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41~56번
3. 지하자원이 많은 관북지방
문제1~50번
정답
3. 지하자원이 많은 관북지방
문제1~50번
정답
본문내용
어려움, 국제적 고립을 벗어나기 위 한 노력
⑤ UN 의 두만강 개발 계획의 일부
40. 북한의 자유 경제 무역 지대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중)
① 중국이 경제 특구를 모방
② 유엔이 추진하는 두만강 개발 사업의 일부
③ 청진 - 성진 지역에 있다.
④ 동북 아시아 교통의 요지로 유리
⑤ 외국 기업을 유치하여 경제난을 해소하기 위함
41. 북한 관북 지방의 자유 경제 무역 지대와 관련이 먼 것은? (중)
① 나진과 웅기(선봉) 일대를 지정함
② 중국의 경제 특구를 모방
③ 두만강 개발 사업
④ 북한의 자립 경제 성공
⑤ 동북 아시아 교통의 요지
42. 다음 <보기>에 해당되는 지역은? (중)
< 보 기 >
* 제철, 기계, 화학공업이 발달하였다.
* 관북 제 1의 무역항이 있다.
* 최근 자유경제무역지대가 설치되었다.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43.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중)
* 금강산 관광의 요지
* 북부지방의 주요 어항
* 다우지
44. 북한이 국제 수지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 )과 백두산 일대이 관광산업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 )에 알맞는 말을 써라. (하)
45. 이번에 현대 정주영 명예회장이 북한에 가서 남한의 설악산과 연결하여 세계적인 관광지로 개발하도록 북한과 합의하고 돌아온 강원도지역의 명산은? (하)
중 1 사 회
Ⅳ 북부지방의 생활
4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산의 이름은? (하)
* 태백 산맥 북쪽 끝
* 비로봉을 비롯한 1만 2천봉
* 설악산과 연계하는 관광 코스 개발이 기 대됨
* 올 가을 유람선을 타고 갈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됨
47. 보기의 지역에 공통점은? (하)
< 보기 >
* 서해 갑문 금강산, 백두산과 천지
① 관광 산업 ② 특용 작물
③ 침엽수림대 ④ 자유 경제 무역 지대
⑤ 협동 농장
48. 금강산과 설악산을 연결하여 남북 공동으로 협력할 수 있는 사업은? (하)
① 지하자원 개발
② 관광 개발
③ 공업지대 개발
④ 임업 개발
⑤ 자유 경제 무역 지대 건설
49. 지도에서 A와 B지역을 연결하여 남북 간의 공동 협력 사업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하)
① 신도시의 개발
② 관광 산업 개발
③ 임해 공업 지대 건설
④ 아시아 교통의 요지 개발
⑤ 두만강 개발 사업
50. 지난 6월 16일 모 대기업의 명예회장인 정주영님께서 민간인으로는 처음으로 판문점을 통해 소 500마리를 직접 북한에 전달해주었다. 남북간 교류 협력에 좋은 예라 하겠다. 그리고, 아래 지도 지역의 관광산업에 대해서도 남북간의 공동협력이 있으리라 기대되는 두 산이 있다. 한국은 북한의 ( )과 또, 한 곳은 남한의 ( )이다. (중)
IV. 북부지장의 생활
<1. 분단된 우리땅>
1. ⑤
2. 중국, 러시아
3. ② * 관서와 관북으로 구분
4. ③
5. 낭림
6. ③
7. ④
8. ② 낭림산맥
9. ② * 신의주
10. 압록강
11. ③
12. ⑤
13. ⑤
14. ④
15. ⑤
16. ③
17. ③
18. ② * 청천강 - 박천평야
19. ④
20. ②
21. ③
22. ①
23. ②
24. 개마고원
25. ⑤
26. 함경산맥
27. ⑤
28. ③
29. ①,③
30. ④
31. ② * ① 압록강 ③ 대동강 ④ 재령강
⑤ 청천강
32. ④
33. ②
34. ②
35. 개마고원
36. 용암,용암대지
37. 개마고원
38. ① * 중강진
39. ①
40. ③
41. ②
42. 대륙성기후
43. ④
44. 중강진, 백두산
45. 지형
46. ②
47. ④
48. ①
49. ⑤
50. 비가많이 내린다.
51. ②
52. ③
53. ④
54. ④
55. ⑤
56. G
57. B
58. A
59. ⑤
60. ⑤ * 인구이동은 농촌지역으로부터 내륙공업지역으로
61. ②
62. 강수량이 적고 증발량이 많다(맑은날이많다.) 간석지가 넓다. 조석간만의 차가 크다.
63. ②
64. 천일제염업
65. 천일제염업
66. ④
67. ⑤
68. ①
69. ⑤
70. ②
71. ③
72. ③
73. ③
74. ②
75. ②
76. ①
<2. 북부지방의 중심지 관서지방>
1. 평양
2. ④ * 외항은 남포항이다.
3. 평양
4. ① * 나:신의주 다:개성 라:청진 마:원산
5. 남포
6. 서해갑문
7. ⑤
8. ③
9. ①
10. ③
11. ②
12. ④
13. ④
14. ⑤
15. ③
16. ⑤
17. ④
18. ④
19. ② * 벼농사는 안주막천평야 평양평야 재 령평야 연백평야에서 주로한다.
20. 협동농장
21. ②
22. ②
23. ③
24. ①
25. ④
26. ①
27. 수풍
28. 압록강
29. ①
30. ⑤
31. ⑤
32. ⑤
33. 철광석
34. ⑤
35. ④
36. ②
37. ②
38. ③
39. ④ * 평양공업지구
40. ① * 강계공업지구
41. ⑤
42. ① * 금:운산 대유동
텅스텐 : 백년
흑연 : 초산, 강계
석회석 : 승호
43. 철광석
44. ①
45. ①
46. ①
47. ⑤
48. ②
49. ①
50. ②
51. ④
52. ②
53. ②
54. ③
55. ①
56. ④
<3. 지하 자원이 많은 관북지방>
1. 함경산맥
2. ④
3. ②
4. ①
5. 유역변경식
6. ②
7. ④
8. 개마고원
9. ③
10. ⑤
11. 개마고원
12. ⑤
13. 삼림철도
14. 목재를 운반하다.
15. 개마고원
16. 대구, 명태
17. ②
18. 철
19. ①
20. ②
21. ③ * 관북지방의 평야지대는 함흥일대
22. ① * 청진공업지구
23. ③
24. ②
25. ①
26. ㉣ 강수량이 적고, 맑은날이 많다. 조석간 만의 차가 크고 넓은 간석지가 나타남
27. ②
28. ⑤
29. ③
30. 외국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여 경제난을 해결 고립을 피하기 위해
31. 자유경제무역지대
32. ②
33. ㉲
34. ⑤
35. ② * 소삼각전역
36. 자유경제무역지대
IV. 북부지방의 생활
<2. 북부지방의 중심시 관서지방>
37. ⑤
38. ③
39. ③
40. ③
41. ④
42. ②
43. ④
44. 금강산
45. 금강산
46. 금강산
47. ①
48. ②
49. ②
50. 금강산, 설악산
고생했습니다. 열공!
⑤ UN 의 두만강 개발 계획의 일부
40. 북한의 자유 경제 무역 지대에 관한 설명으로 바르지 않은 것은? (중)
① 중국이 경제 특구를 모방
② 유엔이 추진하는 두만강 개발 사업의 일부
③ 청진 - 성진 지역에 있다.
④ 동북 아시아 교통의 요지로 유리
⑤ 외국 기업을 유치하여 경제난을 해소하기 위함
41. 북한 관북 지방의 자유 경제 무역 지대와 관련이 먼 것은? (중)
① 나진과 웅기(선봉) 일대를 지정함
② 중국의 경제 특구를 모방
③ 두만강 개발 사업
④ 북한의 자립 경제 성공
⑤ 동북 아시아 교통의 요지
42. 다음 <보기>에 해당되는 지역은? (중)
< 보 기 >
* 제철, 기계, 화학공업이 발달하였다.
* 관북 제 1의 무역항이 있다.
* 최근 자유경제무역지대가 설치되었다.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43.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중)
* 금강산 관광의 요지
* 북부지방의 주요 어항
* 다우지
44. 북한이 국제 수지 적자를 해소하기 위해
( )과 백두산 일대이 관광산업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 ( )에 알맞는 말을 써라. (하)
45. 이번에 현대 정주영 명예회장이 북한에 가서 남한의 설악산과 연결하여 세계적인 관광지로 개발하도록 북한과 합의하고 돌아온 강원도지역의 명산은? (하)
중 1 사 회
Ⅳ 북부지방의 생활
46.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산의 이름은? (하)
* 태백 산맥 북쪽 끝
* 비로봉을 비롯한 1만 2천봉
* 설악산과 연계하는 관광 코스 개발이 기 대됨
* 올 가을 유람선을 타고 갈 수 있을 것으 로 기대됨
47. 보기의 지역에 공통점은? (하)
< 보기 >
* 서해 갑문 금강산, 백두산과 천지
① 관광 산업 ② 특용 작물
③ 침엽수림대 ④ 자유 경제 무역 지대
⑤ 협동 농장
48. 금강산과 설악산을 연결하여 남북 공동으로 협력할 수 있는 사업은? (하)
① 지하자원 개발
② 관광 개발
③ 공업지대 개발
④ 임업 개발
⑤ 자유 경제 무역 지대 건설
49. 지도에서 A와 B지역을 연결하여 남북 간의 공동 협력 사업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은? (하)
① 신도시의 개발
② 관광 산업 개발
③ 임해 공업 지대 건설
④ 아시아 교통의 요지 개발
⑤ 두만강 개발 사업
50. 지난 6월 16일 모 대기업의 명예회장인 정주영님께서 민간인으로는 처음으로 판문점을 통해 소 500마리를 직접 북한에 전달해주었다. 남북간 교류 협력에 좋은 예라 하겠다. 그리고, 아래 지도 지역의 관광산업에 대해서도 남북간의 공동협력이 있으리라 기대되는 두 산이 있다. 한국은 북한의 ( )과 또, 한 곳은 남한의 ( )이다. (중)
IV. 북부지장의 생활
<1. 분단된 우리땅>
1. ⑤
2. 중국, 러시아
3. ② * 관서와 관북으로 구분
4. ③
5. 낭림
6. ③
7. ④
8. ② 낭림산맥
9. ② * 신의주
10. 압록강
11. ③
12. ⑤
13. ⑤
14. ④
15. ⑤
16. ③
17. ③
18. ② * 청천강 - 박천평야
19. ④
20. ②
21. ③
22. ①
23. ②
24. 개마고원
25. ⑤
26. 함경산맥
27. ⑤
28. ③
29. ①,③
30. ④
31. ② * ① 압록강 ③ 대동강 ④ 재령강
⑤ 청천강
32. ④
33. ②
34. ②
35. 개마고원
36. 용암,용암대지
37. 개마고원
38. ① * 중강진
39. ①
40. ③
41. ②
42. 대륙성기후
43. ④
44. 중강진, 백두산
45. 지형
46. ②
47. ④
48. ①
49. ⑤
50. 비가많이 내린다.
51. ②
52. ③
53. ④
54. ④
55. ⑤
56. G
57. B
58. A
59. ⑤
60. ⑤ * 인구이동은 농촌지역으로부터 내륙공업지역으로
61. ②
62. 강수량이 적고 증발량이 많다(맑은날이많다.) 간석지가 넓다. 조석간만의 차가 크다.
63. ②
64. 천일제염업
65. 천일제염업
66. ④
67. ⑤
68. ①
69. ⑤
70. ②
71. ③
72. ③
73. ③
74. ②
75. ②
76. ①
<2. 북부지방의 중심지 관서지방>
1. 평양
2. ④ * 외항은 남포항이다.
3. 평양
4. ① * 나:신의주 다:개성 라:청진 마:원산
5. 남포
6. 서해갑문
7. ⑤
8. ③
9. ①
10. ③
11. ②
12. ④
13. ④
14. ⑤
15. ③
16. ⑤
17. ④
18. ④
19. ② * 벼농사는 안주막천평야 평양평야 재 령평야 연백평야에서 주로한다.
20. 협동농장
21. ②
22. ②
23. ③
24. ①
25. ④
26. ①
27. 수풍
28. 압록강
29. ①
30. ⑤
31. ⑤
32. ⑤
33. 철광석
34. ⑤
35. ④
36. ②
37. ②
38. ③
39. ④ * 평양공업지구
40. ① * 강계공업지구
41. ⑤
42. ① * 금:운산 대유동
텅스텐 : 백년
흑연 : 초산, 강계
석회석 : 승호
43. 철광석
44. ①
45. ①
46. ①
47. ⑤
48. ②
49. ①
50. ②
51. ④
52. ②
53. ②
54. ③
55. ①
56. ④
<3. 지하 자원이 많은 관북지방>
1. 함경산맥
2. ④
3. ②
4. ①
5. 유역변경식
6. ②
7. ④
8. 개마고원
9. ③
10. ⑤
11. 개마고원
12. ⑤
13. 삼림철도
14. 목재를 운반하다.
15. 개마고원
16. 대구, 명태
17. ②
18. 철
19. ①
20. ②
21. ③ * 관북지방의 평야지대는 함흥일대
22. ① * 청진공업지구
23. ③
24. ②
25. ①
26. ㉣ 강수량이 적고, 맑은날이 많다. 조석간 만의 차가 크고 넓은 간석지가 나타남
27. ②
28. ⑤
29. ③
30. 외국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여 경제난을 해결 고립을 피하기 위해
31. 자유경제무역지대
32. ②
33. ㉲
34. ⑤
35. ② * 소삼각전역
36. 자유경제무역지대
IV. 북부지방의 생활
<2. 북부지방의 중심시 관서지방>
37. ⑤
38. ③
39. ③
40. ③
41. ④
42. ②
43. ④
44. 금강산
45. 금강산
46. 금강산
47. ①
48. ②
49. ②
50. 금강산, 설악산
고생했습니다. 열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