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207~251번
정답
정답
본문내용
240. 2행정 사이클 기관에서 상승, 행정 만으로 바르게 짝지어 진 것은?
(중)
①흡입, 점화, 압축행정
②폭발, 배기, 소기행정
③압축, 폭발행정
④흡입, 점화, 배기행정
⑤배기, 소기, 압축행정
241. 두 개의 바퀴면을 직접 접촉시켜 마찰력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는?
(중)
①캠 ②링크 ③체인 ④벨트 ⑤마찰차
242.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바꾸거나 그 반대일 때 사용하는 기어는?
(중)
①평기어 ②베벨기어 ③윔과 윔기어
④래크와 피니언 ⑤스크루기어
243. 체인 전동의 특징이 아닌 것은?
(중)
①큰 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②고속회전에 매우 적합하다.
③소음을 일으키기 쉽다.
④진동을 일으키기 쉽다.
⑤확실한 전동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244.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의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중)
245. 운동하고 있는 물체의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게 하는 기계 요소를 무엇이라 하는가?
(중)
246. 몇 개의 막대를 핀으로 연결하여 주동절의 일정한 운동을 종동절에 다른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것은?
(중)
247. 자동장치에서 4기통 기관이라는 말은 실린더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중)
248. 나사의 크기는 무엇으로 나타내는가?
(중)
중2기술
Ⅰ재료의 이용
249. 다음 그림은 나사의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빗변이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중)
250. 고속으로 회전을 하는 축에는 롤러 베어링보다 볼 베어링이 적합한 이유를 괄호 안의 단어를 사용하여 간략히 쓰시오.
(마찰, 접촉면)
(중)
251. 원동절의 회전 운동을 종동절의 직선 운동이나 왕복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전동용 기계 요소는?
(중)
207. 2
208. 5
209. 2
210. 2
211. 4
212. 1
213. 1
214. 3
215. 5
216. 4
217. 5
218. 1
219. 3
220. 3
221. 5
222. 5
223. 5
224. 3
225. 4
226. 3
227. 4
228. 3
229. 3
230. 2
231. 1
232. 2
233. 4
234. 리드
235. 블록 브레이크
236. 행정
237. 3
238. 4
239. 3
240. 1
241. 5
242. 4
243. 2
244. 피치
중2기술
Ⅱ 기계의 이용
245. 브레이크
246. 링크 장치
247. 4실린더
248. 바깥 지름
249. 나사선
250. 볼베어링-점접촉, 롤러베어링-선접촉
251. 캠
(중)
①흡입, 점화, 압축행정
②폭발, 배기, 소기행정
③압축, 폭발행정
④흡입, 점화, 배기행정
⑤배기, 소기, 압축행정
241. 두 개의 바퀴면을 직접 접촉시켜 마찰력에 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는?
(중)
①캠 ②링크 ③체인 ④벨트 ⑤마찰차
242. 회전 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바꾸거나 그 반대일 때 사용하는 기어는?
(중)
①평기어 ②베벨기어 ③윔과 윔기어
④래크와 피니언 ⑤스크루기어
243. 체인 전동의 특징이 아닌 것은?
(중)
①큰 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②고속회전에 매우 적합하다.
③소음을 일으키기 쉽다.
④진동을 일으키기 쉽다.
⑤확실한 전동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244. 나사산과 나사산 사이의 거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중)
245. 운동하고 있는 물체의 속도를 줄이거나 멈추게 하는 기계 요소를 무엇이라 하는가?
(중)
246. 몇 개의 막대를 핀으로 연결하여 주동절의 일정한 운동을 종동절에 다른 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것은?
(중)
247. 자동장치에서 4기통 기관이라는 말은 실린더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중)
248. 나사의 크기는 무엇으로 나타내는가?
(중)
중2기술
Ⅰ재료의 이용
249. 다음 그림은 나사의 원리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에서 빗변이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중)
250. 고속으로 회전을 하는 축에는 롤러 베어링보다 볼 베어링이 적합한 이유를 괄호 안의 단어를 사용하여 간략히 쓰시오.
(마찰, 접촉면)
(중)
251. 원동절의 회전 운동을 종동절의 직선 운동이나 왕복운동으로 바꾸어 주는 전동용 기계 요소는?
(중)
207. 2
208. 5
209. 2
210. 2
211. 4
212. 1
213. 1
214. 3
215. 5
216. 4
217. 5
218. 1
219. 3
220. 3
221. 5
222. 5
223. 5
224. 3
225. 4
226. 3
227. 4
228. 3
229. 3
230. 2
231. 1
232. 2
233. 4
234. 리드
235. 블록 브레이크
236. 행정
237. 3
238. 4
239. 3
240. 1
241. 5
242. 4
243. 2
244. 피치
중2기술
Ⅱ 기계의 이용
245. 브레이크
246. 링크 장치
247. 4실린더
248. 바깥 지름
249. 나사선
250. 볼베어링-점접촉, 롤러베어링-선접촉
251. 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