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마케팅의 핵심개념과 정의
1.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
2. 소비자의 만족과 가치
3. 교환
4. 시장
Ⅱ. 마케팅기능과 마케팅관리
1. 마케팅믹스(marketing mix)
2. 마케팅관리과정
Ⅲ. 중소기업과 마케팅활동
1. 중소기업과 마케팅
2.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마케팅활동의 현실
(1) 마케팅활동의 수행여부의 정도
(2) 마케팅활동에 대한 중요성과 현실
(3)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마케팅경쟁력
1. 소비자의 필요와 욕구
2. 소비자의 만족과 가치
3. 교환
4. 시장
Ⅱ. 마케팅기능과 마케팅관리
1. 마케팅믹스(marketing mix)
2. 마케팅관리과정
Ⅲ. 중소기업과 마케팅활동
1. 중소기업과 마케팅
2. 우리나라의 중소기업 마케팅활동의 현실
(1) 마케팅활동의 수행여부의 정도
(2) 마케팅활동에 대한 중요성과 현실
(3)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마케팅경쟁력
본문내용
격경쟁력 106.9로 경쟁력이 우위라고 평가하고 있는 반면, 마케팅조직/인력 60.1, 광고 및 판촉활동능력 73.2, 마케팅정보수집 능력 79.1, 시장환경분석능력 83.4로 상대적으로 취약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마케팅경쟁력 종합지수
부문별
구분
마케팅조직/인력
가격경쟁력
품질경쟁력
브랜드인지도
디자인 능력
납기
준수 능력
광고및 판촉활동능력
고객이미지 관리능력
마케팅 정보수집능력
시장환경 분석능력
판매능력
종합
국내경쟁사 대비
79.3
116.1
137.5
115.0
110.9
139.8
83.3
123.3
89.4
95.6
103.5
108.6
해외경쟁사 대비
60.1
106.9
126.4
90.2
101.9
133.4
73.2
108.6
79.1
83.4
88.6
96.1
(단위: 점)
주:
1. 마케팅경쟁력 지수를 이용한 마케팅경쟁력 평가방법은 마케팅경쟁력 항목별로 5점 서열척도를 배분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후 전체 응답빈도수로 나누어 산출하였음. 1)매우 열위는 가중치 0, 2)열위는 가중치 50 3)보통은 가중치 100, 4)우위는 가중치 150, 5)매우 우위는 가중치 200을 부여함.
2. 마케팅경쟁력 지수=(매우열위응답빈도■0+열위응답빈도■50+보통응답빈도■100+우위응답빈도■150+매우우위응답빈도■200 / 전체 응답빈도수) 단, 범위: 0≤마케팅경쟁력 지수≤200
3. 마케팅경쟁력 지수 해석: 경쟁력 지수가 100이상이면 국내외 경쟁사 대비 마케팅경쟁력 수준이 높다고 해석하며, 100이면 경쟁사와 비슷한 수준, 100미만이면 경쟁사 대비 마케팅경쟁력 수준이 낮다고 해석함.
자료: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중소제조업 마케팅활동 및 애로요인조사 보고서, 2003.12
한편,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마케팅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복수응답비율)는 ‘자체 마케팅 전문인력 양성 및 확보(46.8%)’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항이라고 지적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제품/고객관련 서비스경쟁력 향상(42.6%)’과 ‘과학적 시장조사 및 시장분석능력 향상(36.0%)’을 지적하였다. 이 밖에도 시급해 해결해야 할 사항으로 제품광고 및 홍보능력 향상(25.4%), 브랜드 개발능력 향상(20.4%), 디자인개발 능력향상(18.2%)도 함께 지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들은 마케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복수응답비율)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살펴보면 ‘마케팅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이 41.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유용한 해외시장정보 제공(36.4%)’, ‘해외전시회 참가소요비용 지원(34.7%)’, ‘내수기업의 수출기업 육성지원(33.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도 ‘전시판매장 건립 등 인프라 확충(17.5%)’, ‘해외시장 개척단 파견 확대(14.5%)’, ‘전자상거래/전자무역 활성화 대책(11.8%)’, ‘국내 공동물류시설 설치확대(10.5%)’ 등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마케팅경쟁력 종합지수
부문별
구분
마케팅조직/인력
가격경쟁력
품질경쟁력
브랜드인지도
디자인 능력
납기
준수 능력
광고및 판촉활동능력
고객이미지 관리능력
마케팅 정보수집능력
시장환경 분석능력
판매능력
종합
국내경쟁사 대비
79.3
116.1
137.5
115.0
110.9
139.8
83.3
123.3
89.4
95.6
103.5
108.6
해외경쟁사 대비
60.1
106.9
126.4
90.2
101.9
133.4
73.2
108.6
79.1
83.4
88.6
96.1
(단위: 점)
주:
1. 마케팅경쟁력 지수를 이용한 마케팅경쟁력 평가방법은 마케팅경쟁력 항목별로 5점 서열척도를 배분하여 가중치를 부여한 후 전체 응답빈도수로 나누어 산출하였음. 1)매우 열위는 가중치 0, 2)열위는 가중치 50 3)보통은 가중치 100, 4)우위는 가중치 150, 5)매우 우위는 가중치 200을 부여함.
2. 마케팅경쟁력 지수=(매우열위응답빈도■0+열위응답빈도■50+보통응답빈도■100+우위응답빈도■150+매우우위응답빈도■200 / 전체 응답빈도수) 단, 범위: 0≤마케팅경쟁력 지수≤200
3. 마케팅경쟁력 지수 해석: 경쟁력 지수가 100이상이면 국내외 경쟁사 대비 마케팅경쟁력 수준이 높다고 해석하며, 100이면 경쟁사와 비슷한 수준, 100미만이면 경쟁사 대비 마케팅경쟁력 수준이 낮다고 해석함.
자료: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 중소제조업 마케팅활동 및 애로요인조사 보고서, 2003.12
한편,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마케팅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복수응답비율)는 ‘자체 마케팅 전문인력 양성 및 확보(46.8%)’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사항이라고 지적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제품/고객관련 서비스경쟁력 향상(42.6%)’과 ‘과학적 시장조사 및 시장분석능력 향상(36.0%)’을 지적하였다. 이 밖에도 시급해 해결해야 할 사항으로 제품광고 및 홍보능력 향상(25.4%), 브랜드 개발능력 향상(20.4%), 디자인개발 능력향상(18.2%)도 함께 지적하고 있다.
이와 함께 중소기업들은 마케팅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을 필요로 하고 있는 것(복수응답비율)으로 나타났는데, 이를 살펴보면 ‘마케팅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지원’이 41.4%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는 ‘유용한 해외시장정보 제공(36.4%)’, ‘해외전시회 참가소요비용 지원(34.7%)’, ‘내수기업의 수출기업 육성지원(33.4%)’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 밖에도 ‘전시판매장 건립 등 인프라 확충(17.5%)’, ‘해외시장 개척단 파견 확대(14.5%)’, ‘전자상거래/전자무역 활성화 대책(11.8%)’, ‘국내 공동물류시설 설치확대(10.5%)’ 등도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천자료
중소기업 환위험(환리스크)의 지원내용, 중소기업 환위험(환리스크)의 현황, 중소기업 환위험...
중소기업 경영의 필요성, 중소기업 경영의 목표, 중소기업 경영의 환경, 중소기업 경영의 M&a...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외국인투자, 지원설비,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주식매수선택권, ...
지역중소기업(지방중소기업)의 구조변화, 지역중소기업(지방중소기업)의 세금, 지역중소기업(...
중소기업 조세지원의 세법, 중소기업 조세지원의 학술연구용품, 중소기업 조세지원의 성실신...
중소기업 PL법(제조물책임법)의 성격, 범위, 중소기업 PL법(제조물책임법)의 주요내용, 영향,...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연구, 인력개발, 중소기업 조세지원제도의 법인세, 손금산입, 중소...
중소기업 EC(전자상거래)의 정의, 중소기업 EC(전자상거래)의 특징, 중소기업 EC(전자상거래)...
중소기업 PL법(제조물책임법) 특징, 입법과정, 중소기업 PL법(제조물책임법) 원칙,목적, 중소...
중소기업의 기업가치를 극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방안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쓰세요 - 기업...
중소기업 조세지원의 주식양도차익, 중소기업 조세지원의 생산성향상, 중소기업 조세지원의 ...
중소기업 제조물책임법(PL법)의 중요성, 범위, 중소기업 제조물책임법(PL법)의 영향, 동향, ...
중소기업 금융지원제도, 중소기업 창업지원제도, 중소기업 근로기간단축지원제도, 중소기업 ...
중소기업 지원정책- 중소기업이란,대한민국 중소기업 현황,국내 중소기업 양성정책,외국 중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