 몽고풍 금지
3.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화포를 제작, 진포 해전에서 왜적을 크게 무찌른 고려의 장수를 쓰시오. (둔촌, 동원)
4. 다음 내용과 관계 깊은 고려 후기의 기관을 쓰시오. (정신여중, 명성여중)
고려 후기 공민왕 때 신돈의 건의로 국가의 사회, 경제적 기반을 이루는 토지(田)와 노비(民)를 정비하기 위하여 설치된 특별 관청이다.
5. 다음
안에 들어갈 내용을 각각 쓰시오. (동신, 상일여중)
공민왕이 개혁 정치를 추진하고 있을 때, 밖으로는 과가 침입해 왔으며, □과 □이 바뀌면서 대외 관계에 큰 변동이 일어났다.
6. 고려 시대에 <보기>와 같은 정책을 실시한 공통적인 목적이 무엇인지 간 단히 쓰시오. (풍납, 마포)
광종은 노비 안검법을 실시하였다.
성종은 12목에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공민왕은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였다.
7. 다음 보기의 건축물들이 갖고 있는 문화적 특징을 무엇이라 하는지 쓰시오.
(동북, 동명)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8. 고려 후기 승려 일연이 불교적 관점에서 쓴 역사서로 단군 이야기, 향가 등 귀중한 자료가 실린 책을 쓰시오. (풍납여중, 마포여중)
9. 고려 충렬왕 때 원으로부터 성리학을 처음 받아들여 소개한 학자의 이름 을 쓰시오. (동덕여중, 서라벌)
10. <보기> 내용과 관계 깊은 고려 시대의 석탑을 쓰시오. (진선여중, 구의)
원의 영향을 받았다.
목조 건축 양식을 잘 나타내고 있다.
조선 시대의 원각사지 10층 석탑에 영향을 주었다.
11. <보기>의 내용과 관계 있는 고려의 승려를 쓰시오. (도곡, 건대사대부속)
조계종의 교세를 크게 발전시킴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융합하고자 함
12. 다음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연구하였던 학문을 쓰시오. (휘문, 과천)
안향 백이정 이제현 길재 정몽주
13.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고려 시대의 인물을 쓰시오. (대치, 서연)
그의 나이 16세에 부친이 임종할 때에 훈계하기를 “네가 마땅히 황금을 보기를 돌과 같이 하라”하니 그가 명심하여 이익에 눈을 두지 않고 거처하는 집이 심히 누추하여도 편안하게 지냈으며 의복과 음식이 매우 검소하였다. 살찐 말을 타고 사치스런 옷을 입은 자를 보면 개, 돼지와 같이 여겼고, 그가 비록 지위는 장군과 재상을 겸하여 오래 동안 군사권을 맡았으나 뇌물을 받지 않으니 세상 사람들이 그의 청백함을 탄복하였다.
<「고려사」에서 인용>
14. 김달호 군은 자신이 사귀고 있는 한 외국 학생에게 우리 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었다. 다음 내용을 통해 볼 때 김달호 학생이 자랑하려고 하는 발명품은 무엇인지 쓰시오. (한영, 과천문원)
한국의 선조들은 옛부터 책을 매우 좋아했습니다. 그래서 이웃 나라인 중국과 교역을 하면서도 책을 구입하는데 아주 적극적이었습니다. 책을 좋아하고 많이 읽다 보니 책을 만드는 데도 정성이 이만 저만이 아니었죠. 신라 왕조 때부터는 정성껏 목판에 새겨서 여러 권의 책을 만들기도 하였는데, 마침내 고려 시대 후기에 이르면서 목판에 새기는 것보다는 훨씬 더 편한 방법으로 책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어요. 이러한 일은 우리 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되었어요. 유럽의 구텐베르크가 만든 것보다도 200년이나 먼저 우리가 만들었거든요.
15. 공민왕의 다음와 같은 개혁 정치에 방해가 되었던 세력을 쓰시오.
(대청, 경성)
친원파를 숙청하고 정방을 폐지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세력가들이 불법으로 차지하고 있던 많은 토지와 노비를 원래의 주인에게 되돌려 주고 노비를 해방시켰다.
주관식 기출문제
1. 직지 심경(직지 심체 요절)
2. 자주성 회복
3. 최무선
4. 전민변정도감
5. 홍건적, 왜구
6. 왕권 강화
7. 엔타시스 양식
8. 삼국유사
9. 안향
10. 경천사 10층 석탑
11. 지눌
12. 성리학
13. 최영
14. 금속활자
15. 권문세족
36. ④
37. ④
38. ②
39. ④
40. ③
동녕부는 서경에 설치되었던 기구이다.
41. ②
윤관은 여진을 정벌하여 동북 9성을 쌓았고, 서희는 거란의 침입 때 외교 담판으로 강동 6주를 획득하였다.
42. ③
고려 후기의 지배 세력으로 등장한 것은 권문 세족이었다. 이들은 친원적인 보수 세력으로 개혁 정치를 반대하였다.
43. ⑤
전시과 체제는 고려 전기 문벌 귀족들이 대토지를 소유하게 되면서 무너지게 되었다.
44. ③
지도는 공민왕 때 수복된 영토를 나타낸 것이다.
45. ②
고려 말에는 중국에서 홍건적이, 그리고 서남 해안에는 왜구가 침입해 왔다.
46. ②
신진 사대부는 성리학을 받아들이고 불교의 폐단을 비판하였다.
47. ④
무신 정변 이후 선종이 조계종으로 통합되어 교세를 크게 떨쳤다.
48. ④
우리 나라에 남아 있는 목조 건물들 중 가장 오래된 것은 고려 시대의 것들이다.
49. ①
고려 전기에는 의천이, 고려 후기에는 지눌이 교종과 선종의 융합을 통한 고려 불교계의 통합을 추구하였다.
50. ③
고려 말의 사대부들은 성리학을 받아들여 불교를 비판하였다.
51. ①
무신 정권은 기존 세력인 문벌 귀족을 누르기 위해 교종을 억압하고 선종을 후원하였다.
52. ④
농장을 소유하고 사원과 결탁한 보수 세력은 권문 세족이다.
53. ①
지행 합일은 양명학에서 강조하는 실천 윤리이다.
54. ⑤
균여 대사의 향가 11수는 고려 전기에 해당한다.
55. ⑤
①-일연 ②-김대문 ③-이승휴 ④-각훈
56. ③
팔만 대장경은 불교 신앙심으로 몽고의 침입을 격퇴시키기 위하여 만들어졌다.
57. ⑤
한글 소설의 내용을 소재로 한 판소리와 창극은 조선 후기에 발달하였다.
58. ①
②-통일 신라 시대 ③-혜허의 그림 ④-최우 ⑤-대성악은 송에서 수입
1. 다음에서 설명하는 저서는? (개워, 상원)
1377년 흥덕사에서 간행된 것으로 금속 활자로 인쇄된 책 중에서 지금까지 세계에서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책
2. 다음의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 공민 왕 개혁 정치의 근본적인 목적을 쓰시오. (중동, 목일)
정동 행성의 폐지 관제의 복구
영토의 회복 몽고풍 금지
3. 화통도감을 설치하여 화포를 제작, 진포 해전에서 왜적을 크게 무찌른 고려의 장수를 쓰시오. (둔촌, 동원)
4. 다음 내용과 관계 깊은 고려 후기의 기관을 쓰시오. (정신여중, 명성여중)
고려 후기 공민왕 때 신돈의 건의로 국가의 사회, 경제적 기반을 이루는 토지(田)와 노비(民)를 정비하기 위하여 설치된 특별 관청이다.
5. 다음
안에 들어갈 내용을 각각 쓰시오. (동신, 상일여중)
공민왕이 개혁 정치를 추진하고 있을 때, 밖으로는 과가 침입해 왔으며, □과 □이 바뀌면서 대외 관계에 큰 변동이 일어났다.
6. 고려 시대에 <보기>와 같은 정책을 실시한 공통적인 목적이 무엇인지 간 단히 쓰시오. (풍납, 마포)
광종은 노비 안검법을 실시하였다.
성종은 12목에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공민왕은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였다.
7. 다음 보기의 건축물들이 갖고 있는 문화적 특징을 무엇이라 하는지 쓰시오.
(동북, 동명)
봉정사 극락전 부석사 무량수전
8. 고려 후기 승려 일연이 불교적 관점에서 쓴 역사서로 단군 이야기, 향가 등 귀중한 자료가 실린 책을 쓰시오. (풍납여중, 마포여중)
9. 고려 충렬왕 때 원으로부터 성리학을 처음 받아들여 소개한 학자의 이름 을 쓰시오. (동덕여중, 서라벌)
10. <보기> 내용과 관계 깊은 고려 시대의 석탑을 쓰시오. (진선여중, 구의)
원의 영향을 받았다.
목조 건축 양식을 잘 나타내고 있다.
조선 시대의 원각사지 10층 석탑에 영향을 주었다.
11. <보기>의 내용과 관계 있는 고려의 승려를 쓰시오. (도곡, 건대사대부속)
조계종의 교세를 크게 발전시킴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융합하고자 함
12. 다음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연구하였던 학문을 쓰시오. (휘문, 과천)
안향 백이정 이제현 길재 정몽주
13.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고려 시대의 인물을 쓰시오. (대치, 서연)
그의 나이 16세에 부친이 임종할 때에 훈계하기를 “네가 마땅히 황금을 보기를 돌과 같이 하라”하니 그가 명심하여 이익에 눈을 두지 않고 거처하는 집이 심히 누추하여도 편안하게 지냈으며 의복과 음식이 매우 검소하였다. 살찐 말을 타고 사치스런 옷을 입은 자를 보면 개, 돼지와 같이 여겼고, 그가 비록 지위는 장군과 재상을 겸하여 오래 동안 군사권을 맡았으나 뇌물을 받지 않으니 세상 사람들이 그의 청백함을 탄복하였다.
<「고려사」에서 인용>
14. 김달호 군은 자신이 사귀고 있는 한 외국 학생에게 우리 나라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설명하고 있었다. 다음 내용을 통해 볼 때 김달호 학생이 자랑하려고 하는 발명품은 무엇인지 쓰시오. (한영, 과천문원)
한국의 선조들은 옛부터 책을 매우 좋아했습니다. 그래서 이웃 나라인 중국과 교역을 하면서도 책을 구입하는데 아주 적극적이었습니다. 책을 좋아하고 많이 읽다 보니 책을 만드는 데도 정성이 이만 저만이 아니었죠. 신라 왕조 때부터는 정성껏 목판에 새겨서 여러 권의 책을 만들기도 하였는데, 마침내 고려 시대 후기에 이르면서 목판에 새기는 것보다는 훨씬 더 편한 방법으로 책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었어요. 이러한 일은 우리 나라에서 세계 최초로 시작되었어요. 유럽의 구텐베르크가 만든 것보다도 200년이나 먼저 우리가 만들었거든요.
15. 공민왕의 다음와 같은 개혁 정치에 방해가 되었던 세력을 쓰시오.
(대청, 경성)
친원파를 숙청하고 정방을 폐지하여 왕권을 강화하였다.
세력가들이 불법으로 차지하고 있던 많은 토지와 노비를 원래의 주인에게 되돌려 주고 노비를 해방시켰다.
주관식 기출문제
1. 직지 심경(직지 심체 요절)
2. 자주성 회복
3. 최무선
4. 전민변정도감
5. 홍건적, 왜구
6. 왕권 강화
7. 엔타시스 양식
8. 삼국유사
9. 안향
10. 경천사 10층 석탑
11. 지눌
12. 성리학
13. 최영
14. 금속활자
15. 권문세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