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객관식1~24번
서술형1~8번
서술형1~8번
본문내용
서도 못 잊어 차마 못 잊어 / 야삼경(夜三更) 남 다 자는 반이 깊으면 / 이 산 저 산 옮아가며 슬피 웁니다.
- 김소월, <접동새>
22. (가)를 아래의 작품으로 바꿔 썼다고 가정할 때, 아래의 작품에 고려했을 사항으로 바르게 이해하지 못한 학생은? ①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 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 간 창틈으로 고요히 빗소리
빈 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 기형도, <엄마 생각>
① 민섭 : 가난에 힘들어 하시던 어머니의 한의 모습을 표현하려 한 (가)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썼다고 볼 수 있어.
② 지원 : 방 안이라는 공간에 초점을 두어 시상(詩想)을 집약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야.
③ 대기 : 어머니의 직업을 채소 장사로 바꾸고, 그 일과 관련된 이미지를 새로 만드는 것은 어떨까?
④ 성현 : (가)에서는 오누이를 등장시켰지만, 화자의 정서를 더 강조하기 위해서 화자 혼자 남겨지는 상황을 만들면 더 극적인 효과를 볼 수 있을 거야.
⑤ 상기 : ‘어머니의 힘든 노동’이라는 소재는 그대로 살려야겠지?
23. 다음은 고려 말에 원천석이 쓴 시조이다. 다음의 시조와 씌어진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여, (다)에 나타난 유사한 분위기나 주제와 관련이 있는 것은? ⑤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秋草)로다.
오백 년 왕업이 목적(牧笛)에 부쳐시니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계워 하노라.
① 망양지탄(望洋之嘆) ② 풍수지탄(風樹之嘆)
③ 한단지몽(邯鄲之夢) ④ 만시지탄(晩時之歎)
⑤ 맥수지탄(麥秀之嘆)
24. (다)의 시는 행과 연의 구분이 없는 산문의 형식을 취하고 있음에도 시라고 볼 수 있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②
① 남성적 어조를 통해 소망의 강렬함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② 명사 뒤의 조사를 과감히 생략하여 7.5조의 음수율을 느끼게하기 때문이다.
③ 토속어 사용을 통하여 시적 분위기를 향토적 정감으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④ ‘기승전결’의 4단 구성의 선경후정의 구조를 가지고 시상을 전개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⑤ 망국의 슬프고 어두운 분위기의 소재를 희망적 메시지의 시어로 잘 승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서술형 6. (가)에서 공간적 배경을 통해서 슬프고 어두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시어를 찾아 쓰시오
골방안
서술형 7. (나)에서 ㈂연을 바탕으로 ㈄연을 해석하시오. (단, 시인이 살았던 당대의 삶의 모습들을 중심으로 혼탁한 시대상을 보여주는 주제가 드러나야 할 것)
일제 강점기는 끝났지만, 남과 북이 서로 분열되고 대립함. 민족의 화합과 평화를 주장함
서술형 8. (다)는 퇴락한 궁궐을 시적 소재로 하여 역사 인식과 현실 인식을 날카롭게 드러내면서, 민족 주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의도로 지어졌다. 이러한 시적 화자의 망국에 대한 한(恨)의 모습을 투영하고 있는 객관적 상관물을 찾아 쓰시오.
봉황새
- 김소월, <접동새>
22. (가)를 아래의 작품으로 바꿔 썼다고 가정할 때, 아래의 작품에 고려했을 사항으로 바르게 이해하지 못한 학생은? ①
열무 삼십 단을 이고
시장에 간 우리 엄마
안 오시네, 해는 시든 지 오래
나는 찬밥처럼 방에 담겨
아무리 천천히 숙제를 해도
엄마 안 오시네, 배추 잎 같은 발소리 타박타박
안 들리네, 어둡고 무서워
금 간 창틈으로 고요히 빗소리
빈 방에 혼자 엎드려 훌쩍거리던
아주 먼 옛날
지금도 내 눈시울을 뜨겁게 하는
그 시절, 내 유년의 윗목
- 기형도, <엄마 생각>
① 민섭 : 가난에 힘들어 하시던 어머니의 한의 모습을 표현하려 한 (가)의 의도를 그대로 살려 썼다고 볼 수 있어.
② 지원 : 방 안이라는 공간에 초점을 두어 시상(詩想)을 집약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야.
③ 대기 : 어머니의 직업을 채소 장사로 바꾸고, 그 일과 관련된 이미지를 새로 만드는 것은 어떨까?
④ 성현 : (가)에서는 오누이를 등장시켰지만, 화자의 정서를 더 강조하기 위해서 화자 혼자 남겨지는 상황을 만들면 더 극적인 효과를 볼 수 있을 거야.
⑤ 상기 : ‘어머니의 힘든 노동’이라는 소재는 그대로 살려야겠지?
23. 다음은 고려 말에 원천석이 쓴 시조이다. 다음의 시조와 씌어진 시대적 배경을 고려하여, (다)에 나타난 유사한 분위기나 주제와 관련이 있는 것은? ⑤
흥망이 유수하니 만월대도 추초(秋草)로다.
오백 년 왕업이 목적(牧笛)에 부쳐시니
석양에 지나는 객이 눈물계워 하노라.
① 망양지탄(望洋之嘆) ② 풍수지탄(風樹之嘆)
③ 한단지몽(邯鄲之夢) ④ 만시지탄(晩時之歎)
⑤ 맥수지탄(麥秀之嘆)
24. (다)의 시는 행과 연의 구분이 없는 산문의 형식을 취하고 있음에도 시라고 볼 수 있는 이유로 가장 옳은 것은? ②
① 남성적 어조를 통해 소망의 강렬함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이다.
② 명사 뒤의 조사를 과감히 생략하여 7.5조의 음수율을 느끼게하기 때문이다.
③ 토속어 사용을 통하여 시적 분위기를 향토적 정감으로 드러내기 때문이다.
④ ‘기승전결’의 4단 구성의 선경후정의 구조를 가지고 시상을 전개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⑤ 망국의 슬프고 어두운 분위기의 소재를 희망적 메시지의 시어로 잘 승화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서술형 6. (가)에서 공간적 배경을 통해서 슬프고 어두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시어를 찾아 쓰시오
골방안
서술형 7. (나)에서 ㈂연을 바탕으로 ㈄연을 해석하시오. (단, 시인이 살았던 당대의 삶의 모습들을 중심으로 혼탁한 시대상을 보여주는 주제가 드러나야 할 것)
일제 강점기는 끝났지만, 남과 북이 서로 분열되고 대립함. 민족의 화합과 평화를 주장함
서술형 8. (다)는 퇴락한 궁궐을 시적 소재로 하여 역사 인식과 현실 인식을 날카롭게 드러내면서, 민족 주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의도로 지어졌다. 이러한 시적 화자의 망국에 대한 한(恨)의 모습을 투영하고 있는 객관적 상관물을 찾아 쓰시오.
봉황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