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정래시인 작가연혁
2. 태백산맥 작품소개
3. 태백산맥 줄거리
4. 감상평
2. 태백산맥 작품소개
3. 태백산맥 줄거리
4. 감상평
본문내용
1943년 전라남도 승주군 선암사에서 시조 시인인 아버지 조종현(趙宗玄)과 어머니 박성순의 4남 4녀 중 넷째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을 주로 순천과 벌교에서 지내면서 여수•순천사건과 6•25전쟁을 겪게 되는데, 이 경험은 훗날 중요한 문학적 토양으로 작용하게 된다.1962년 동국대학교 국문학과에 입학하여 홍신선(洪申善)•강희근(姜熙根) 등을 만나 시작(詩作)에 몰두했으며, 1967년 시인 김초혜(金初惠)와 결혼했다.. 1970년 《현대문학》에 《누명(陋名)》과 《선생님 기행》이 추천되어 문단에 데뷔한 뒤 1973년 《월간문학》 편집장, 1976년 《소설문예》 발행인으로 활동했다. 1978년에는 도서출판 민예사(民藝社)를 설립하여 1980년까지 대표로 활동했으며, 1985년부터 1989년까지 《한국문학》 주간을 지냈다. 조정래의 작품세계는 《현대문학》에 《태백산맥》을 연재하기 시작한 1983년을 기점으로 하여 그 이전을 전반기, 그 이후를 후반기로 나눌 수 있다. 전반기의 작품에는 작가의 체험을 배제하고 사회의식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강했다. 예를 들어 등단작인 《누명》을 비롯하여 단편소설 《거부반응》(1973)과 《타이거 메이저》(1973)에서는 반미의식을 주제로 다루었고, 또 다른 단편 《이런 식이더이다》(1972) 《빙하기》(1974) 《동맥(動脈)》(1974) 《마술의 손》(1978) 등의 작품에서는 산업사회의 비인간적인 면과 비정함을 그렸다. 중편 《청산댁》(1972) 《비탈진 음지》(1973) 《황토》(1974) 《유형의 땅》(1981) 《박토의 혼》(1983) 등에서는 연좌제의 잔혹함과 불합리성을 민족의 수난과 민중의 삶에 비유하였다. 그런 면에서 1983년 간행된 연작장편 《불놀이》는 작가의 작품 경향이 사회의식에서 역사성으로 옮겨가는 분수령이라고 할 수 있다. 뚜렷한 민족의식을 바탕으로 분단이라는 민족적 비극이 빚어낸 인물들의 고단한 삶을 객관적으로 형상화하고 그러한 비극을 극복하는 길을 모색하게 된 것이다. 장편 《태백산맥》 《아리랑》 《한강》 등이 대표적이다. 《유형의 땅》으로 현대문학상(1981), 《인간의 문》으로 대한민국문학상(1982), 《메아리 메아리》로 소설문학작품상(1984), 《태백산맥》으로 단재문학상(1991), 노신문학상(1998)을 수상했다. 저서에 작품집 《황토》(1974) 《20년을 비가 내리는 땅》(1977) 《한, 그 그늘의 자리》(1978) 《유형의 땅》(1981) 《박토의 혼》(1991) 《조정래 문학전집》(1999)과 장편소설 《대장경》(1981) 《불놀이》(1983) 《어머니의 넋》(1988) 《태백산맥》(1986~1989) 《아리랑》(1994) 등이 있다.
추천자료
RAPD Marker 분석에 의한 사시나무속 Leuce절 계통분류 및 사시나무
해방 공간에서의 반공 이데올로기의 형성과 양민 학살 사건
[레포트]경주답사 레포트-기행문
태풍이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적은 이유
지리산에 관한 자료
동해안 한옥
강원도음식의 일반화
금강산 관광
[경주][경주의 문화재][경주 답사 기행문][경주 답사][경주 기행문]경주와 경주의 문화재 답...
지역사회간호학 -보건진료소
[남북한 종교비교][남북한 여가생활비교][남북한 명절비교][남북한 민속놀이비교][남북한 체...
국내의 관광지를 중심으로 관광자원이 될만한 주제를 설정하여 관광상품을 개발해 보세요.
지역사회 간호과정(삼척시) Case Study
<강원도 어휘> 강원도 지역에 따른 어휘 차이, 어휘의 의미 분화, 강원도 사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