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음의 관계(심신묘합(心身妙合)
2)원욕(욕구에 대한 새로운 해석)
3)성기호설
(1)형구의 기호
(2)영지의 기호
4)사단과 사덕 (단시설)
5)인심/도심
(1)도심
(2)인심
(3)인심도심내지송설 (마음의 자주지권)
6)자주지권, 자주권능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08.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심과 도심
인심도심내자송설/마음의 자주지권
불선의 근원
인심이 인욕의 근본으로, 인심에는 본래 도덕적 능력이 없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규제되지 않는 상태로 쉽게 나아갈 수 있음. 존천리거인욕이 핵심
마음의 자율적 의지작용으로 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20.03.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심도심론 또한 자기부정과 자기긍정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석될 수 있다고 본다
이들의 가장 중요한 과제는 어떻게 부정의 나를 극복하고 긍정의 나를 확인 내지 실현하느냐에 있었다. 부정이든 긍정이든 모두 나의 문제이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심,도심의모순이 일어나고 성정이 서로 어긋나게 된다.왜 그렇게 되는가 하면, 그것은 다름 아니라 사욕'이었기 때문이다. 주자의 의식론은 이 사욕에서 벗어나 사욕을 억제하고 본성을 회복하면 된다고 한다. 앞에서 보았듯이 인의예지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03.1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내지 않고 오로지 하나로 하여 만물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
② 잠심자득의 원리: 마음을 바르게 고요히 하면 우리의 의식 속에 떠올라 그 실상을 드려낸다는 원리
③ 개성에 따른 교육
④ 수기와 입지 중시
(3) 교사관
① 자기인격의 수양이 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7.0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