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체운동,건강
(2) 의사소통
(3) 사회관계
(4) 예술경험
(5) 자연탐구
(6) 2학기 총평
(2) 의사소통
(3) 사회관계
(4) 예술경험
(5) 자연탐구
(6) 2학기 총평
본문내용
에서 상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주변 장난감을 향해 몸을 돌리거나 팔을 뻗어 잡는 등 상체와 팔의 협응 발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실내에서는 낮은 구조물을 잡고 일어서려는 시도가 잦고, 외부 활동에서는 다양한 촉감의 바닥을 경험하며 균형과 감각을 익히는 중이다. OO은 간단한 손 씻기나 수건에 손을 닦는 등의 일상생활 동작에도 흥미를 보이며, 보호자의 도움에 따라 동작을 모방하려는 모습도 보인다. 수면과 식사 습관은 일정한 편이며, 수유나 이유식을 통해 점차 다양한 질감과 맛을 받아들이는 과정에 있다.
의사소통
OO은 또렷한 단어는 표현하지 못하지만, 다양한 옹알이 소리로 의사 표현을 시도한다.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에 따라 옹알이의 톤이나 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감정이 섞인 소리를 통해 기쁨, 불편함, 흥미 등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소리에 대한 반응이 민감하여, 부모의 목소리나 익숙한 노래를 들으면 고개를 돌리거나 미소를 지으며 반응한다. 말을 걸거나 눈을 맞추면 시선을 유지하려 하며, 간단한 반복적인 단어나 소리 자극에는 집중하는 시간이 점차 길어지고 있다. “빠이빠이”, “짝짝꿍” 같은 자주 접한 의성어나 동작을 들으면 손짓이나 표정으로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아직 언어적 표현은 미미하지만, 다양한 비언어적 신호를 통해 타인과의 교감을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초기 의사소통 능력을 형성하고 있다.
사회관계
초기 낯가림 반응이 분명하며, 새로운 환경이나 낯선 사람을 접하면 엄마나 양육자에게 달라붙으며 안기려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일정 시간이 지나 익숙해지면 천천히 관심을 보이고, 웃거나 몸을 앞으로 내밀며 다가가려는 시도를 한다. 또래 영아와의 관계에서는 직접적인 상호작용보다는 가까운 거리에서의 관찰이 중심이 되며, 다른 아이의 움직임이나 소리를 흥미롭게 바라보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양육자와의 안정된 애착을 기반으로 감정을 조절하고, 안정감을 확보한 상태에서는 주변 환경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울음이나 표정, 몸짓을 통해 욕구를 표현하며, 양육자의 반응에 따라 감정이 조절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된다. 타인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거나 반복하는 모습도 드러나, 사회적 신호에 대한 민감성이 점차 발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술경험
OO은 소리 나는 장난감이나 색이 뚜렷한 시각 자극에 강한 흥미를 보이며, 음악 소리가 들리면 고개를 돌리거나 리듬에 맞춰 몸을 흔드는 등의 반응을 보인다. 간단한 악기(딸랑이, 북 등)를 손에 쥐면 무작위로 흔들거나 두드리며 소리를 탐색하고, 소리의 원인을 관찰하며 반복하려는 경향도 있다. 다양한 색감이나 촉감이 있는 교구에 손을 뻗고 만지려는 시도를 하며, 촉각 자극을 즐기는 모습이 자주 관찰된다. 무언가를 흔들거나 두드리며 소리를 만드는 데에 즐거움을 느끼며, 양육자가 노래를 부르면 미소를 짓거나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간단한 반복 노래에 익숙함을 느끼며 음악에 맞춰 소리 없는 입모양이나 몸짓으로 반응하는 경우도 있다. OO은 예술적 감각을 인식하기보다는 감각적 자극을 통한 탐색을 중심으로 예술 경험을 즐기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감각 통합 능력이 점차 형성되고 있는 시기이다.
OOO반 발달평가
반명
OOO반
아동명
OOO
담임교사
OOO
연령
만0세
영역 구분
관찰내용
자연탐구
OO은 주변 환경에 대한 호기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눈에 띄는 사물이나 움직이는 물체를 보면 시선을 고정하고 집중하는 시간이 길어졌다. 창밖의 나뭇잎 흔들림이나 움직이는 그림자, 햇빛에 반사되는 빛의 패턴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손을 뻗거나 몸을 기울여 탐색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실내에서는 새로운 장난감이나 환경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고, 소리나 촉감의 차이를 구분하려는 모습이 관찰된다. 외부 활동 중 잔디, 흙, 나뭇가지 등을 손으로 만지며 감각적으로 자연을 경험하고, 익숙하지 않은 재질에는 일시적으로 움츠리는 반응을 보이기도 하지만 곧 다시 탐색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다. 반복적인 놀이 속에서 “이건 무엇일까”라는 관심을 바탕으로 직접 만지고 확인하려는 욕구가 강하게 드러난다. 아직 언어 표현은 없지만, 관찰, 만짐, 반응 등을 통해 자연과의 상호작용을 넓혀가고 있다.
2학기 총평 및 향후계획
OO은 생후 8~14개월의 전형적인 발달 단계를 안정적으로 밟아가고 있으며, 전반적인 발달 영역에서 연령에 적합한 반응과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신체 발달 면에서는 기기, 일어서기, 앉기 등의 기본 운동 기능이 자연스럽게 발달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주변 공간 탐색에 대한 흥미도 높아지고 있다. 의사소통 측면에서는 옹알이와 감정 섞인 소리를 통해 기본적인 의사 표현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말은 아직 하지 못하지만 눈맞춤, 표정, 손짓 등 비언어적 표현력이 점차 다채로워지고 있다. 사회관계에서는 안정된 애착을 바탕으로 처음에는 경계심을 보이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새로운 사람이나 환경에 천천히 적응해가며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반을 넓혀가고 있다. 예술 경험과 자연 탐구 활동에서도 감각 중심의 자극을 즐기며 관찰과 모방, 탐색을 통해 내면의 감정과 인지 능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향후에는 OO의 감각 탐색 욕구를 지속적으로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자극 환경이 필요하다. 실내외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며 신체를 활용할 수 있는 놀이 공간을 제공하고, 음악, 촉감, 색상 등 다양한 감각 자극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창의적 표현의 기초를 다져야 한다. OO은 낯선 환경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므로, 반복적이고 일관된 루틴을 통해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양육자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점차 외부 자극에 긍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말이 트이지 않은 시기인 만큼, 언어 자극은 풍부하게 제공하되 반응을 기다려주는 양육자의 태도가 필요하다. 또한 또래와의 놀이 환경도 조금씩 제공해 사회적 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한다. 전반적으로 OO은 긍정적인 발달 궤도에 있으며, 앞으로도 안정적인 애착과 다양한 감각 경험을 통해 건강하고 조화로운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의사소통
OO은 또렷한 단어는 표현하지 못하지만, 다양한 옹알이 소리로 의사 표현을 시도한다. 특정한 사람이나 사물에 따라 옹알이의 톤이나 강도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감정이 섞인 소리를 통해 기쁨, 불편함, 흥미 등을 전달하려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소리에 대한 반응이 민감하여, 부모의 목소리나 익숙한 노래를 들으면 고개를 돌리거나 미소를 지으며 반응한다. 말을 걸거나 눈을 맞추면 시선을 유지하려 하며, 간단한 반복적인 단어나 소리 자극에는 집중하는 시간이 점차 길어지고 있다. “빠이빠이”, “짝짝꿍” 같은 자주 접한 의성어나 동작을 들으면 손짓이나 표정으로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아직 언어적 표현은 미미하지만, 다양한 비언어적 신호를 통해 타인과의 교감을 확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초기 의사소통 능력을 형성하고 있다.
사회관계
초기 낯가림 반응이 분명하며, 새로운 환경이나 낯선 사람을 접하면 엄마나 양육자에게 달라붙으며 안기려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일정 시간이 지나 익숙해지면 천천히 관심을 보이고, 웃거나 몸을 앞으로 내밀며 다가가려는 시도를 한다. 또래 영아와의 관계에서는 직접적인 상호작용보다는 가까운 거리에서의 관찰이 중심이 되며, 다른 아이의 움직임이나 소리를 흥미롭게 바라보는 모습을 자주 보인다. 양육자와의 안정된 애착을 기반으로 감정을 조절하고, 안정감을 확보한 상태에서는 주변 환경에 더 적극적으로 참여하려는 태도를 보인다. 울음이나 표정, 몸짓을 통해 욕구를 표현하며, 양육자의 반응에 따라 감정이 조절되는 모습이 자주 관찰된다. 타인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행동을 조절하거나 반복하는 모습도 드러나, 사회적 신호에 대한 민감성이 점차 발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예술경험
OO은 소리 나는 장난감이나 색이 뚜렷한 시각 자극에 강한 흥미를 보이며, 음악 소리가 들리면 고개를 돌리거나 리듬에 맞춰 몸을 흔드는 등의 반응을 보인다. 간단한 악기(딸랑이, 북 등)를 손에 쥐면 무작위로 흔들거나 두드리며 소리를 탐색하고, 소리의 원인을 관찰하며 반복하려는 경향도 있다. 다양한 색감이나 촉감이 있는 교구에 손을 뻗고 만지려는 시도를 하며, 촉각 자극을 즐기는 모습이 자주 관찰된다. 무언가를 흔들거나 두드리며 소리를 만드는 데에 즐거움을 느끼며, 양육자가 노래를 부르면 미소를 짓거나 집중하는 모습을 보인다. 간단한 반복 노래에 익숙함을 느끼며 음악에 맞춰 소리 없는 입모양이나 몸짓으로 반응하는 경우도 있다. OO은 예술적 감각을 인식하기보다는 감각적 자극을 통한 탐색을 중심으로 예술 경험을 즐기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감각 통합 능력이 점차 형성되고 있는 시기이다.
OOO반 발달평가
반명
OOO반
아동명
OOO
담임교사
OOO
연령
만0세
영역 구분
관찰내용
자연탐구
OO은 주변 환경에 대한 호기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눈에 띄는 사물이나 움직이는 물체를 보면 시선을 고정하고 집중하는 시간이 길어졌다. 창밖의 나뭇잎 흔들림이나 움직이는 그림자, 햇빛에 반사되는 빛의 패턴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손을 뻗거나 몸을 기울여 탐색하려는 시도를 보인다. 실내에서는 새로운 장난감이나 환경 변화에 주의를 기울이고, 소리나 촉감의 차이를 구분하려는 모습이 관찰된다. 외부 활동 중 잔디, 흙, 나뭇가지 등을 손으로 만지며 감각적으로 자연을 경험하고, 익숙하지 않은 재질에는 일시적으로 움츠리는 반응을 보이기도 하지만 곧 다시 탐색을 시도하는 경향이 있다. 반복적인 놀이 속에서 “이건 무엇일까”라는 관심을 바탕으로 직접 만지고 확인하려는 욕구가 강하게 드러난다. 아직 언어 표현은 없지만, 관찰, 만짐, 반응 등을 통해 자연과의 상호작용을 넓혀가고 있다.
2학기 총평 및 향후계획
OO은 생후 8~14개월의 전형적인 발달 단계를 안정적으로 밟아가고 있으며, 전반적인 발달 영역에서 연령에 적합한 반응과 변화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신체 발달 면에서는 기기, 일어서기, 앉기 등의 기본 운동 기능이 자연스럽게 발달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주변 공간 탐색에 대한 흥미도 높아지고 있다. 의사소통 측면에서는 옹알이와 감정 섞인 소리를 통해 기본적인 의사 표현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말은 아직 하지 못하지만 눈맞춤, 표정, 손짓 등 비언어적 표현력이 점차 다채로워지고 있다. 사회관계에서는 안정된 애착을 바탕으로 처음에는 경계심을 보이지만, 일정 시간이 지나면 새로운 사람이나 환경에 천천히 적응해가며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반을 넓혀가고 있다. 예술 경험과 자연 탐구 활동에서도 감각 중심의 자극을 즐기며 관찰과 모방, 탐색을 통해 내면의 감정과 인지 능력을 키워나가고 있다. 향후에는 OO의 감각 탐색 욕구를 지속적으로 충족시켜 줄 수 있는 다양한 자극 환경이 필요하다. 실내외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며 신체를 활용할 수 있는 놀이 공간을 제공하고, 음악, 촉감, 색상 등 다양한 감각 자극을 통해 정서적 안정과 창의적 표현의 기초를 다져야 한다. OO은 낯선 환경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필요하므로, 반복적이고 일관된 루틴을 통해 안정감을 느끼게 하고, 양육자와의 신뢰를 바탕으로 점차 외부 자극에 긍정적으로 반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말이 트이지 않은 시기인 만큼, 언어 자극은 풍부하게 제공하되 반응을 기다려주는 양육자의 태도가 필요하다. 또한 또래와의 놀이 환경도 조금씩 제공해 사회적 자극에 대한 민감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한다. 전반적으로 OO은 긍정적인 발달 궤도에 있으며, 앞으로도 안정적인 애착과 다양한 감각 경험을 통해 건강하고 조화로운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기대된다.
추천자료
만0세 2학기 관찰일지 및 연계된 부모상담일지 (관찰일지,부모면담일지,발달평가 모두포함)
만0세 관찰일지와 부모상담일지 2학기 (발달평가 첨부) - 관찰일지와 부모상담일지 연계
[만0세 관찰일지,부모상담일지] 만0세 2학기 관찰일지 및 연계된 부모상담일지 (발달평가 첨...
만0세 1년 관찰일지 및 연계된 부모상담일지 (관찰일지,부모면담일지,발달평가 모두포함)
만0세 관찰일지 및 부모상담일지 20Page (일상,놀이 관찰일지) - 2학기 발달평가,놀이지원 확...
만0세 1학기 5개영역 발달평가 및 1학기 총평 / 향후계획 (만0세 발달평가 자료)
만0세 관찰일지와 부모상담일지 1년 (1,2학기 발달평가 첨부) - 관찰일지와 부모상담일지 연계
만3세 2학기 5개영역 발달평가 및 2학기 총평 / 향후계획 (만3세 발달평가 자료)
만4세 2학기 5개영역 발달평가 및 2학기 총평 / 향후계획 (만4세 발달평가 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