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⑤ 50 g
13. 최소 눈금이 인 자로 측정한 측정값이 일 때, 오차의 한계는 ?
① ② ③ (광남, 신암)
④ ⑤
14.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 의 참값을 라 할 때, 의 범위는 ?
① ② (목동, 서일)
③ ④
⑤
15.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 72.60kg의 오차의 한계는 ? (남서울, 경원)
① 5 g ② 30 g ③ 50 g
④ 100 g ⑤ 500 g
16. 최소 눈금이 100g인 저울로 측정하여 얻은 측정값 43.1kg의 오차의 한계를 구하여라. (잠실, 영동)
17. 의 근사값으로 0.4를 잡을 때, 오차의 한계를 소수 둘째 자리까지 구하여라. (중앙여, 경희여)
18. 반올림하여 얻은 측정값 316의 참값은 가장 작은 경우 얼마인가 ?
① 310② 315 (은광여, 언남)
③ 315. 5④ 316
⑤ 316. 5
19. 반올림하여 얻은 측정값에서 참값의 범위가 다음과 같을 때, 오차의 한계를 구하여라. (중원, 영파여)
20.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 의 참값을 라 할 때, 참값 의 범위는 ?
① ② (강남여, 고명)
③ ④
⑤
21. 다음 근사값 중 밑줄 친 부분이 유효숫자가 분명한 것은 ? (광명북, 아주)
① 0. 02② 0. 45 ③ 23. 0
④ 320⑤ 1200
22. 최소 눈금 단위가 100g인 저울로 어떤 물건의 무게를 측정하였더니 340000g이었다. 유효숫자를 구하면 ? (방학, 서문여)
① 3, 4② 3, 4, 0 ③ 3, 4, 0, 0
④ 3, 4, 0, 0, 0⑤ 3, 4, 0, 0, 0, 0
23. 근사값 에서 반올림한 자리는 ? (과천문원, 둔촌)
① 1 의 자리 ② 10 의 자리 ③ 100 의 자리
④ 1000 자리 ⑤ 10000 자리
24.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 의 오차의 한계를 구하시오.
(상경, 언북)
25. 다음 중 가장 정확한 근사값은 ? (중평, 신반포)
① ② ③
④ ⑤
26. 근사값 에서 유효숫자의 개수는 ? (강남, 원촌)
① 1 개 ② 2 개 ③ 3 개
④ 4 개 ⑤ 5 개
27.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 0.0460을 유효숫자와 10의 거듭제곱의 곱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 (중계, 언남)
① ② ③
④ ⑤
28.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 의 오차의 한계를 구하면 ?
① ② ③ (신정여, 보성)
④ ⑤
29. 다음 <보기>의 근사값에서 밑줄 친 숫자 0이 확실한 유효숫자가 되는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노곡, 개원)
① 5 개 ② 4 개 ③ 3 개
④ 2 개 ⑤ 1 개
30. 측정값 은 몇 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인가 ?
① 천의 자리 ② 백의 자리 (상계여, 언주)
③ 십의 자리 ④ 일의 자리
⑤ 소수 첫째 자리
31. 반올림하여 얻는 근사값 에 대하여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
① 십의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이다. (백석, 방이)
② 오차의 한계는 5이다.
③ 참값이 2302이면 오차는 2이다.
④ 유효숫자는 2, 3의 2개이다.
⑤ 참값 의 범위는 이다.
1. ④
의 유효숫자가 이므로 최소눈금은 이다. 따라서 오차의 한계는 의 절반인 이다.
2. ⑤
에서 밑줄 그은 부분이 유효 숫자이므로 십의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3.
근사값의 곱셈은 유효숫자의 개수를 맞추고, 덧셈은 유효숫자의 끝자리가 같아지도록 맞추어 계산한다.
이므로
4. (가) (나)
를 라 하면
양변을 으로 나누면
5. ①
참값의 범위는
{(근사값)-(오차의 한계)} (참값) < {(근사값)+(오차의 한계)} 이므로
6. ①
근사값의 곱셈, 나눗셈은 유효숫자와 개수를 맞추어 계산한 후 계산결과를 유효숫자의 개수에 맞춘다.
7. ①
근사값 : 2800명, 오차 : 12명
(오차)=(근사값)-(참값)이므로
(참값)
8. ⑤
참값 : , 근사값 :
(오차)=(근사값)-(참값)
9.
참값 : 근사값 :
(오차)=(근사값)-(참값)
10. ②
(오차)=(근사값)-(참값)에서
(참값)=(근사값)-(오차)
11. 0.5kg
참값이 측정값 46kg에서 가장 멀리 떨어졌을 때가 45.5kg이고, 이 때, 46kg과의 차는 0.5kg이다. 따라서, (오차의 절대값)0.5(kg)이다.
12. ③
34g의 맨 끝자리 단위값이 1g이다.
∴ (오차의 한계)
0.5(g)
13. ③
측정 계기의 최소 눈금은 끝자리의 단위가 된다. 따라서, 오차의 한계는 최소 눈금 단위값이 이다.
∴ (오차의 한계)
14. ①
오차의 한계를 구하면
따라서, 참값 의 범위는
15. ①
맨 끝자리의 단위값이 이다.
∴ (오차의 한계)
16.
최소 눈금이 이다.
17.
오차는
(오차의 절대값)
∴ (오차의 한계)
18. ③
오차의 한계가 이므로
(참값)
(참값)
즉, 참값은 가장 작은 경우 이다.
19.
참값의 범위
6.25 6.3 6.35
오차의 한계
∴ (오차의 한계)
20. ⑤
의 최소 눈금은 이므로 오차의 한계는 0.05이다.
따라서 참값 의 범위는
21. ③
의 0은 자리를 나타내기 위한 숫자이고, 의 은 유효숫자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
22. ③
23. ②
근사값은 유효숫자의 끝자리의 다음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얻은 것이다.
24.
의 오차의 한계는 이므로 의 오차의 한계는
25. ②
각각의 오차의 한계를 구하면
① ②
③ ④
⑤
오차의 한계가 작을수록 정확하므로 가장 정확한 값은 ②이다.
26. ④
근사값 에서 의 각 자리의 숫자가 유효숫자이므로 근사값 의 유효숫자는 으로 개다.
27. ④
근사값 의 유효숫자는 이므로
28. ④
에서 끝자리는 의 자리이므로 오차의 한계는
29. ③
에서 앞의 두 개는 단지 자리를 나타내는 숫자이고 뒤의 두 개는 유효숫자이다. 에서 반올림한 자리를 알 수 없으므로 유효숫자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
에서 은 유효숫자이다.
따라서, 유효숫자는 개다.
30. ③
에서 유효숫자는 개이므로 십의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이다.
31. ②
① 에서 유효숫자는 개이므로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이다.
② 오차의 한계는 이다.
③ (오차)
④ 유효숫자는 의 개다.
⑤ 참값 의 범위는
내신문제 연구소
13. 최소 눈금이 인 자로 측정한 측정값이 일 때, 오차의 한계는 ?
① ② ③ (광남, 신암)
④ ⑤
14.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 의 참값을 라 할 때, 의 범위는 ?
① ② (목동, 서일)
③ ④
⑤
15.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 72.60kg의 오차의 한계는 ? (남서울, 경원)
① 5 g ② 30 g ③ 50 g
④ 100 g ⑤ 500 g
16. 최소 눈금이 100g인 저울로 측정하여 얻은 측정값 43.1kg의 오차의 한계를 구하여라. (잠실, 영동)
17. 의 근사값으로 0.4를 잡을 때, 오차의 한계를 소수 둘째 자리까지 구하여라. (중앙여, 경희여)
18. 반올림하여 얻은 측정값 316의 참값은 가장 작은 경우 얼마인가 ?
① 310② 315 (은광여, 언남)
③ 315. 5④ 316
⑤ 316. 5
19. 반올림하여 얻은 측정값에서 참값의 범위가 다음과 같을 때, 오차의 한계를 구하여라. (중원, 영파여)
20.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 의 참값을 라 할 때, 참값 의 범위는 ?
① ② (강남여, 고명)
③ ④
⑤
21. 다음 근사값 중 밑줄 친 부분이 유효숫자가 분명한 것은 ? (광명북, 아주)
① 0. 02② 0. 45 ③ 23. 0
④ 320⑤ 1200
22. 최소 눈금 단위가 100g인 저울로 어떤 물건의 무게를 측정하였더니 340000g이었다. 유효숫자를 구하면 ? (방학, 서문여)
① 3, 4② 3, 4, 0 ③ 3, 4, 0, 0
④ 3, 4, 0, 0, 0⑤ 3, 4, 0, 0, 0, 0
23. 근사값 에서 반올림한 자리는 ? (과천문원, 둔촌)
① 1 의 자리 ② 10 의 자리 ③ 100 의 자리
④ 1000 자리 ⑤ 10000 자리
24.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 의 오차의 한계를 구하시오.
(상경, 언북)
25. 다음 중 가장 정확한 근사값은 ? (중평, 신반포)
① ② ③
④ ⑤
26. 근사값 에서 유효숫자의 개수는 ? (강남, 원촌)
① 1 개 ② 2 개 ③ 3 개
④ 4 개 ⑤ 5 개
27.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 0.0460을 유효숫자와 10의 거듭제곱의 곱으로 바르게 나타낸 것은 ? (중계, 언남)
① ② ③
④ ⑤
28.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 의 오차의 한계를 구하면 ?
① ② ③ (신정여, 보성)
④ ⑤
29. 다음 <보기>의 근사값에서 밑줄 친 숫자 0이 확실한 유효숫자가 되는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노곡, 개원)
① 5 개 ② 4 개 ③ 3 개
④ 2 개 ⑤ 1 개
30. 측정값 은 몇 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얻은 근사값인가 ?
① 천의 자리 ② 백의 자리 (상계여, 언주)
③ 십의 자리 ④ 일의 자리
⑤ 소수 첫째 자리
31. 반올림하여 얻는 근사값 에 대하여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
① 십의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이다. (백석, 방이)
② 오차의 한계는 5이다.
③ 참값이 2302이면 오차는 2이다.
④ 유효숫자는 2, 3의 2개이다.
⑤ 참값 의 범위는 이다.
1. ④
의 유효숫자가 이므로 최소눈금은 이다. 따라서 오차의 한계는 의 절반인 이다.
2. ⑤
에서 밑줄 그은 부분이 유효 숫자이므로 십의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3.
근사값의 곱셈은 유효숫자의 개수를 맞추고, 덧셈은 유효숫자의 끝자리가 같아지도록 맞추어 계산한다.
이므로
4. (가) (나)
를 라 하면
양변을 으로 나누면
5. ①
참값의 범위는
{(근사값)-(오차의 한계)} (참값) < {(근사값)+(오차의 한계)} 이므로
6. ①
근사값의 곱셈, 나눗셈은 유효숫자와 개수를 맞추어 계산한 후 계산결과를 유효숫자의 개수에 맞춘다.
7. ①
근사값 : 2800명, 오차 : 12명
(오차)=(근사값)-(참값)이므로
(참값)
8. ⑤
참값 : , 근사값 :
(오차)=(근사값)-(참값)
9.
참값 : 근사값 :
(오차)=(근사값)-(참값)
10. ②
(오차)=(근사값)-(참값)에서
(참값)=(근사값)-(오차)
11. 0.5kg
참값이 측정값 46kg에서 가장 멀리 떨어졌을 때가 45.5kg이고, 이 때, 46kg과의 차는 0.5kg이다. 따라서, (오차의 절대값)0.5(kg)이다.
12. ③
34g의 맨 끝자리 단위값이 1g이다.
∴ (오차의 한계)
0.5(g)
13. ③
측정 계기의 최소 눈금은 끝자리의 단위가 된다. 따라서, 오차의 한계는 최소 눈금 단위값이 이다.
∴ (오차의 한계)
14. ①
오차의 한계를 구하면
따라서, 참값 의 범위는
15. ①
맨 끝자리의 단위값이 이다.
∴ (오차의 한계)
16.
최소 눈금이 이다.
17.
오차는
(오차의 절대값)
∴ (오차의 한계)
18. ③
오차의 한계가 이므로
(참값)
(참값)
즉, 참값은 가장 작은 경우 이다.
19.
참값의 범위
6.25 6.3 6.35
오차의 한계
∴ (오차의 한계)
20. ⑤
의 최소 눈금은 이므로 오차의 한계는 0.05이다.
따라서 참값 의 범위는
21. ③
의 0은 자리를 나타내기 위한 숫자이고, 의 은 유효숫자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
22. ③
23. ②
근사값은 유효숫자의 끝자리의 다음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얻은 것이다.
24.
의 오차의 한계는 이므로 의 오차의 한계는
25. ②
각각의 오차의 한계를 구하면
① ②
③ ④
⑤
오차의 한계가 작을수록 정확하므로 가장 정확한 값은 ②이다.
26. ④
근사값 에서 의 각 자리의 숫자가 유효숫자이므로 근사값 의 유효숫자는 으로 개다.
27. ④
근사값 의 유효숫자는 이므로
28. ④
에서 끝자리는 의 자리이므로 오차의 한계는
29. ③
에서 앞의 두 개는 단지 자리를 나타내는 숫자이고 뒤의 두 개는 유효숫자이다. 에서 반올림한 자리를 알 수 없으므로 유효숫자인지 아닌지 알 수 없다.
에서 은 유효숫자이다.
따라서, 유효숫자는 개다.
30. ③
에서 유효숫자는 개이므로 십의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이다.
31. ②
① 에서 유효숫자는 개이므로 일의 자리에서 반올림한 것이다.
② 오차의 한계는 이다.
③ (오차)
④ 유효숫자는 의 개다.
⑤ 참값 의 범위는
내신문제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