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핵심기출문제
2. 해답과 풀이
2. 해답과 풀이
본문내용
와 대나무는 高常한 절개의 상징으로 여긴다.
15. 한자의 음이 서로 같은 것은?
① 悟 … 柔
② 剛 … 角
③ 歡 … 安
④ 聲 … 城
⑤ 枝 … 犬
16. 다음 문장을 우리말로 해석할 때, 마지막으로 풀이해야 할 한자는?
盡人事待天命
① 盡
② 人
③ 事
④ 待
⑤ 天
17. 다음 중, ‘而’의 쓰임이 다른 하나는?
① 知彼而知己
②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③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④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⑤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
18. 다음 성어의 내용과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은?
種 豆 得 豆
① 因果
② 勸學
③ 經驗
④ 勸勉
⑤ 忠言
19. 보기
의 □안에 공통으로 들어가야 할 것은?
□熱治熱 □心傳心
① 則
② 而
③ 之
④ 以
⑤ 於
20. 이순신 장군, 안중근 의사 등과 관련지을 수 있는 한자 성어는?
① 殺身成仁
② 日就月將
③ 泰然自若
④ 外柔內剛
⑤ 忘年之交
21. 한자의 뜻과 음이 바른 것은?
① 慈 : 사랑할 심
② 泰 : 받들 봉
③ 柔 : 창 모
④ 致 : 이룰 치
⑤ 親 : 볼 견
22. 다음 한자 중, 부수가 ‘心’인 한자는?
① 慈
② 泰
③ 億
④ 待
⑤ 盡
23. ‘親’과 결합한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① 慈親
② 親分
③ 親密
④ 親舊
⑤ 親正
24. 보기
와 같은 짜임의 한자어는?
金石(□-□)
① 知己
② 望月
③ 言行
④ 責望
⑤ 病勢
25. 다음 속담과 관계 깊은 한자 성어는?
빛 좋은 개살구
① 父慈子孝
② 外柔內剛
③ 外華內貧
④ 一家和親
⑤ 漁父之利
26. 다음 문장이 공통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것은?
樹欲靜而風不止하고, 子欲養而親不待니라.
君聖이면 臣忠하고, 父慈면 子孝라.
① 親
② 忠
③ 慈
④ 君
⑤ 孝
27. 다음 경우에 쓸 수 있는 고사성어는?
졸거나 떠들거나, 공부 안 하기는 마찬가지 아니니?
① 推敲
② 馬脚
③ 我田引水
④ 風樹之嘆
⑤ 五十步百步
28. 다음 고사(故事)에서 유래된 한자 성어는?
중국 춘구 시대에 진나라 위무자가 병이 들자 아들 과에게 이르기를, “내가 죽거든 서모를 개가시켜라.” 해 놓고, 죽을 무렵에는 “순장을 시켜라.”고 했다. 과는 서모를 개가 시켰는데, 후에 과가 전쟁에 나가 두회와 싸우다 쫓겨 위태할 때, 그 서모 아버지의 죽은 혼령이 풀포기를 묶어 놓아 두회를 걸려 넘어지게 하여 사로잡게 했다.
① 陰德陽報
② 結草報恩
③ 言行一致
④ 國泰民安
⑤ 興盡悲來
29. 밑줄 친 한자의 뜻을 차례대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言行一致 一家和親
① 하나, 오로지
② 하나, 온
③ 온, 온
④ 온, 하나
⑤ 같다, 오로지
30. 다음과 같은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해 줄 수 있는 말과 관계 깊은 것은?
영철이는 부모님이 교통 사고로 갑자기 돌아가시는 바람에 어린 동생을 돌보아야 하는 소년 가장이 되었다. 영철이는 동사무소에서 나오는 적은 돈으로는 생활하기에 어려워 아침에는 신문을 배달하고, 저녁에는 편의점에서 시간제 아르바이트를 하여야 했다. 힘이 들거나, 일을 잘못하여 편의점 주인 아저씨에게 혼이 날 때 영철이는 돌아가신 부모님이 원망스럽고, 말썽을 피우는 동생이 밉기도 하였다.
① 父慈子孝
② 言行一致
③ 苦盡甘來
④ 國泰民安
⑤ 溫故知新
(31~3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여라.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31. 이 글을 통해 강조하고자 한 것은?
① 나무의 조용한 성장을 본받아라.
② 시련을 겪어야 강해진다.
③ 자식은 부모가 길러야 한다.
④ 부모는 돌아가신 후에도 봉양해야 한다.
⑤ 부모가 살아 계실 때 효도하라.
32. 이 글에 쓰인 ‘而’의 새김으로 바른 것은?
① ~하고
② ~하나
③ ~하면서
④ ~하더라도
⑤ ~하면
33. ㉠과 ㉡의 독음을 각각 쓰시오
(핵심기출문제정답)
1. ④
‘犬’은 제부수 한자이다.
2. ①
모양이 비슷한 글자에 주의할 것.
3.③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친다.
4. ④
將→ 寸, 危→
5. ⑤
積 : 쌓다 적
若 : 그러하다 약
6. ④
勉學(면학) : 학문에 힘쓰다.
勸學(권학) : 학문을 힘써 배울 것을 권함.
7. ①
① 마각 : 말의 다리가 드러남(숨기려던 것이 드러남)
② 등용문 : 잉어가 용문을 올라 용이 됨(시험에 통과함)
③ 퇴고 : 글을 여러번 수정함.
④ 맥수지탄 : 기자가 폐허가 된 은나라 터에 보리 이삭만 수북함을 보고 탄식함(멸망한 고국을 한탄함)
⑤ 양호유환 : 범을 길러 근심을 남김(화근을 만듦)
8. ②
9. ⑤
復┏ 돌아오다 (복)
┗ 다시 (부)
10. ③
11. ①
12. ②
각 글자를 넣고 단어를 만들어 보자.
13. ④
수식관계가 아닌 한자어를 찾을 것.
14. ⑤
한자어를 독음해 보고 뜻에 해당하는 글자가 쓰였는지 살펴보자.
15. ④
剛 : 굳세다 강
16. ④
진인사대천명 : 사람의 할 일을 다하고서 하늘의 명을 기다린다.
17. ④
‘而’의 쓰임
┏ 순접 : 그리고
┗ 역접 : 그러나
18. ①
콩을 심으면 콩을 얻게 된다는 뜻
19. ④
‘以’는 주로 체언 앞에 놓여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며 ‘~(으)로써, ~을 가지고’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20. ①
21. ④
慈(자) : 사랑하다
泰(태) : 크다, 편안하다
柔(유) : 부드럽다
親(친) : 어버이, 친하다
22. ①
慈(자) : 사랑하다
23. ⑤
‘시집 간 여자의 생가’의 뜻에는 ‘마당 정(庭)’이 쓰인다.
24. ③
말과 행동
25. ③
겉은 화려하나 속은 가난함
26. ⑤
보모가 살아 계실 때 효도하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군성신충, 부자자효 : 임금이 성스러우면 신하가 충성하고, 부모가 자비로우면 자식이 효도한다.
27. ⑤
④ 풍수지탄 : 어버이를 잃은 설움
⑤ 오십 보 백 보 : 오십 보와 백 보를 도망감.(거의 같음)
28. ②
29. ②
一致 : 하나를 이루다, 꼭 맞다
一家 : 온 가족
30. ③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한자 성어가 어울린다.
(31~32) 자녀가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가 기다려 주지 않는다.
31. ⑤
32. ②
33. ㉠ 부 ㉡ 부
‘아니 불(不)’이 ‘ㄷ’과 ‘ㅈ’앞에서는 ‘부’로 음독된다.
15. 한자의 음이 서로 같은 것은?
① 悟 … 柔
② 剛 … 角
③ 歡 … 安
④ 聲 … 城
⑤ 枝 … 犬
16. 다음 문장을 우리말로 해석할 때, 마지막으로 풀이해야 할 한자는?
盡人事待天命
① 盡
② 人
③ 事
④ 待
⑤ 天
17. 다음 중, ‘而’의 쓰임이 다른 하나는?
① 知彼而知己
② 學而時習之 不亦說乎
③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④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⑤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
18. 다음 성어의 내용과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은?
種 豆 得 豆
① 因果
② 勸學
③ 經驗
④ 勸勉
⑤ 忠言
19. 보기
의 □안에 공통으로 들어가야 할 것은?
□熱治熱 □心傳心
① 則
② 而
③ 之
④ 以
⑤ 於
20. 이순신 장군, 안중근 의사 등과 관련지을 수 있는 한자 성어는?
① 殺身成仁
② 日就月將
③ 泰然自若
④ 外柔內剛
⑤ 忘年之交
21. 한자의 뜻과 음이 바른 것은?
① 慈 : 사랑할 심
② 泰 : 받들 봉
③ 柔 : 창 모
④ 致 : 이룰 치
⑤ 親 : 볼 견
22. 다음 한자 중, 부수가 ‘心’인 한자는?
① 慈
② 泰
③ 億
④ 待
⑤ 盡
23. ‘親’과 결합한 한자어 중 어색한 것은?
① 慈親
② 親分
③ 親密
④ 親舊
⑤ 親正
24. 보기
와 같은 짜임의 한자어는?
金石(□-□)
① 知己
② 望月
③ 言行
④ 責望
⑤ 病勢
25. 다음 속담과 관계 깊은 한자 성어는?
빛 좋은 개살구
① 父慈子孝
② 外柔內剛
③ 外華內貧
④ 一家和親
⑤ 漁父之利
26. 다음 문장이 공통적으로 함축하고 있는 것은?
樹欲靜而風不止하고, 子欲養而親不待니라.
君聖이면 臣忠하고, 父慈면 子孝라.
① 親
② 忠
③ 慈
④ 君
⑤ 孝
27. 다음 경우에 쓸 수 있는 고사성어는?
졸거나 떠들거나, 공부 안 하기는 마찬가지 아니니?
① 推敲
② 馬脚
③ 我田引水
④ 風樹之嘆
⑤ 五十步百步
28. 다음 고사(故事)에서 유래된 한자 성어는?
중국 춘구 시대에 진나라 위무자가 병이 들자 아들 과에게 이르기를, “내가 죽거든 서모를 개가시켜라.” 해 놓고, 죽을 무렵에는 “순장을 시켜라.”고 했다. 과는 서모를 개가 시켰는데, 후에 과가 전쟁에 나가 두회와 싸우다 쫓겨 위태할 때, 그 서모 아버지의 죽은 혼령이 풀포기를 묶어 놓아 두회를 걸려 넘어지게 하여 사로잡게 했다.
① 陰德陽報
② 結草報恩
③ 言行一致
④ 國泰民安
⑤ 興盡悲來
29. 밑줄 친 한자의 뜻을 차례대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言行一致 一家和親
① 하나, 오로지
② 하나, 온
③ 온, 온
④ 온, 하나
⑤ 같다, 오로지
30. 다음과 같은 상황에 처한 사람에게 해 줄 수 있는 말과 관계 깊은 것은?
영철이는 부모님이 교통 사고로 갑자기 돌아가시는 바람에 어린 동생을 돌보아야 하는 소년 가장이 되었다. 영철이는 동사무소에서 나오는 적은 돈으로는 생활하기에 어려워 아침에는 신문을 배달하고, 저녁에는 편의점에서 시간제 아르바이트를 하여야 했다. 힘이 들거나, 일을 잘못하여 편의점 주인 아저씨에게 혼이 날 때 영철이는 돌아가신 부모님이 원망스럽고, 말썽을 피우는 동생이 밉기도 하였다.
① 父慈子孝
② 言行一致
③ 苦盡甘來
④ 國泰民安
⑤ 溫故知新
(31~33)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여라.
樹欲靜而風㉠不止, 子欲養而親㉡不待
31. 이 글을 통해 강조하고자 한 것은?
① 나무의 조용한 성장을 본받아라.
② 시련을 겪어야 강해진다.
③ 자식은 부모가 길러야 한다.
④ 부모는 돌아가신 후에도 봉양해야 한다.
⑤ 부모가 살아 계실 때 효도하라.
32. 이 글에 쓰인 ‘而’의 새김으로 바른 것은?
① ~하고
② ~하나
③ ~하면서
④ ~하더라도
⑤ ~하면
33. ㉠과 ㉡의 독음을 각각 쓰시오
(핵심기출문제정답)
1. ④
‘犬’은 제부수 한자이다.
2. ①
모양이 비슷한 글자에 주의할 것.
3.③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친다.
4. ④
將→ 寸, 危→
5. ⑤
積 : 쌓다 적
若 : 그러하다 약
6. ④
勉學(면학) : 학문에 힘쓰다.
勸學(권학) : 학문을 힘써 배울 것을 권함.
7. ①
① 마각 : 말의 다리가 드러남(숨기려던 것이 드러남)
② 등용문 : 잉어가 용문을 올라 용이 됨(시험에 통과함)
③ 퇴고 : 글을 여러번 수정함.
④ 맥수지탄 : 기자가 폐허가 된 은나라 터에 보리 이삭만 수북함을 보고 탄식함(멸망한 고국을 한탄함)
⑤ 양호유환 : 범을 길러 근심을 남김(화근을 만듦)
8. ②
9. ⑤
復┏ 돌아오다 (복)
┗ 다시 (부)
10. ③
11. ①
12. ②
각 글자를 넣고 단어를 만들어 보자.
13. ④
수식관계가 아닌 한자어를 찾을 것.
14. ⑤
한자어를 독음해 보고 뜻에 해당하는 글자가 쓰였는지 살펴보자.
15. ④
剛 : 굳세다 강
16. ④
진인사대천명 : 사람의 할 일을 다하고서 하늘의 명을 기다린다.
17. ④
‘而’의 쓰임
┏ 순접 : 그리고
┗ 역접 : 그러나
18. ①
콩을 심으면 콩을 얻게 된다는 뜻
19. ④
‘以’는 주로 체언 앞에 놓여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내며 ‘~(으)로써, ~을 가지고’라는 뜻으로 풀이된다.
20. ①
21. ④
慈(자) : 사랑하다
泰(태) : 크다, 편안하다
柔(유) : 부드럽다
親(친) : 어버이, 친하다
22. ①
慈(자) : 사랑하다
23. ⑤
‘시집 간 여자의 생가’의 뜻에는 ‘마당 정(庭)’이 쓰인다.
24. ③
말과 행동
25. ③
겉은 화려하나 속은 가난함
26. ⑤
보모가 살아 계실 때 효도하라는 뜻을 포함하고 있다.
군성신충, 부자자효 : 임금이 성스러우면 신하가 충성하고, 부모가 자비로우면 자식이 효도한다.
27. ⑤
④ 풍수지탄 : 어버이를 잃은 설움
⑤ 오십 보 백 보 : 오십 보와 백 보를 도망감.(거의 같음)
28. ②
29. ②
一致 : 하나를 이루다, 꼭 맞다
一家 : 온 가족
30. ③
고생 끝에 낙이 온다는 한자 성어가 어울린다.
(31~32) 자녀가 봉양하고자 하나 어버이가 기다려 주지 않는다.
31. ⑤
32. ②
33. ㉠ 부 ㉡ 부
‘아니 불(不)’이 ‘ㄷ’과 ‘ㅈ’앞에서는 ‘부’로 음독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