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30
<정답>
<정답>
본문내용
기 전에 와 주기만 할 양이면
(심훈 ‘그 날이 오면’)
③ 저럴 땐 얼굴들이 나를 향해 피는 꽃 같습니다/ 봄이 오 는 아이들의 앞과 등의 저 눈부심이 좋아/ 이 봄에 형님 이 더욱 그립습니다.
(김용택 ‘교실 창가에서’)
④ 꽃씨만 한 행복을 이마에 얹고/ 해에게 준 마음 후회
없어라/ 혼자서 생각하다 혼자서 별을 헤다/ 땅에서 하늘 에서 다시 피는 민들레
(이혜인 ‘민들레의 연가’)
⑤ 짝 잃은 기러기 새벽 하늘에/ 외마디 소리 이끌며 별밭을 가네 // 단 한잠도 못 맺는 기나긴 겨울밤을/ 기러기 홀 로 나 홀로 잠든 천지에 울며 헤매네
(심훈 ‘짝 잃은 기러기’)
(28-30)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가) 운동장이 끝나는 곳에 펼쳐진 강물의 색깔은 볼 때마다 다르다. 바람이 이는지 물빛이 찬란하게 반짝인다. 저렇게 작은 물빛들이 모여서 저렇게 크고 아름다운 강이 된다. 그 강물 위로 하얀 학들이 천천히 날아간다.
어느 날은 학이 열 마리쯤 공중에서 너울너울 춤을 추는 것을 오래오래 본 적도 있다. 아무것도 걸릴 것이 없는 허공에서 하얀 학들이 그렇게 부드럽게 날며 춤을 추는 것을 나는 처음 보았다. 참으로 아름답고 신비로운 춤이었다. 좋다. 나는 이렇게 가만히 앉아서, 산이며 물이며 나무와 새와 다람쥐를, 창우와 다희를 바라보는 것을 좋아한다.
(나) 아버님은
풀과 나무와 흙의 바람과 물과 햇빛으로
집을 지으시고
그 집에 살며
곡식을 가꾸셨다.
나는
무엇으로 시를 쓰는가.
나도 아버지처럼
풀과 나무와 흙과 바람과 물과 햇빛으로
시를 쓰고
그 시 속에서 살고 싶다.
(다) 보리피리 불며
봄 언덕
㉠고향 그리워
피-ㄹ 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꽃 청산
㉢어린 때 그리워
피-ㄹ 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인환(人)의 거리
인간사 그리워
피-ㄹ 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방랑의 기산하(氣山河)
눈물의 언덕을 지나
피-ㄹ 닐니리.
--------------------------------------------------------
28. (가)와 (나)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3.3)
① (가)글은 작가의 생각과 경험이 직접 드러나는 글이다.
② (가),(나) 모두 향토적 소재를 나열하여 부드러운
정감을 자아내고 있다.
③ (가),(나) 글의 작가는 자연 속에서 아이들과 생활하는
것을 좋아한다.
④ (가)글은 선명한 색감을 대비시키면서 주변 환경을 직접
설명하는 방법으로 표현하고 있다.
⑤ (나)글은 농부와 시인의 삶을 비교함으로써 자연
속에서의 삶에 대한 소망을 드러내고 있다.
29. (다)시에서의 성격이 다른 하나는? (3.7)
① ㉠ ② ㉡ ③ ㉢ ④ ㉣ ⑤ ㉤
30. (다)시의 내용을 근거로 할 때 이 시를 쓴 작가의
연보로 적절한 것은? (3.7)
① 1919년 재학 중 3.1운동에 참여한 죄목으로 옥고를
치른 후 일경에 쫓겨 다니느라 방랑의 생활을 함.
② 1949년 첫시집에서 자신의 천형(天刑)의 병고를 구슬프 게 읊은 시를 애조 띤 가락으로 표현하여 충격적인 반응 을 일으킴.
③ 1985년 ‘섬진강’의 8편의 시를 쓰면서 등단한 후 줄곳
자연과 교사로서의 삶을 노래한 시작 활동을 계속함.
④ 수도자로서의 삶과 고독, 사랑과 우정, 동심과 생의
예찬 등을 담을 싱그러운 시를 발표하여 1981년 새싹문 학상을 받음.
⑤ 1926년 식민지 상황을 극복하려는 강렬한 저항 의식을
형상화한 소설을 쓰고 투옥된 후 방랑의 생활을 함.
- 끝 -
<정답>
34555
41553
13134
11222
34(24)23
11452
(심훈 ‘그 날이 오면’)
③ 저럴 땐 얼굴들이 나를 향해 피는 꽃 같습니다/ 봄이 오 는 아이들의 앞과 등의 저 눈부심이 좋아/ 이 봄에 형님 이 더욱 그립습니다.
(김용택 ‘교실 창가에서’)
④ 꽃씨만 한 행복을 이마에 얹고/ 해에게 준 마음 후회
없어라/ 혼자서 생각하다 혼자서 별을 헤다/ 땅에서 하늘 에서 다시 피는 민들레
(이혜인 ‘민들레의 연가’)
⑤ 짝 잃은 기러기 새벽 하늘에/ 외마디 소리 이끌며 별밭을 가네 // 단 한잠도 못 맺는 기나긴 겨울밤을/ 기러기 홀 로 나 홀로 잠든 천지에 울며 헤매네
(심훈 ‘짝 잃은 기러기’)
(28-30) 문제를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가) 운동장이 끝나는 곳에 펼쳐진 강물의 색깔은 볼 때마다 다르다. 바람이 이는지 물빛이 찬란하게 반짝인다. 저렇게 작은 물빛들이 모여서 저렇게 크고 아름다운 강이 된다. 그 강물 위로 하얀 학들이 천천히 날아간다.
어느 날은 학이 열 마리쯤 공중에서 너울너울 춤을 추는 것을 오래오래 본 적도 있다. 아무것도 걸릴 것이 없는 허공에서 하얀 학들이 그렇게 부드럽게 날며 춤을 추는 것을 나는 처음 보았다. 참으로 아름답고 신비로운 춤이었다. 좋다. 나는 이렇게 가만히 앉아서, 산이며 물이며 나무와 새와 다람쥐를, 창우와 다희를 바라보는 것을 좋아한다.
(나) 아버님은
풀과 나무와 흙의 바람과 물과 햇빛으로
집을 지으시고
그 집에 살며
곡식을 가꾸셨다.
나는
무엇으로 시를 쓰는가.
나도 아버지처럼
풀과 나무와 흙과 바람과 물과 햇빛으로
시를 쓰고
그 시 속에서 살고 싶다.
(다) 보리피리 불며
봄 언덕
㉠고향 그리워
피-ㄹ 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꽃 청산
㉢어린 때 그리워
피-ㄹ 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인환(人)의 거리
인간사 그리워
피-ㄹ 닐니리.
보리피리 불며
㉤방랑의 기산하(氣山河)
눈물의 언덕을 지나
피-ㄹ 닐니리.
--------------------------------------------------------
28. (가)와 (나)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못한 것은? (3.3)
① (가)글은 작가의 생각과 경험이 직접 드러나는 글이다.
② (가),(나) 모두 향토적 소재를 나열하여 부드러운
정감을 자아내고 있다.
③ (가),(나) 글의 작가는 자연 속에서 아이들과 생활하는
것을 좋아한다.
④ (가)글은 선명한 색감을 대비시키면서 주변 환경을 직접
설명하는 방법으로 표현하고 있다.
⑤ (나)글은 농부와 시인의 삶을 비교함으로써 자연
속에서의 삶에 대한 소망을 드러내고 있다.
29. (다)시에서의 성격이 다른 하나는? (3.7)
① ㉠ ② ㉡ ③ ㉢ ④ ㉣ ⑤ ㉤
30. (다)시의 내용을 근거로 할 때 이 시를 쓴 작가의
연보로 적절한 것은? (3.7)
① 1919년 재학 중 3.1운동에 참여한 죄목으로 옥고를
치른 후 일경에 쫓겨 다니느라 방랑의 생활을 함.
② 1949년 첫시집에서 자신의 천형(天刑)의 병고를 구슬프 게 읊은 시를 애조 띤 가락으로 표현하여 충격적인 반응 을 일으킴.
③ 1985년 ‘섬진강’의 8편의 시를 쓰면서 등단한 후 줄곳
자연과 교사로서의 삶을 노래한 시작 활동을 계속함.
④ 수도자로서의 삶과 고독, 사랑과 우정, 동심과 생의
예찬 등을 담을 싱그러운 시를 발표하여 1981년 새싹문 학상을 받음.
⑤ 1926년 식민지 상황을 극복하려는 강렬한 저항 의식을
형상화한 소설을 쓰고 투옥된 후 방랑의 생활을 함.
- 끝 -
<정답>
34555
41553
13134
11222
34(24)23
11452
추천자료
에밀리를 위한 장미
『마의 산』의 서술구조. 서술상황으로 본 ‘이야기’의 이해
[작가론]공지영론 -옹호
서영은의「먼그대」와 은희경의「아내의 상자」
[과외]중학 국어 2-2학기 중간 예상문제 07
[독후감]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공
퍼소나
이청준 「매잡이」분석
전경린-염소르 모는 여자
중학교 국어 1학기 6단원 작품 속의 말하는 이 (단원 학습목표, 단원 지도 계획)
[독후감,서평] 도스토예프스키의 '지하생활자수기'을 읽고
[영화 감상] 밀양을 보고서
가사(가사문학) 복선화음가, 면앙정가 작품분석, 가사(가사문학) 합강정가, 우희국사가 작품...
가전체(가전체문학)의 개념, 가전체(가전체문학)의 성격, 가전체(가전체문학)의 주요작품,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