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27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들이 그를 칭찬하자, 아들도둑은 슬그머니 자만심이 생겼다. 그래서 어느 날, 아버지에게 자랑삼아 이렇게 말했다.
“이제 저의 기술은 아버지에 비해 조금도 손색이 없습니다. 게다가 힘도 아버지보다 더 세니, 이런 실력(實力)이면 무슨 일인들 못 하겠습니까?”
그러자 아비 도둑이 말했다.
“㉠아직 멀었다. 지혜란 배워서 되는 것이 아니다. 스스로 터득하는 데에서 나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스스로 터득한 지혜가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너는 아직 멀었다.”
(나)후에 아들은 정말 세상에서 겨룰 사람이 없는 도둑이 되었다. 도둑질이란 세상에서 지극히 천하고 악한 기술이지만, 그것도 스스로 터득한 다음에야 비로소 세상에서 으뜸 가는 존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하물며 학문(學問)의 길에 있어서야 더 말해서 무엇하겠느냐?
아들아, 네 처지가 이와 비슷하니, 곳간에 갇히고 쫓기는 것과 같은 어려움에 처하게 되더라도 그 가운데서 스스로 지혜를 터득해야 한다. 소홀히 생각하지 말라.
㉠의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지혜가 부족하다.
② 인격을 갖추어야 한다.
③ 실력이 뛰어나지 못하다.
④ 기술을 더 연마해야 한다.
⑤ 생활 습관을 바꿀 필요가 있다.
주4) (나)의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강희맹이 아들에게 도둑의 예화를 들려 준 이유가 무엇인지를 다음 조건에 맞게 쓰시오. (30자 내외 길이의 완성된 문장으로 쓸 것.)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그러다가 문득, 아까부터 대장간의 배경을 이루고 있는 숲 속에서 합창단원 모양의 대열(隊列)을 짓고 쪼그리고 앉아 있는 것에 눈이 갔다. 나는 그것을 풀잎들인 것을 알아냈다.
‘현이가 바로 저기, 저 많은 풀잎 중의 하나로 끼여 앉아 있는 거구나!’
순간, 지금까지 흥분해 있던 마음이 가시고, 실망(失望)되는 마음조차 터놓을 수 없는, 그런 야릇한 기분에 싸이고 말았다. 현이는 바로 그런 역을 맡고 있었다.
(나) 사실, 우리 집 애가 반드시 남의 눈에 띄는 중요한 역을 맡아야 한다든지, 조금이라도 나은 역을 해야 한다는 생각은 조금도 없었다. 다만, 엄마는 자기 아이한테 제일 먼저 관심이 가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현이가 눈에 띄지 않는 데에 실망하였을 뿐이다. 그러는 동안에 연극은 끝났다. 얼굴에 빨갛고 꺼멓게 분장을 한 아이들 틈에서 한참만에 현이를 찾았다.
(다) “엄마, 그럼 나 못 보았지? 아유, 난 내 뒤에 있던 참새가 앞으로 나가면서 건드리는 바람에 모자가 벗겨져서, 그것을 엄마가 보았으면 어떻게 하나 하고 얼마나 걱정을 했는지 몰라. 금방 집어 썼는데, 엄마 못 봤지?”
이렇게 말하는 것이 아닌가? 나는 현이의 이 말에 또 한번 마음 속으로 놀랐다. ㉠그리고 미안한 생각이 들었다. 비록 눈에 잘 안 띄는 풀잎 역을 하였지만, 현이는 풀잎으로서의 자기의 역할에 충실했으며, 엄마가 자기를 꼭 보아주리라는 확신 때문에 더욱 열심히 연기를 하였고, 오히려 자기의 실수를 엄마가 보았을까 걱정을 했던 것이다.
이 글의 내용을 잘못 이해한 것은?
① 현이는 눈에 잘 띄지 않는 역을 맡았다.
② ‘나’는 현이에게 미안한 감정을 느끼고 있다.
③ 현이는 자신이 맡은 배역을 최선을 다해 연기하였다.
④ 현이는 자신의 실수를 엄마가 보았을까봐 염려하고 있다.
⑤ 현이는 엄마가 자신의 연기를 보지 못한 사실을 알고 실망하였다.
주5) 이 글의 주제를 본문의 말을 이용하여 ‘~자’형식으로 문장으로 쓰시오.
주6) ㉠의 이유가 무엇인지를 한 문장으로 쓰시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얼굴 하나야
손바닥 둘로
폭 가리지만,
보고픈 마음
㉠호수만하니
눈 감을밖에
이 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중심 소재는 ‘호수’이다.
② 2연 6행의 간결한 구조이다.
③ 대상을 의인화하여 표현하였다.
④ 대조적인 방법으로 주제를 강조하였다.
⑤ 시적 화자의 주된 정서는 ‘그리움’이다.
㉠의 ‘호수’가 지닌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청결하다 ② 잔잔하다 ③ 평화롭다 ④ 포근하다 ⑤ 넓고 깊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오늘의 부모(父母)들은 자녀들의 생활 태도에 대하여 간섭을 하지 않는다. 자녀들이 자유롭게 크도록 내버려두는 것이다. 원칙적으로 매우 타당한 방침 같기도 한데, 그 결과는 별로 좋지 않다. 제멋대로 내버려두어도 배울 것을 제대로 배우는 질서 정연하고 밝은 사회라면 괜찮을지 모른다. 그러나 현실이 그렇지 못한 까닭에, 실제에 있어서는 가정 교육의 부재(不在)에 가까운 결과를 가져오곤한다.
(나) 간섭을 하지 않는 개방적인 가정 분위기가 좋은 점도 있다. 성격이 활달한 젊은이로 자라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그러나 이런 개방적인 분위기에서는 ㉠자녀들이 자기중심적 인간(人間)으로 성장하기 쉽다는 사실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모든 생물이 그렇듯이, 인간도 적절한 교육을 받음으로써 사회화되고 자아(自我)의 푹을 넓히게 되는 것인데, 제멋대로 내버려 두면 자기 중심적인 껍질을 벗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 글에서 오늘날의 가정 교육에 대한 지은이의 태도는?
① 낙관적이다. ② 비판적이다.
③ 절망적이다. ④ 긍정적이다.
⑤ 예찬적이다.
㉠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은?
① 급속한 문명의 발달
② 젊은이들의 성격 변화
③ 무질서한 사회적 분위기
④ 올바른 가정 교육의 부재
⑤ 자녀들에 대한 지나친 간섭
-----------------------------------------------------------------------------------------------------------------------------------------------------------
정답
④ 주1>벚꽃은 쉽게 변하지만 푸른 솔은 변함이 없어서 ⑤ ① ① ④
③ ④ ⑤ ②
③ ⑤ ⑤ ④ 주2>비오는 날 혼자서 처음 걷는 것 ①
주3>지혜, 감사, 마음속기원, 따뜻한사랑 ② ①
주4>학문에 있어 자만하는 아들에게 스스로 터득한 지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⑤ 주5>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자.
주6>현이는 자기의 역할에 충실했는데 엄마는 현이가 맡은 역에 실망했었기 때문이다.
③ ⑤ ② ④
“이제 저의 기술은 아버지에 비해 조금도 손색이 없습니다. 게다가 힘도 아버지보다 더 세니, 이런 실력(實力)이면 무슨 일인들 못 하겠습니까?”
그러자 아비 도둑이 말했다.
“㉠아직 멀었다. 지혜란 배워서 되는 것이 아니다. 스스로 터득하는 데에서 나오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스스로 터득한 지혜가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너는 아직 멀었다.”
(나)후에 아들은 정말 세상에서 겨룰 사람이 없는 도둑이 되었다. 도둑질이란 세상에서 지극히 천하고 악한 기술이지만, 그것도 스스로 터득한 다음에야 비로소 세상에서 으뜸 가는 존재가 될 수 있는 것이다. 하물며 학문(學問)의 길에 있어서야 더 말해서 무엇하겠느냐?
아들아, 네 처지가 이와 비슷하니, 곳간에 갇히고 쫓기는 것과 같은 어려움에 처하게 되더라도 그 가운데서 스스로 지혜를 터득해야 한다. 소홀히 생각하지 말라.
㉠의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지혜가 부족하다.
② 인격을 갖추어야 한다.
③ 실력이 뛰어나지 못하다.
④ 기술을 더 연마해야 한다.
⑤ 생활 습관을 바꿀 필요가 있다.
주4) (나)의 내용으로 미루어 볼 때, 강희맹이 아들에게 도둑의 예화를 들려 준 이유가 무엇인지를 다음 조건에 맞게 쓰시오. (30자 내외 길이의 완성된 문장으로 쓸 것.)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그러다가 문득, 아까부터 대장간의 배경을 이루고 있는 숲 속에서 합창단원 모양의 대열(隊列)을 짓고 쪼그리고 앉아 있는 것에 눈이 갔다. 나는 그것을 풀잎들인 것을 알아냈다.
‘현이가 바로 저기, 저 많은 풀잎 중의 하나로 끼여 앉아 있는 거구나!’
순간, 지금까지 흥분해 있던 마음이 가시고, 실망(失望)되는 마음조차 터놓을 수 없는, 그런 야릇한 기분에 싸이고 말았다. 현이는 바로 그런 역을 맡고 있었다.
(나) 사실, 우리 집 애가 반드시 남의 눈에 띄는 중요한 역을 맡아야 한다든지, 조금이라도 나은 역을 해야 한다는 생각은 조금도 없었다. 다만, 엄마는 자기 아이한테 제일 먼저 관심이 가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현이가 눈에 띄지 않는 데에 실망하였을 뿐이다. 그러는 동안에 연극은 끝났다. 얼굴에 빨갛고 꺼멓게 분장을 한 아이들 틈에서 한참만에 현이를 찾았다.
(다) “엄마, 그럼 나 못 보았지? 아유, 난 내 뒤에 있던 참새가 앞으로 나가면서 건드리는 바람에 모자가 벗겨져서, 그것을 엄마가 보았으면 어떻게 하나 하고 얼마나 걱정을 했는지 몰라. 금방 집어 썼는데, 엄마 못 봤지?”
이렇게 말하는 것이 아닌가? 나는 현이의 이 말에 또 한번 마음 속으로 놀랐다. ㉠그리고 미안한 생각이 들었다. 비록 눈에 잘 안 띄는 풀잎 역을 하였지만, 현이는 풀잎으로서의 자기의 역할에 충실했으며, 엄마가 자기를 꼭 보아주리라는 확신 때문에 더욱 열심히 연기를 하였고, 오히려 자기의 실수를 엄마가 보았을까 걱정을 했던 것이다.
이 글의 내용을 잘못 이해한 것은?
① 현이는 눈에 잘 띄지 않는 역을 맡았다.
② ‘나’는 현이에게 미안한 감정을 느끼고 있다.
③ 현이는 자신이 맡은 배역을 최선을 다해 연기하였다.
④ 현이는 자신의 실수를 엄마가 보았을까봐 염려하고 있다.
⑤ 현이는 엄마가 자신의 연기를 보지 못한 사실을 알고 실망하였다.
주5) 이 글의 주제를 본문의 말을 이용하여 ‘~자’형식으로 문장으로 쓰시오.
주6) ㉠의 이유가 무엇인지를 한 문장으로 쓰시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얼굴 하나야
손바닥 둘로
폭 가리지만,
보고픈 마음
㉠호수만하니
눈 감을밖에
이 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중심 소재는 ‘호수’이다.
② 2연 6행의 간결한 구조이다.
③ 대상을 의인화하여 표현하였다.
④ 대조적인 방법으로 주제를 강조하였다.
⑤ 시적 화자의 주된 정서는 ‘그리움’이다.
㉠의 ‘호수’가 지닌 의미로 가장 알맞은 것은?
① 청결하다 ② 잔잔하다 ③ 평화롭다 ④ 포근하다 ⑤ 넓고 깊다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오늘의 부모(父母)들은 자녀들의 생활 태도에 대하여 간섭을 하지 않는다. 자녀들이 자유롭게 크도록 내버려두는 것이다. 원칙적으로 매우 타당한 방침 같기도 한데, 그 결과는 별로 좋지 않다. 제멋대로 내버려두어도 배울 것을 제대로 배우는 질서 정연하고 밝은 사회라면 괜찮을지 모른다. 그러나 현실이 그렇지 못한 까닭에, 실제에 있어서는 가정 교육의 부재(不在)에 가까운 결과를 가져오곤한다.
(나) 간섭을 하지 않는 개방적인 가정 분위기가 좋은 점도 있다. 성격이 활달한 젊은이로 자라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그러나 이런 개방적인 분위기에서는 ㉠자녀들이 자기중심적 인간(人間)으로 성장하기 쉽다는 사실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 모든 생물이 그렇듯이, 인간도 적절한 교육을 받음으로써 사회화되고 자아(自我)의 푹을 넓히게 되는 것인데, 제멋대로 내버려 두면 자기 중심적인 껍질을 벗기가 어려운 것이다.
이 글에서 오늘날의 가정 교육에 대한 지은이의 태도는?
① 낙관적이다. ② 비판적이다.
③ 절망적이다. ④ 긍정적이다.
⑤ 예찬적이다.
㉠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볼 수 있는 것은?
① 급속한 문명의 발달
② 젊은이들의 성격 변화
③ 무질서한 사회적 분위기
④ 올바른 가정 교육의 부재
⑤ 자녀들에 대한 지나친 간섭
-----------------------------------------------------------------------------------------------------------------------------------------------------------
정답
④ 주1>벚꽃은 쉽게 변하지만 푸른 솔은 변함이 없어서 ⑤ ① ① ④
③ ④ ⑤ ②
③ ⑤ ⑤ ④ 주2>비오는 날 혼자서 처음 걷는 것 ①
주3>지혜, 감사, 마음속기원, 따뜻한사랑 ② ①
주4>학문에 있어 자만하는 아들에게 스스로 터득한 지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⑤ 주5> 자신의 역할에 충실하자.
주6>현이는 자기의 역할에 충실했는데 엄마는 현이가 맡은 역에 실망했었기 때문이다.
③ ⑤ ② 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