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외]중학 사회 중1-6 북부지방의 생활 03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문제71~76번

2. 북부지방의 중심지 관서지방

문제1~47번

정답

본문내용

지형에서는 유역 변경식 발전이 유리하 다.
⑤ 함경 산맥에서 ㉡ 쪽은 경사가 완만하다.
36. 남포, 사리원을 포함한 북한 최대의 공업지구는? (하)
① 강계 공업지구 ② 평양 공업지구
③ 신의주 공업지구 ④ 청천강 공업지구
⑤ 해주 공업지구
37. 평양공업지구의 발달과 거리가 먼 것은? (중)
① 풍부한 석탄
② 발달된 기술
③ 풍부한 석회석
④ 편리한 교통
⑤ 제철, 화학, 섬유, 식료품 등 각종공업 발달
38. 평양을 중심으로 발달된 종합 공업 지역의 입지 조건으로 볼 수 없는 것은? (중)
① 무연탄, 석회석 등 자원이 풍부하다.
② 수륙 교통이 편리하다.
③ 정책적으로 경제 특구로 지정하였다.
④ 지형상으로 넓은 평야 지대이다.
⑤ 평양의 외항인 남포항이 있다.
39. 풍부한 동력 지하 자원과 편리한 교통을 바탕으로 발달한 북한 최대의공업 지대는? (중)
중 1 사 회
Ⅳ 북부지방의 생활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40. 기계, 병기 등의 군수 공업이 발달된 곳은? (중)
① A ② B ③ C ④ D ⑤ E
4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공업 지역은? (중)
. 북한 최대의 공업 지역이다.
. 무연탄, 석회석 등의 풍부한 자원과 수륙 교통이 발달했다.
. 제철, 화학, 섬유, 식료품 등의 공업이 발달 했다.
① ㄱ ② ㄴ ③ ㄷ ④ ㄹ ⑤ ㅁ
42. 다음 중 관서 지방의 지하 자원과 그 생산지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중)
① 철광석 - 은율, 재령
② 금 - 은율, 강계
③ 텅스텐 - 상동
④ 흑연 - 운산, 대유동
⑤ 석회석 - 삼척, 영월
43. 관서지방의 은율, 재령, 관북지방의 무산, 이원 등지에서 생산되는 지하자원의 이름을
써라. <힌트 : 생산된 지하자원→송림, 청진, 김책(성진)에서... > (중)
44. 보기의 도시에서 공통적으로 생산되는 지하자원은? (중)
<보기> 양양, 홍천, 은율, 재령, 무산, 이원
① 철광석 ② 무연탄 ③ 금
④ 갈탄 ⑤ 텅스텐
45. 다음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이루어지는 공업은? (중)
. 포항 . 광양 . 송림 . 청진 . 성진
① 제철 공업 ② 식료품 공업
③ 시멘트 공업 ④ 기계 공업
⑤ 제재 공업
46. 만포, 회천을 포함한 기계, 병기 등의 군수공업이 집중된 공업지구는? (중)
① 강계 공업지구
② 신의주 공업지구
③ 해주 공업지구
④ 청진 공업지구
⑤ 성진(김책)공업지구
47. 다음 지도에서 기계, 병기 등의 군수공업이 집중적으로 발달한 지역은? (상)
중 1 사 회
Ⅳ 북부지방의 생활
① ㉮ - 신의주 공업지구
② ㉯ - 평양 공업지구
③ ㉰ - 원산 공업지구
④ ㉱ - 청진 공업지구
⑤ ㉲ - 강계 공업지구
IV. 북부지장의 생활
<1. 분단된 우리땅>
1. ⑤
2. 중국, 러시아
3. ② * 관서와 관북으로 구분
4. ③
5. 낭림
6. ③
7. ④
8. ② 낭림산맥
9. ② * 신의주
10. 압록강
11. ③
12. ⑤
13. ⑤
14. ④
15. ⑤
16. ③
17. ③
18. ② * 청천강 - 박천평야
19. ④
20. ②
21. ③
22. ①
23. ②
24. 개마고원
25. ⑤
26. 함경산맥
27. ⑤
28. ③
29. ①,③
30. ④
31. ② * ① 압록강 ③ 대동강 ④ 재령강
⑤ 청천강
32. ④
33. ②
34. ②
35. 개마고원
36. 용암,용암대지
37. 개마고원
38. ① * 중강진
39. ①
40. ③
41. ②
42. 대륙성기후
43. ④
44. 중강진, 백두산
45. 지형
46. ②
47. ④
48. ①
49. ⑤
50. 비가많이 내린다.
51. ②
52. ③
53. ④
54. ④
55. ⑤
56. G
57. B
58. A
59. ⑤
60. ⑤ * 인구이동은 농촌지역으로부터 내륙공업지역으로
61. ②
62. 강수량이 적고 증발량이 많다(맑은날이많다.) 간석지가 넓다. 조석간만의 차가 크다.
63. ②
64. 천일제염업
65. 천일제염업
66. ④
67. ⑤
68. ①
69. ⑤
70. ②
71. ③
72. ③
73. ③
74. ②
75. ②
76. ①
<2. 북부지방의 중심지 관서지방>
1. 평양
2. ④ * 외항은 남포항이다.
3. 평양
4. ① * 나:신의주 다:개성 라:청진 마:원산
5. 남포
6. 서해갑문
7. ⑤
8. ③
9. ①
10. ③
11. ②
12. ④
13. ④
14. ⑤
15. ③
16. ⑤
17. ④
18. ④
19. ② * 벼농사는 안주막천평야 평양평야 재 령평야 연백평야에서 주로한다.
20. 협동농장
21. ②
22. ②
23. ③
24. ①
25. ④
26. ①
27. 수풍
28. 압록강
29. ①
30. ⑤
31. ⑤
32. ⑤
33. 철광석
34. ⑤
35. ④
36. ②
37. ②
38. ③
39. ④ * 평양공업지구
40. ① * 강계공업지구
41. ⑤
42. ① * 금:운산 대유동
텅스텐 : 백년
흑연 : 초산, 강계
석회석 : 승호
43. 철광석
44. ①
45. ①
46. ①
47. ⑤
48. ②
49. ①
50. ②
51. ④
52. ②
53. ②
54. ③
55. ①
56. ④
<3. 지하 자원이 많은 관북지방>
1. 함경산맥
2. ④
3. ②
4. ①
5. 유역변경식
6. ②
7. ④
8. 개마고원
9. ③
10. ⑤
11. 개마고원
12. ⑤
13. 삼림철도
14. 목재를 운반하다.
15. 개마고원
16. 대구, 명태
17. ②
18. 철
19. ①
20. ②
21. ③ * 관북지방의 평야지대는 함흥일대
22. ① * 청진공업지구
23. ③
24. ②
25. ①
26. ㉣ 강수량이 적고, 맑은날이 많다. 조석간 만의 차가 크고 넓은 간석지가 나타남
27. ②
28. ⑤
29. ③
30. 외국의 자본과 기술을 도입하여 경제난을 해결 고립을 피하기 위해
31. 자유경제무역지대
32. ②
33. ㉲
34. ⑤
35. ② * 소삼각전역
36. 자유경제무역지대
IV. 북부지방의 생활
<2. 북부지방의 중심시 관서지방>
37. ⑤
38. ③
39. ③
40. ③
41. ④
42. ②
43. ④
44. 금강산
45. 금강산
46. 금강산
47. ①
48. ②
49. ②
50. 금강산, 설악산
고생했습니다. 열공!

추천자료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6.11.28
  • 저작시기199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77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