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객관식31~72
본문내용
관 : 〔나〕 ― 홉스
68.〔가〕에 들어갈 현대 철학 사조는 ? [예일여고, 고려고]
69.〔나〕에 알맞은 인물은 ? [예일여고, 고려고]
① 공자 ② 이이
③ 맹자 ④ 이황
⑤순자
(70~7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중생계에서의 갈망과 무명이 괴로움의 원인이라면, 그것을 없애면 괴로움이 사라진다. 이것이 바로 부처가 이상으로 한 목표인 ( )이다. 이것은 등잔의 불을 끄듯이, 타오르는 욕망의 불길을 훅 불어 꺼 버리는 것이다. 갈망과 무명이 사라져 버릴 때에 괴로움은 뿌리째 뽑혀 없어진다. 이것이 바로 해탈의 경지요, 깨달음의 경지이다.
70. ( )안에 들어갈 말은 ? [동명고, 서문여고]
71. 불교의 4성제 중, 윗글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 [동명고, 서문여고]
72. 갈망과 무명을 없애기 위한 수양 방법으로 불교에서 중시하는 것은 ?
① 오계(五戒) ② 삼법인(三法印) [세화고, 상문고]
③ 3보(三寶) ④ 8정도(八正道)
⑤ 연기설(緣起設)
31. ②
정약용은 성을 후천적인 기호로 봄으로써 기존의 성리학과 다른 관점을 취한다.
32. ④
신라의 화랑도 정신은 세속 오계와 3덕에 잘 나타나 있다.
세속 오계
사군이충(事君以忠)
사친이효(事親以孝)
임전무퇴(臨戰無退)
살생유택(殺生有擇)
3덕 - 겸허, 검소, 순후
33. ⑤
독자적인 성리학의 체계화
학문의 궁극 목표 - 인간 심성을 실천으로 연결시켜 도덕적인 인간과 사회 구현
34. ④, ⑤
성(誠) 사상에 의해 세상을 다스림
사회 전 분야에서의 개혁 강조(社會更長論)
백성의 언로(言路) 확충에 입각한 안민(安民), 이민(利民), 위민(爲民) 사상 등을 강조
35. ②
성기호설(性嗜好說) - 성(性)은 어떤 대상을 좋아하고 싫어하는 성향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보다 자율적인 도덕적 판단과 실천 중시
36. ⑤
위정 척사 운동 - 올바른 것(우리의 전통 문물)을 지키고 사악한 것(외래 문물)을 배척하려는 운동
동학 사상 - 최제우가 유교, 불교, 도교의 장점을 취하여 제창한 민족 종교 사상으로 평등주의, 인본주의, 반봉건주의 정신을 강조함.
37. ⑤
이이는 이(理)는 무형이요, 기(氣)는 유형이라 했다.
38. ②
동학은 조선 전통 사회의 유교적인 중세성(中世性)으로부터 정신적 근대화의 길을 열고자 하였다.
39. ③
개화 사상은 이이로 거슬러 올라가, 정약용이 사상적 밑바탕을 정립하여, 김홍집, 박영효 등의 개화파 세력에 의해 실천된다.
40 ②
<보기>의 양(洋)이란 서양을 지칭한다.
41. ②
<보기>의 사상들은 다같이 ‘만민 평등주의’를 주장하였다.
42. ②
㉠ 충효신의용 ㉡ 충효신의용맹자비심(인) ㉢ 충효
43. ⑤
플라톤은 국민 각자가 자신의 맡은 바 직분에 충실함으로써 국가 전체로서 균형과 조화를 이룬 이상적인 상태를 ‘정의’라고 규정하였다.
44. ⑤
인내천을 비롯한 동학의 이념들은 인간 존중과 평등을 기본 정신으로 한다.
45. ④
민주주의 정치 이념은 인간 존중과 자유, 평등이다.
46. ③
<보기>의 내용은 서구 열강들이 무력으로 침략해 오자 외래 문물 유입과 침략에 반대하던 위 정 척사 사상이다.
47. ③, ④
하늘의 환웅과 땅의 곰의 결합. 대립을 벗어난 평화로운 공존을 참고하자.
48 ②, ③
모든 일을 억지로 하지 않음이 ‘무위’이고, 착한 행실을 신봉하는 것은 윤회 사상과 관계 있다.
49. ④
돈오점수 - 본래적인 자기가 곧 ‘본불성(本佛性)’임을 홀연히 깨치는 것이 ‘돈오’요, 그리하여 깨친 후 꾸준히 닦아 나아감이 ‘점수’이다.
50. ④
주어진 내용은 정약용의 ‘성기호설’의 일부로서, 인간은 어떤 덕목을 지니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기호(무엇인가 좋아하는 것)’를 가지고 태어날 뿐이라고 본다.
51. ③
주어진 내용과 같은 인간 존엄의 사상에서 민본주의가 나오며, ‘오심즉여심’은 인간 평등을 강조한 내용이다.
52. ⑤
사회 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의 차이로 인한 대립 가능성 인식
53. ①
<보기>에 제시된 자료로부터 동학이 추구하는 사상적 목표 도출
54. ②
우리의 전통 생활 윤리를 대표하는 것은 공동체적 윤리이다.
55. ③
전통 윤리는 우리가 겪고 있는 현대 사회의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길을 제시해 준다.
56. ④
돈오점수(頓悟漸修), 정혜쌍수(淨慧雙修)의 논리는 지눌의 사상이다.
57. ④
개인 윤리를 가족사회 국가 윤리로 확산시켜 전체적인 조화 속에서 공동체의 생활 윤리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58. ④
59. ①, ③
비인간화 등은 인간 존중 사상으로, 환경 오염 등은 자연과의 조화로 해결한다.
60. ②
②는 동약 의식이고, 나머지는 서양 의식이다.
61. ③, ④
①, ②, ⑤는 서양식 사고 방식에 가깝다.
62. A군 : 경험론, B군 : 합리론
아는 것이 힘이다. - 베이컨
원래 인간의 마음은 백지와 같다.(백지설) - 로크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 데카르트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이다. - 파스칼
63. ③
귑납법 - 지식의 근원을 경험으로 보고 경험적 관찰, 실험에 의한 지식 획득 - 경험론
연역법 - 지식이 근원을 이성으로 보고 과학적 논리와 추리에 의한 지식 획득 - 합리론
희의법 - 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
64. A군은 감각적 경험론
B군은 인간의 이성에 둠.
65. A와 B를 비판한 내용이 C 이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지덕복 합일설의 주지주의적 기본 입장을 계승
그러나 덕은 단순한 지식뿐만 아니라 선의지(善意志)와 도덕적 실천 의지가 반영되어야 함(주의주의)
66. ①
67. 헤겔
칸트는 개인의 인격과 자율적 동기만을 중시했다고 비판하였다.
68. 실용주의
실학과 프래그머티즘(실용주의)은 모두 경험적, 실증적, 실용적 학문 방법을 추구하였다.
순자와 홉스는 자연 상태의 인간이 본성을 이기적 존재로 본 점에서 유사함
69. ⑤
70. 열반
고성제 - 인생은 고통
집성제 - 번뇌와 갈등, 정감면에서 애욕, 이지면에서 무명
멸성제 - 고통의 원인이 소멸된 열반해탈(解脫)의 경지
도성제 - 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수행 방법 ⇒ 팔정도(八正道)
71. 멸성제
72. ④내신문제연구소
68.〔가〕에 들어갈 현대 철학 사조는 ? [예일여고, 고려고]
69.〔나〕에 알맞은 인물은 ? [예일여고, 고려고]
① 공자 ② 이이
③ 맹자 ④ 이황
⑤순자
(70~72)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중생계에서의 갈망과 무명이 괴로움의 원인이라면, 그것을 없애면 괴로움이 사라진다. 이것이 바로 부처가 이상으로 한 목표인 ( )이다. 이것은 등잔의 불을 끄듯이, 타오르는 욕망의 불길을 훅 불어 꺼 버리는 것이다. 갈망과 무명이 사라져 버릴 때에 괴로움은 뿌리째 뽑혀 없어진다. 이것이 바로 해탈의 경지요, 깨달음의 경지이다.
70. ( )안에 들어갈 말은 ? [동명고, 서문여고]
71. 불교의 4성제 중, 윗글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 [동명고, 서문여고]
72. 갈망과 무명을 없애기 위한 수양 방법으로 불교에서 중시하는 것은 ?
① 오계(五戒) ② 삼법인(三法印) [세화고, 상문고]
③ 3보(三寶) ④ 8정도(八正道)
⑤ 연기설(緣起設)
31. ②
정약용은 성을 후천적인 기호로 봄으로써 기존의 성리학과 다른 관점을 취한다.
32. ④
신라의 화랑도 정신은 세속 오계와 3덕에 잘 나타나 있다.
세속 오계
사군이충(事君以忠)
사친이효(事親以孝)
임전무퇴(臨戰無退)
살생유택(殺生有擇)
3덕 - 겸허, 검소, 순후
33. ⑤
독자적인 성리학의 체계화
학문의 궁극 목표 - 인간 심성을 실천으로 연결시켜 도덕적인 인간과 사회 구현
34. ④, ⑤
성(誠) 사상에 의해 세상을 다스림
사회 전 분야에서의 개혁 강조(社會更長論)
백성의 언로(言路) 확충에 입각한 안민(安民), 이민(利民), 위민(爲民) 사상 등을 강조
35. ②
성기호설(性嗜好說) - 성(性)은 어떤 대상을 좋아하고 싫어하는 성향
인간의 내면적 도덕성보다 자율적인 도덕적 판단과 실천 중시
36. ⑤
위정 척사 운동 - 올바른 것(우리의 전통 문물)을 지키고 사악한 것(외래 문물)을 배척하려는 운동
동학 사상 - 최제우가 유교, 불교, 도교의 장점을 취하여 제창한 민족 종교 사상으로 평등주의, 인본주의, 반봉건주의 정신을 강조함.
37. ⑤
이이는 이(理)는 무형이요, 기(氣)는 유형이라 했다.
38. ②
동학은 조선 전통 사회의 유교적인 중세성(中世性)으로부터 정신적 근대화의 길을 열고자 하였다.
39. ③
개화 사상은 이이로 거슬러 올라가, 정약용이 사상적 밑바탕을 정립하여, 김홍집, 박영효 등의 개화파 세력에 의해 실천된다.
40 ②
<보기>의 양(洋)이란 서양을 지칭한다.
41. ②
<보기>의 사상들은 다같이 ‘만민 평등주의’를 주장하였다.
42. ②
㉠ 충효신의용 ㉡ 충효신의용맹자비심(인) ㉢ 충효
43. ⑤
플라톤은 국민 각자가 자신의 맡은 바 직분에 충실함으로써 국가 전체로서 균형과 조화를 이룬 이상적인 상태를 ‘정의’라고 규정하였다.
44. ⑤
인내천을 비롯한 동학의 이념들은 인간 존중과 평등을 기본 정신으로 한다.
45. ④
민주주의 정치 이념은 인간 존중과 자유, 평등이다.
46. ③
<보기>의 내용은 서구 열강들이 무력으로 침략해 오자 외래 문물 유입과 침략에 반대하던 위 정 척사 사상이다.
47. ③, ④
하늘의 환웅과 땅의 곰의 결합. 대립을 벗어난 평화로운 공존을 참고하자.
48 ②, ③
모든 일을 억지로 하지 않음이 ‘무위’이고, 착한 행실을 신봉하는 것은 윤회 사상과 관계 있다.
49. ④
돈오점수 - 본래적인 자기가 곧 ‘본불성(本佛性)’임을 홀연히 깨치는 것이 ‘돈오’요, 그리하여 깨친 후 꾸준히 닦아 나아감이 ‘점수’이다.
50. ④
주어진 내용은 정약용의 ‘성기호설’의 일부로서, 인간은 어떤 덕목을 지니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기호(무엇인가 좋아하는 것)’를 가지고 태어날 뿐이라고 본다.
51. ③
주어진 내용과 같은 인간 존엄의 사상에서 민본주의가 나오며, ‘오심즉여심’은 인간 평등을 강조한 내용이다.
52. ⑤
사회 문제에 대한 접근 방법의 차이로 인한 대립 가능성 인식
53. ①
<보기>에 제시된 자료로부터 동학이 추구하는 사상적 목표 도출
54. ②
우리의 전통 생활 윤리를 대표하는 것은 공동체적 윤리이다.
55. ③
전통 윤리는 우리가 겪고 있는 현대 사회의 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해 줄 수 있는 길을 제시해 준다.
56. ④
돈오점수(頓悟漸修), 정혜쌍수(淨慧雙修)의 논리는 지눌의 사상이다.
57. ④
개인 윤리를 가족사회 국가 윤리로 확산시켜 전체적인 조화 속에서 공동체의 생활 윤리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58. ④
59. ①, ③
비인간화 등은 인간 존중 사상으로, 환경 오염 등은 자연과의 조화로 해결한다.
60. ②
②는 동약 의식이고, 나머지는 서양 의식이다.
61. ③, ④
①, ②, ⑤는 서양식 사고 방식에 가깝다.
62. A군 : 경험론, B군 : 합리론
아는 것이 힘이다. - 베이컨
원래 인간의 마음은 백지와 같다.(백지설) - 로크
나는 생각한다. 고로 나는 존재한다. - 데카르트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이다. - 파스칼
63. ③
귑납법 - 지식의 근원을 경험으로 보고 경험적 관찰, 실험에 의한 지식 획득 - 경험론
연역법 - 지식이 근원을 이성으로 보고 과학적 논리와 추리에 의한 지식 획득 - 합리론
희의법 - 데카르트의 방법적 회의
64. A군은 감각적 경험론
B군은 인간의 이성에 둠.
65. A와 B를 비판한 내용이 C 이다.
소크라테스와 플라톤의 지덕복 합일설의 주지주의적 기본 입장을 계승
그러나 덕은 단순한 지식뿐만 아니라 선의지(善意志)와 도덕적 실천 의지가 반영되어야 함(주의주의)
66. ①
67. 헤겔
칸트는 개인의 인격과 자율적 동기만을 중시했다고 비판하였다.
68. 실용주의
실학과 프래그머티즘(실용주의)은 모두 경험적, 실증적, 실용적 학문 방법을 추구하였다.
순자와 홉스는 자연 상태의 인간이 본성을 이기적 존재로 본 점에서 유사함
69. ⑤
70. 열반
고성제 - 인생은 고통
집성제 - 번뇌와 갈등, 정감면에서 애욕, 이지면에서 무명
멸성제 - 고통의 원인이 소멸된 열반해탈(解脫)의 경지
도성제 - 열반의 경지에 이르는 수행 방법 ⇒ 팔정도(八正道)
71. 멸성제
72. ④내신문제연구소
추천자료
퇴계 이황과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의 생애와 사상
정약용의 <소경에게 시집 간 여자>에 관한 연구 (도강고가부사)
정약용 목민심서의 내용과 감상평(교육고전의이해)
교육철학 - 다산 정약용
다산 정약용 - 사상적 분출구로서의 교육관
신라 교육사상가 원효, 설총, 최치원, 고려 교육사상가 최충과 안향, 고려 교육사상가 이색과...
정약용의 목민심서 내용과 감상평동서양고전 A형)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권근,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사상가 이황, 조선시대 성리학 교육...
정약용의 철학(심신묘합, 원욕, 성기호설, 단시설, 인심도심내지송설, 자주지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