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의 철학(심신묘합, 원욕, 성기호설, 단시설, 인심도심내지송설, 자주지권)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약용의 철학(심신묘합, 원욕, 성기호설, 단시설, 인심도심내지송설, 자주지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천관>
1)성리학에서의 리 개념 비판
2)정약용의 천 개념

<심성론>
1)몸과 마음의 관계(심신묘합(心身妙合)
2)원욕(욕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
3)성기호설
(1)형구의 기호
(2)영지의 기호
4)사단과 사덕 (단시설)
5)인심/도심
(1)도심
(2)인심
(3)인심도심내지송설 (마음의 자주지권)
6)자주지권, 자주권능

본문내용

안에 나의 욕구를 따르고자 하는 지향과 선한 것을 따르려는 마음이 변호사와 검사/다투는 갑을처럼 서로 싸움을 하고 있다. 즉 인심과 도심이 마음속의 재판소에서 각자 스스로를 변호하고 있다. 이때의 판결을 담당하는 주체는 역시 마음이다. 판단의 권한은 마음만이 가지고 있는 것으로 그것을 자주지권 혹은 자주권능이라고 한다.
6)자주지권, 자주권능
선악을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마음의 능력, 마음이 가진 자율적 도덕판단력이다. 따라서 이를 통해 인간은 자율적인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이 된다. 그리고 이 자주지권은 성과는 아주 관계가 없다. 성이란 단지 기호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것은 마음의 권능이지 성은 아니다. 이처럼 인간은 자율적인 도덕적 주체이기 때문에 자신의 행위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11.08.10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41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