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한문 3-04 한자의 쓰임 02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핵심기출문제 정답

본문내용

⑤ 三省
25. 다음 중, 부수의 위치가 같은 것은?
① 强 … 動
② 應 … 書
③ 旗 … 新
④ 發 … 素
⑤ 兵 … 藝
26. 다음 문장에서 한자어가 잘못 쓰인 것은?
① 우리 엄마는 純金 반지를 잃어버리셨다.
② 내 친구 수진이는 藝能에 소질이 많다.
③ 오늘 아침 食單은 내가 좋아하는 것들로만 짜였다.
④ 일본이 아무리 억지 주장을 해도 獨島는 우리 땅이다.
⑤ 어제 우리 담임 선생님께서 지희가 입원한 병원을 放問하셨다.
27. ‘藝’와 어울려 한자어를 만들 때, 어색한 것은?
① 祖
② 術
③ 文
④ 技
⑤ 書
28. 다음 설명과 밀접한 세시 풍속은?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 이 날은 불을 때지 않고 찬밥을 먹던 풍습이 있으며, 제향을 지내고 산소에 성묘하고 떼를 입히는 일도 한다.
① 七夕
② 秋夕
③ 寒食
④ 元日
⑤ 上元
29. 인간 관계의 유형에 따라 지켜야 할 유교적 윤리 규범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① 부모와 자식 사이 - 序
② 임금과 신하 사이 - 義
③ 친구와 친구 사이 - 烈
④ 형과 아우 사이 - 親
⑤ 부부 사이 - 孝
30. 조국 통일을 위해 계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① 書信往來
② 文物交流
③ 親知訪問
④ 南北對話
⑤ 赤化統一
31. 다음 한자어가 ‘지식이나 기능의 교육에만 치우치지 않고, 바람직한 인간으로 기르려고 하는 교육’이라는 뜻을 갖도록 할 때 □□에 알맞은 것은?
□□敎育
① 家庭
② 義務
③ 早期
④ 中等
⑤ 全人
32. 다음 한자성어에 쓰인 ‘不’과 독음이 같은 것은?
學如不及
① 不知
② 不足
③ 不可
④ 不德
⑤ 不正
33. 다음 문장에 쓰인 한자어의 표기가 바르지 못한 것은?
① 외모의 細練됨보다는 그 사람의 됨됨이를 중시해야 한다.
② 敎育의 목적은 장래 생활을 위해 준비하는 데 있다.
③ 나의 自我는 나의 친구인 동시에 나의 적이다.
④ 오늘의 잘못을 反省의 계기로 삼을 때 진정한 발전을 이룰 수 있다.
⑤ 우수한 기술자를 養成하는 일이야말로 경제 성장의 관건이 된다.
34. 다음 문장에서 밑줄 친 한자의 새김은?
敎育, 國家百年之大計也
① ~면
② ~이다
③ ~라야
④ ~보다
⑤ ~고
핵심기출문제정답
1. ①
制(제), 造(조) : 짓다(만들다)
2. ⑤
爲의 쓰임
① ~이 되다
② 을 하다
③ 을 삼다
④ 을 위하다
3. ④
4. ②
素 : ①겉, 거죽 ② 나타내다
5. ③
公私(공사), 先後(선후), 强弱(강약), 高低(고저) ⇒ 대립관계
協力⇒ 술목관계
6. ②
① 배우는 것은 미치지 못할 것같이 하라.
② 날로 나아가고 달로 나아가다.
③ 처음과 끝이 한결같다.
④ 처음에 품은 뜻이 변하지 않는다.
⑤ 묵은 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함.
7. ⑤
자아, 성찰, 수련
8. ②
設설: 세우다, 가령(설)
說 ┏ 말하다(설)
├ 기쁘다(열)
┗ 달래다(세)
9. ③
又부 2획
10. ①
目부 4획
11. ⑤
유사관계
12. ①
가늘 세, 인간 세, 씻을 세
13. ⑤
모양이 비슷한 한자에 주의 할 것.
14. ②
유사관계의 한자어를 찾는 문제이다.
15. ③
相→目, 來→人, 知→矢
16. ②
‘民族’의 앞이나 뒤에 단어를 넣어서 4자성어를 만들어 보자
17. ④
純 : 순수하다 순
減 : 덜다 감
18. ④
등불을 가까이 할 만하다.(독서하기 좋은 계절을 뜻함)
19. ②
해는 동쪽 산에서 뜬다. →서술어를 찾는다.
20. ②
이치를 연구함은 책을 읽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 없다.
책 읽기를 백 번 하면 그 뜻이 저절로 드러난다.
21. ①
22. ①
① 간지, ② 갑자, ③ 병인, ④ 무진, ⑤ 신미
23. ①
② 及 : 미칠 급, ③ 細 : 가늘 세, ④ 洗 : 씻을 세, ⑤ 枝 : 가지 지
24. ④
마음 심, 몸 신
25. ②
旗→ 方, 新→ 斤, 兵→ 八, 藝→ 艸
26. ⑤
우선 한자어를 해석해 보자
27. ①
‘藝’를 한자의 앞과 뒤에 넣어 한자어를 만들어 보자
28. ③
① 음력 7월 7일의 밤, 이날 밤에 견우성과 직녀성이 오작교를 건너서 만났다고 한다.
② 중추절, 한가위
③ 한식
④ 설날
⑤ 대보름
29. ②
① 父子有親
② 君臣有義
③ 朋友有信
④ 兄友弟恭 : 형제가 서로 우애를 다함.
⑤ 夫婦有別
30. ⑤
赤化(적화) : 붉게 됨, 공산주의화함
31. ⑤
온전할 전, 사람 인
32. ③
‘不’은 ‘ㄷ, ㅈ’앞에서는 ‘부’로 읽힌다.
33. ①
細(세) : 가늘다 洗(세) : 씻다
34. ②

키워드

적화,   음력,   한식,   대보름,   독음,   부수,   제부수,   설날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6.12.04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44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