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각(知覺)
2 들판에서
보충심화
2 들판에서
보충심화
본문내용
(가)(마)
② (나)(가)(라)(다)(마)
③ (나)(다)(가)(라)(마)
④ (나)(가)(다)(라)(마)
⑤ (가)(나)(다)(라)(마)
[글의 주제] ★
(마)에서 벽을 허무는 행위가 궁극적으로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①
① 민족 분단의 극복② 가족 공동체의 회복
③ 신뢰하는 사회 구축④ 선진 문화를 받아들임
⑤ 경제 개발로 가난에서 벗어남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8~25)
(가) 형 : 그럼 내가 그 쪽으로 넘어갈까?
아우:아뇨! 넘어오지 말아요! 내 눈을 안 보이게 하고 넘어온다니 무슨 흉계죠?
형 : 난 아무 흉계도 없어. 넘어간다.
아우:넘어오면 쏩니다! (허공을 향해 위협적으로 ㉠총을 발사한다.) 이건 진짜 총이에요!
형, 요란한 총 소리에 놀라 전망대에서 황급히 내려온다. 그는 두려움에 질린 모습이 되어 움츠리고 앉는다. 측량 기사, 가죽 가방을 든 두 명의 조수와 함께 등장한다.
측량기사 : 저 쪽 동생이 미쳤군요. 형님에게 총질을 하다니!
조수들 : ( ㉡ ) 완전히 미쳤어요.
형 : 무서워요…….
측량 기사 : 이젠 동생이 아니라, 적이라고 생각하는 게 좋겠어요. 철저히 무장하고 자신을 지켜야지, 가만 있다간 죽게 됩니다. (조수들에게) 여봐, 이분에게 총을 드려.
(나) 아우 : 비가 그치고, 산들바람이 부는군.
형 : 저 벽을 자유롭게 넘어갈 수만 있다면……. 가만있어 봐. 민들레꽃은 씨를 맺으면 어떻게 되지? 바람을 타고 멀리멀리 날아가잖아?
아우 : 햇빛이 비치니까 샛노란 민들레꽃이 더 예쁘게 보여.
형:이 꽃을 꺾어서 벽 너머로 던져 주어야지. 동생이 이 민들레꽃을 보면, 진짜 내 마음을 알아 줄 거야.
아우:형님에게 이 꽃을 드리겠어. 벽 너머의 형님이 이 꽃을 받으면, 동생인 나를 생각하겠지.
형과 아우, 민들레꽃을 여러 송이 꺾는다. 그리고 벽으로 다가가서 민들레꽃을 벽 너머로 서로 던져 준다. 형은 아우가 던져 준 꽃들을 주어들고 반색하고, 아우는 형이 던진 꽃들을 주워들고 기뻐한다. 서로 벽을 두드리며 외친다.
아우 : 형님, 내 말 들려요?
형 : 들린다, 들려! 너도 내 말 들리냐?
아우 : 들려요!
형 : 우리, ㉢벽을 허물기로 하자!
아우 : 네, 그래요. 우리 함께 빨리 벽을 허물어요!
무대 조명. ㉣서서히 꺼진다. 다만, ㉤무대 뒤쪽의 들판 풍경을 그린 걸개그림만이 환하게 밝다. 막이 내린다.
[극단적 대립 관계] ★★★
위 글에서 형과 아우의 극단적 대립 관계를 가장 잘 나타낸 대사는? ⑤
①아우 : 왜 그런 불빛으로 나를 비추죠?
②아우 : 내 눈을 안 보이게 하고 넘어온다니 무슨 흉계죠?
③아우 : 넘어오지 말아요.
④측량 기사 : 저 쪽 동생이 미쳤군요.
⑤측량 기사 : 적이라고 생각하는 게 좋겠어요.
[시나리오의 촬영 기호] ★★★
위 글을 시나리오로 고쳐 쓸 때, ㉠에 어울리는 촬영 기호는? ①
①E.②F.I.③F.O.
④C.U.⑤O.L.
[지시문 쓰기] ★★★
㉡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지시문은? ①
①웃으며②심각한 표정으로
③지나치게 흥분하여④몹시 걱정하는 척하며
⑤겁에 질려서 벌벌 떨며
[시의 주제] ★★★
조국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을 이루자.
㉢을 다음의 시와 연관지어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쓰시오.
오라, 이 강변으로
우리는 하나, 만나야 할 핏줄,
마침내 손잡을 그 날을 기다린다.
그 날이 오면, 끊어진 허리
동강난 세월들 씻은 듯 나으리라.
너의 주름과 나의 백발도
이 땅의 아름다운 꽃이 되리라.
오늘도 여기 서서 너를 기다린다.
[대사의 의미 파악] ★★★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형의 대사를 쓰시오. 우리, 벽을 허물기로 하자!
이 대사는 예전의 다정하고 평화로웠던 시절로 되돌아 가려는 의지를 표현하는 한편, 독자들에게 우리 민족의 절실한 과제를 문학적으로 상기시키려 한다.
[한자 성어] ★★★
(나)에 나타난 형과 아우의 대사의 내용과 관계 깊은 한자 성어는? ①
①이심전심(以心傳心)②자업자득(自業自得)
③사필귀정(事必歸正)④정문일침(頂門一鍼)
⑤타산지석(他山之石)
[시나리오의 촬영 기호]
㉣에 알맞은 시나리오 용어는? ②
①F.I.②F.O.③O.L.
④S#⑤INS.
[작가의 이해] ★★★
㉤을 통해 작가가 나타내고자 한 것과 거리가 먼 것은? ②
①감동의 여운을 이어간다.
②독자(관객)의 호기심을 유발한다.
③평화와 아름다움의 회복을 상징한다.
④지향해야 하는 우리 민족의 모습을 제시한다.
⑤작품에 나타난 결말 이후의 상황을 암시한다.
② (나)(가)(라)(다)(마)
③ (나)(다)(가)(라)(마)
④ (나)(가)(다)(라)(마)
⑤ (가)(나)(다)(라)(마)
[글의 주제] ★
(마)에서 벽을 허무는 행위가 궁극적으로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①
① 민족 분단의 극복② 가족 공동체의 회복
③ 신뢰하는 사회 구축④ 선진 문화를 받아들임
⑤ 경제 개발로 가난에서 벗어남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18~25)
(가) 형 : 그럼 내가 그 쪽으로 넘어갈까?
아우:아뇨! 넘어오지 말아요! 내 눈을 안 보이게 하고 넘어온다니 무슨 흉계죠?
형 : 난 아무 흉계도 없어. 넘어간다.
아우:넘어오면 쏩니다! (허공을 향해 위협적으로 ㉠총을 발사한다.) 이건 진짜 총이에요!
형, 요란한 총 소리에 놀라 전망대에서 황급히 내려온다. 그는 두려움에 질린 모습이 되어 움츠리고 앉는다. 측량 기사, 가죽 가방을 든 두 명의 조수와 함께 등장한다.
측량기사 : 저 쪽 동생이 미쳤군요. 형님에게 총질을 하다니!
조수들 : ( ㉡ ) 완전히 미쳤어요.
형 : 무서워요…….
측량 기사 : 이젠 동생이 아니라, 적이라고 생각하는 게 좋겠어요. 철저히 무장하고 자신을 지켜야지, 가만 있다간 죽게 됩니다. (조수들에게) 여봐, 이분에게 총을 드려.
(나) 아우 : 비가 그치고, 산들바람이 부는군.
형 : 저 벽을 자유롭게 넘어갈 수만 있다면……. 가만있어 봐. 민들레꽃은 씨를 맺으면 어떻게 되지? 바람을 타고 멀리멀리 날아가잖아?
아우 : 햇빛이 비치니까 샛노란 민들레꽃이 더 예쁘게 보여.
형:이 꽃을 꺾어서 벽 너머로 던져 주어야지. 동생이 이 민들레꽃을 보면, 진짜 내 마음을 알아 줄 거야.
아우:형님에게 이 꽃을 드리겠어. 벽 너머의 형님이 이 꽃을 받으면, 동생인 나를 생각하겠지.
형과 아우, 민들레꽃을 여러 송이 꺾는다. 그리고 벽으로 다가가서 민들레꽃을 벽 너머로 서로 던져 준다. 형은 아우가 던져 준 꽃들을 주어들고 반색하고, 아우는 형이 던진 꽃들을 주워들고 기뻐한다. 서로 벽을 두드리며 외친다.
아우 : 형님, 내 말 들려요?
형 : 들린다, 들려! 너도 내 말 들리냐?
아우 : 들려요!
형 : 우리, ㉢벽을 허물기로 하자!
아우 : 네, 그래요. 우리 함께 빨리 벽을 허물어요!
무대 조명. ㉣서서히 꺼진다. 다만, ㉤무대 뒤쪽의 들판 풍경을 그린 걸개그림만이 환하게 밝다. 막이 내린다.
[극단적 대립 관계] ★★★
위 글에서 형과 아우의 극단적 대립 관계를 가장 잘 나타낸 대사는? ⑤
①아우 : 왜 그런 불빛으로 나를 비추죠?
②아우 : 내 눈을 안 보이게 하고 넘어온다니 무슨 흉계죠?
③아우 : 넘어오지 말아요.
④측량 기사 : 저 쪽 동생이 미쳤군요.
⑤측량 기사 : 적이라고 생각하는 게 좋겠어요.
[시나리오의 촬영 기호] ★★★
위 글을 시나리오로 고쳐 쓸 때, ㉠에 어울리는 촬영 기호는? ①
①E.②F.I.③F.O.
④C.U.⑤O.L.
[지시문 쓰기] ★★★
㉡에 들어갈 가장 알맞은 지시문은? ①
①웃으며②심각한 표정으로
③지나치게 흥분하여④몹시 걱정하는 척하며
⑤겁에 질려서 벌벌 떨며
[시의 주제] ★★★
조국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을 이루자.
㉢을 다음의 시와 연관지어 그 의미를 구체적으로 쓰시오.
오라, 이 강변으로
우리는 하나, 만나야 할 핏줄,
마침내 손잡을 그 날을 기다린다.
그 날이 오면, 끊어진 허리
동강난 세월들 씻은 듯 나으리라.
너의 주름과 나의 백발도
이 땅의 아름다운 꽃이 되리라.
오늘도 여기 서서 너를 기다린다.
[대사의 의미 파악] ★★★
다음의 설명에 해당하는 형의 대사를 쓰시오. 우리, 벽을 허물기로 하자!
이 대사는 예전의 다정하고 평화로웠던 시절로 되돌아 가려는 의지를 표현하는 한편, 독자들에게 우리 민족의 절실한 과제를 문학적으로 상기시키려 한다.
[한자 성어] ★★★
(나)에 나타난 형과 아우의 대사의 내용과 관계 깊은 한자 성어는? ①
①이심전심(以心傳心)②자업자득(自業自得)
③사필귀정(事必歸正)④정문일침(頂門一鍼)
⑤타산지석(他山之石)
[시나리오의 촬영 기호]
㉣에 알맞은 시나리오 용어는? ②
①F.I.②F.O.③O.L.
④S#⑤INS.
[작가의 이해] ★★★
㉤을 통해 작가가 나타내고자 한 것과 거리가 먼 것은? ②
①감동의 여운을 이어간다.
②독자(관객)의 호기심을 유발한다.
③평화와 아름다움의 회복을 상징한다.
④지향해야 하는 우리 민족의 모습을 제시한다.
⑤작품에 나타난 결말 이후의 상황을 암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