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문제151~202
본문내용
높은 산에서 밥을 지으면 설익는다. 이러한 사실이 산의 고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하여 조사해서 얻은 자료는 다음과 같다. 이 자료를 이용하여 아래의 물음에 답하라.
고 도 (m)
대기압력(mmHg)
물이끓는온도(℃)
밥이되는시간(분)
해수면 0
1,500
3,040
4,560
6,100
760
634
526
434
355
100.0
95.2
90.0
85.0
79.7
30
43
50
56
61
196. 위 자료를 참고하여 이끌어 낼 수 있는 결론으로 합당한 것을 2개 고르면 ?
① 산의 대기압력은 고도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한다.
② 산의 고도와 관계없이 물은 100℃에서 끓는다.
③ 대기압력이 낮을수록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는다.
④ 물의 끓는 온도가 높을수록 밥은 빨리 된다.
⑤ 물의 끓는 온도가 아무리 낮아도 오랫동안 끓이면 쌀은 익는다.
풀이 : 대기압이 낮을수록 끓는 온도는 낮아진다. 물은 100℃에서만 끓는 것이 아니고 대기압을 낮게 할 경우 70℃나 80℃에서도 끓게 할 수 있다. 답 ③, ④
197. 위 표의 자료를 이용하면 내부압력이 1,100mmHg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압력솥에서 물은 대략 몇 도에서 끓겠는가 ?
① 90℃② 100℃③ 105℃④ 110℃ ⑤ 115℃
풀이 : 대기압이 상승되는 비율과 끓는 점을 비교하면 110℃에서 끓음. 답 ④
198. 앞 문제의 압력솥에서 화력의 세기는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밥을 짓는다면 어떻게 되겠는지, 올바른 진술을 2개 고르라.
① 물은 항상 100℃에서 끓기 때문에 이 압력솥에서도 30분에 밥이 된다.
② 이 압력솥으로 밥을 하는 장소의 고도에 따라 밥이 되는 시간은 다르다.
③ 이 압력솥은 해수면에서의 대기압력보다 큰 압력을 유지하므로 산이나 해변에서 보다
밥이 빨리 된다.
④ 이 압력솥에 있는 물은 100℃보다 높은 온도에서 끓으므로 30분보다 더 짧은 시간에 된다.
⑤ 이 압력솥에 있는 물은 해수면에서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으므로 밥이 더 빨리 된다.
풀이 : 내부 압력이 1,100mmHg로 일정하게 유지되면 끓는 온도는 100℃보다 높으므로 밥이 쉽게 되고 외부 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답 ③,④
199. 위 표에서 고도와 밥이되는 시간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낼 경우 가로축과 세로축의 눈금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②③
97
97
97
97
④⑤
97
97
풀이 : 도표 ①은 눈금이 부족하고 도표 ②는 눈금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며, 도표 ④와 ⑤는 간격이 너무 넓다. 답 ③
※ 다음은 식물의 증산 작용에 관한 실험이다.
(가) 그림 A와 같이 물 속에서 봉숭아 줄기의 아래 부분을 비스듬히 잘라내고, 0.2mL의
피펫이 꽂혀 있는 고무관을 끼운다.
(나) 그림 B와 같이 피펫을 꽂은 봉숭아를 물 밖으로 내 놓고 그 옆에 200 W 전구를
켜둔다.
(다) 전구와 봉숭아 사이에는 수조를 놓고 둘 사이의 거리를 달리하면서 각 거리에서 10분
마다 피펫의 눈금을 읽는다.
※ 다음 표는 이 실험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 (변인)
㉡ (변인)
㉢ (관찰 자료)
200. 위의 표 ㉠, ㉡, ㉢에 가장 적절한 항목으로 묶인 것은 ?
㉠
㉡
㉢
①
②
③
④
⑤
온도
식물의 크기
빛의 세기
물의 흡수량
시간
빛의 세기
온도
시간
온도
물의 방출량
물의 흡수량
물의 이동거리
물의 이동거리
빛의 세기
빛의 세기
풀이 : 광원으로부터의 거리를 달리하므로 빛의 세기에 따른 증산 속도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식물의 구조와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요인에는 빛, 온도, 수분 등이 있다. 답 ③
※ 다음 표는 포도잎을 재료로 하여 증산 작용을 알아 보기 위해 여러 방법으로 처리한 후 증산된 수분의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201. 실험군
처리 방법
증산량(상대량)
A
B
C
D
바셀린을 잎 윗면에 바름
바셀린을 잎 아랫면에 바름
바셀린을 양면에 다 바름
바셀린을 바르지 않음
47
13
4
52
표에 나타난 실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실로 가장 타당한 것은 ?(단, 각각의 잎은 동일한 나무에서 채집한 크기가 비슷한 것들이다.)
① 바셀린은 증산 작용을 촉진한다.
② 증산 작용은 주로 잎의 윗면에서 일어난다.
③ 기공은 나뭇잎 윗면보다 아랫면에 많이 분포한다.
④ 바셀린의 층이 두터울수록 증산 작용이 억제된다.
⑤ 증산 작용은 나뭇잎의 크기와 비례하여 일어난다.
풀이 : 바셀린을 바른 것은 잎의 기공을 막아 증산 작용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잎의 윗면보다 아랫면에 바셀린을 바를 때 증산 작용이 더욱 줄어드는 이유는 아랫면에 기공이 더 많음을 나타낸다. 답 ③
※ 상용이는 지각 평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 그림과 같이 물 속에 나무 토막을 띄우고, 나무 토막이 뜬 높이와 가라앉은 깊이를 측정하여 표를 만들었다.
물 위의 뜬 높이(cm)
물 속에 가라앉은 깊이(cm)
가
나
다
라
1.1
2.3
3.2
4.1
1.2
2.6
3.2
3.6
202. 다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
A. 나무 토막이 물에 뜨는 까닭은 나무의 밀도가 물보다 작기 때문이다.
B. 나무 토막의 밀도가 가장 작은 것은 (나)이다.
C. 나무 토막의 밀도가 가장 큰 것은 (라)이다.
D. 나무 토막의 밀도가 모두 같다면 물 위의 뜬 높이와 물 속에 가라앉은 깊이의 비의
값은 어느 것이든 같아야 한다.
E. 대륙 지각과 해양 지각의 밀도가 균질하다고 가정하면, 대륙 지각은 해양 지각보다 더
두껍다.
① A, B, D, E② A, C, D, E③ A, D, E
④ B, C, D, E⑤ C, D, E
풀이 ; 나무의 밀도가 물보다 작으면 나무는 물에 떠야한다. 밀도가 작은 것일수록 물 위로 뜬 높이와 가라앉은 깊이의 비는 더욱 크다. 따라서 나무 토막의 밀도가 작으면 가라앉은 깊이에 비해 물 위로 더 많이 뜨게 되고, 밀도가 크면 가라앉은 깊이에 비해 물 위로 작게 뜬다. 나무 토막의 밀도가 어느 것이나 모두 같으면 뜬 높이와 가라앉은 깊이의 비는 모두 같으므로 물 위로 많이 뜬 나무 토막이 가라앉은 깊이도 더 크게 나타난다. 이것이 에어리의 지각 평형설이다. 답 : ③
내신문제연구소
고 도 (m)
대기압력(mmHg)
물이끓는온도(℃)
밥이되는시간(분)
해수면 0
1,500
3,040
4,560
6,100
760
634
526
434
355
100.0
95.2
90.0
85.0
79.7
30
43
50
56
61
196. 위 자료를 참고하여 이끌어 낼 수 있는 결론으로 합당한 것을 2개 고르면 ?
① 산의 대기압력은 고도에 따라 일정하게 감소한다.
② 산의 고도와 관계없이 물은 100℃에서 끓는다.
③ 대기압력이 낮을수록 낮은 온도에서 물이 끓는다.
④ 물의 끓는 온도가 높을수록 밥은 빨리 된다.
⑤ 물의 끓는 온도가 아무리 낮아도 오랫동안 끓이면 쌀은 익는다.
풀이 : 대기압이 낮을수록 끓는 온도는 낮아진다. 물은 100℃에서만 끓는 것이 아니고 대기압을 낮게 할 경우 70℃나 80℃에서도 끓게 할 수 있다. 답 ③, ④
197. 위 표의 자료를 이용하면 내부압력이 1,100mmHg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압력솥에서 물은 대략 몇 도에서 끓겠는가 ?
① 90℃② 100℃③ 105℃④ 110℃ ⑤ 115℃
풀이 : 대기압이 상승되는 비율과 끓는 점을 비교하면 110℃에서 끓음. 답 ④
198. 앞 문제의 압력솥에서 화력의 세기는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밥을 짓는다면 어떻게 되겠는지, 올바른 진술을 2개 고르라.
① 물은 항상 100℃에서 끓기 때문에 이 압력솥에서도 30분에 밥이 된다.
② 이 압력솥으로 밥을 하는 장소의 고도에 따라 밥이 되는 시간은 다르다.
③ 이 압력솥은 해수면에서의 대기압력보다 큰 압력을 유지하므로 산이나 해변에서 보다
밥이 빨리 된다.
④ 이 압력솥에 있는 물은 100℃보다 높은 온도에서 끓으므로 30분보다 더 짧은 시간에 된다.
⑤ 이 압력솥에 있는 물은 해수면에서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으므로 밥이 더 빨리 된다.
풀이 : 내부 압력이 1,100mmHg로 일정하게 유지되면 끓는 온도는 100℃보다 높으므로 밥이 쉽게 되고 외부 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답 ③,④
199. 위 표에서 고도와 밥이되는 시간과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낼 경우 가로축과 세로축의 눈금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① ②③
97
97
97
97
④⑤
97
97
풀이 : 도표 ①은 눈금이 부족하고 도표 ②는 눈금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며, 도표 ④와 ⑤는 간격이 너무 넓다. 답 ③
※ 다음은 식물의 증산 작용에 관한 실험이다.
(가) 그림 A와 같이 물 속에서 봉숭아 줄기의 아래 부분을 비스듬히 잘라내고, 0.2mL의
피펫이 꽂혀 있는 고무관을 끼운다.
(나) 그림 B와 같이 피펫을 꽂은 봉숭아를 물 밖으로 내 놓고 그 옆에 200 W 전구를
켜둔다.
(다) 전구와 봉숭아 사이에는 수조를 놓고 둘 사이의 거리를 달리하면서 각 거리에서 10분
마다 피펫의 눈금을 읽는다.
※ 다음 표는 이 실험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 (변인)
㉡ (변인)
㉢ (관찰 자료)
200. 위의 표 ㉠, ㉡, ㉢에 가장 적절한 항목으로 묶인 것은 ?
㉠
㉡
㉢
①
②
③
④
⑤
온도
식물의 크기
빛의 세기
물의 흡수량
시간
빛의 세기
온도
시간
온도
물의 방출량
물의 흡수량
물의 이동거리
물의 이동거리
빛의 세기
빛의 세기
풀이 : 광원으로부터의 거리를 달리하므로 빛의 세기에 따른 증산 속도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식물의 구조와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환경 요인에는 빛, 온도, 수분 등이 있다. 답 ③
※ 다음 표는 포도잎을 재료로 하여 증산 작용을 알아 보기 위해 여러 방법으로 처리한 후 증산된 수분의 양을 나타낸 결과이다.
201. 실험군
처리 방법
증산량(상대량)
A
B
C
D
바셀린을 잎 윗면에 바름
바셀린을 잎 아랫면에 바름
바셀린을 양면에 다 바름
바셀린을 바르지 않음
47
13
4
52
표에 나타난 실험 결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사실로 가장 타당한 것은 ?(단, 각각의 잎은 동일한 나무에서 채집한 크기가 비슷한 것들이다.)
① 바셀린은 증산 작용을 촉진한다.
② 증산 작용은 주로 잎의 윗면에서 일어난다.
③ 기공은 나뭇잎 윗면보다 아랫면에 많이 분포한다.
④ 바셀린의 층이 두터울수록 증산 작용이 억제된다.
⑤ 증산 작용은 나뭇잎의 크기와 비례하여 일어난다.
풀이 : 바셀린을 바른 것은 잎의 기공을 막아 증산 작용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잎의 윗면보다 아랫면에 바셀린을 바를 때 증산 작용이 더욱 줄어드는 이유는 아랫면에 기공이 더 많음을 나타낸다. 답 ③
※ 상용이는 지각 평형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 그림과 같이 물 속에 나무 토막을 띄우고, 나무 토막이 뜬 높이와 가라앉은 깊이를 측정하여 표를 만들었다.
물 위의 뜬 높이(cm)
물 속에 가라앉은 깊이(cm)
가
나
다
라
1.1
2.3
3.2
4.1
1.2
2.6
3.2
3.6
202. 다음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을 모두 고르면 ?
A. 나무 토막이 물에 뜨는 까닭은 나무의 밀도가 물보다 작기 때문이다.
B. 나무 토막의 밀도가 가장 작은 것은 (나)이다.
C. 나무 토막의 밀도가 가장 큰 것은 (라)이다.
D. 나무 토막의 밀도가 모두 같다면 물 위의 뜬 높이와 물 속에 가라앉은 깊이의 비의
값은 어느 것이든 같아야 한다.
E. 대륙 지각과 해양 지각의 밀도가 균질하다고 가정하면, 대륙 지각은 해양 지각보다 더
두껍다.
① A, B, D, E② A, C, D, E③ A, D, E
④ B, C, D, E⑤ C, D, E
풀이 ; 나무의 밀도가 물보다 작으면 나무는 물에 떠야한다. 밀도가 작은 것일수록 물 위로 뜬 높이와 가라앉은 깊이의 비는 더욱 크다. 따라서 나무 토막의 밀도가 작으면 가라앉은 깊이에 비해 물 위로 더 많이 뜨게 되고, 밀도가 크면 가라앉은 깊이에 비해 물 위로 작게 뜬다. 나무 토막의 밀도가 어느 것이나 모두 같으면 뜬 높이와 가라앉은 깊이의 비는 모두 같으므로 물 위로 많이 뜬 나무 토막이 가라앉은 깊이도 더 크게 나타난다. 이것이 에어리의 지각 평형설이다. 답 : ③
내신문제연구소
추천자료
속도 상수(Rate constant), 평형 상수(Equilibrium constant)의 개념과 의미
[생화학] 효소반응속도론
속도상수
[예비] 시계반응
[예비+결과보고서]실험2. 시계 반응
[실험보고서]효소반응속도론
[광합성][광합성이론][광합성실험][광합성속도실험][광합성색소분리실험][기포발생실험]광합...
활성산소 라디칼이의 인체 생성과정과 미치는 영향
[숲과삶]산성비의 정의와 생성원인 및 식물과 토양에 미치는 영향과 대책
[분자량, 물질 분자량, 용질 분자량, 용액 분자량, 이산화탄소 분자량, 물질, 용질, 용액, 이...
[일반화학실험] 시계 반응
[독후감] 가짜와 진짜와의 관계 - ‘이상한 가역반응’을 읽고 _ 박성원 저
[물리화학 REPORT] 최소유동화속도 측정 및 계산
축합중합 폴리에스테르 생성(실험)[고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