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사단칠정론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이 엄격히 구분되는 것처럼, 사단과 칠정 역시 천리와 형기를 지각하는 각각의 것으로 엄격히 구분
-이기호발설 : 사단과 칠정은 이기호발에 근거하여 각각 기원을 달리하는 독립적인 정으로 파악
*사단 : 마음의 ‘리’인 선한 본성이 직접 발동. 이발이기수지. 순수지선
*칠정 : ‘기’가 발동하여 나타난 것. 리의 주재 여부에 따라 칠정의 선악이 결정. 기발이이승지. 가선가악
-기질지성이 본연지성을 포함하듯 칠정이 사단을 포함
-기발이승일도설 : 리는 발함이 없고 오직 기만 발함. 이황의 이기호발, 이발이기수지를 반대. 기발이이승지만 허용하여, 기발이승일도로 모든 존재의 존재양상을 설명
*사단 : 칠정 중에서 중절되어 발한 선한 정. 오직 ‘리’. 순선무악
*칠정 : 리와 기를 겸하고 있는 것. 현실에서 리와 기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혼란한 현실에서 이상을 가려내고 그것을 지키기 위한 노력. 사악한 것을 용납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성리학적 명분론을 중시하는 활동에 영향을 주었다.
아무리 좋은 이상이라도 현실에서 실현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는 의도로, 현실 사회의 개혁에 관심을 기울이는 모습(이이의 사회경장론)으로 나아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양론
경(敬)
-존천리 거인욕하여 천리를 밝히고 본심을 회복하는 공부(존양성찰) 경은 성학의 시작이자 끝. 마음의 주재자로서 본심유지를 가능케 하는 만사의 근본
-주일무적, 정제엄숙, 상성성, 기심수렴불용일물
경과 더불어 성(誠)을 강조
성이란 ‘하늘의 참된 이치이자 마음의 본체’로, 사람이 본래 마음을 회복하지 못하는 것은 간사한 것이 가리기 때문. 경을 주로 삼으면 본체가 온전해진다. 경은 공부하는 요령이며 성은 공부의 결과가 이루어지는 곳이니, 경으로 말미암아 성에 이르는 것.
심론
-인심이 칠정이고 도심이 사단이 된다. -but 칠정이 곧 인심이고 사단이 도심인 것은 아니다(정은 발하여 나타난 것을 가리키며, 인심과 도심은 미발과 이발을 관통하여 작용하는 마음이기 때문)
-칠정은 인심과 도심의 선악을 말하는 것이고, 사단은 인심과 도심 가운데 선한 부분만을 말하는 것이다.
-심성정의일로설 : 마음은 리기의 묘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마음은 성·정·의를 모두 포함하고 이것의 주인이 된다(마음이 통섭)
-인심도심종시설 : 인심을 잘 살펴 나아가면 도심이 되고, 도심이 성명을 완수하지 못하고 사의를 섞으면 인심이 될 수 있다. 인심과 도심은 서로 겸할 수는 없으나 서로 시작과 끝이 될 수는 있다는 것.
-인심 : 사의로서 형기를 지각하는 마음. 가선가악
-도심 : 도의로서 성명을 지각하는 마음. 순선무악
-인심도심설
①인심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 : 인심은 인욕으로 화할 수 있으므로 도심에 의한 규제가 필요하다 (이이는 인심도심종시설에 의해 도심 역시 사의를 섞으면 인심이 될 수 있다고 주장이 확대됨)
②인심과 도심은 서로 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각각 지각하여 발단한 바가 다르므로 상호 내포되어 하나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대승의 이황 비판]
①리와 기는 별개로 따로 떨어져 존재하는 것이 아님 : 이황은 이 비판에 대해, 이황도 리와 기가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②사단과 칠정은 하나의 감정.
③리발은 인정될 수 없다. 기발만 인정해야 한다.
[성리학 vs 정약용]
기존 성리학
정약용(실학)
천관
이법천 : 천리로서의 천
이법천을 비판하고, 천은 만물을 주재하고 길러주는 인격적 절대자로서의 상제천. (묵자와 유사)
이기이원론
이기이원론.
이와 기를 나누어 생각
신형묘합(심신묘합)
정신과 육체는 이와 기처럼 엄격히 분리되어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님. 이기이원론 거부
욕구
욕구는 제거 대상.
(물론 성리학도 자연적 욕구 인정. but 인욕과 사욕은 제거 대상)
인간이 가진 욕구의 긍정적 부분을 인정. 인간의 내면에 본래적으로 존재하는 욕구는 인간의 도덕적 행위의 중요한 동기로 작용.
성론
성은 천리가 리가 인간의 형기 속에 들어와 선천적으로 형성된 것(성즉리)
성은 천리와 같은 마음의 본체가 아니고, 마음이 좋아하고 싫어하는 경향성인 ‘기호’이다. (성즉리 반대)
사단과 사덕
사단은 사덕의 실마리로, 이미 본성에 내재한 사덕을 확충하기 위해 사단을 뚜렷이 하고 실천해야 함.
사덕은 행위에 의해 성취되는 덕목이지 선천적으로 마음에 내재하는 것이 아님. 사단은 덕을 지향하는 인간의 영지의 기호에서 생겨난 도덕적 감정으로. 사단이 사덕의 시초라고 할 수 있음. 지속적 도덕적 실천을 통해 사덕을 후천적으로 획득 (단은 비롯함. 사단은 사덕의 시초)
심론
인심과 도심
인심도심내자송설/마음의 자주지권
불선의 근원
인심이 인욕의 근본으로, 인심에는 본래 도덕적 능력이 없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규제되지 않는 상태로 쉽게 나아갈 수 있음. 존천리거인욕이 핵심
마음의 자율적 의지작용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형구의 기호가 물욕을 탐닉함으로써 발생. 마음이 자주지권이 불선을 이루는 근원이자 선한 삶을 가능케 하는 토대로서 공존
인심과 도심
무엇을 지각했느냐? (내용)
어떤 것을 추구하느냐의 지향성 (경향성이 발현된 것)
수양방법
경공부, 궁리-격물,치지 등
신독, 용, 서
[주희의 인성론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
①사덕의 실재성 부정 : 리는 각 사물 속에 속해 있는 자연적 이치일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온 우주의 근본적 이치가 아님 (이법천 비판)
②주희의 인성관은 인간의 도덕적 자율성을 무시하고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한다 : 선악은 자율적으로 선택되어지는 것이지, 기질에서 생겨나는 욕구억제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③주희의 수양법은 모든 사회적 관계에서 벗어나 공허하게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불가의 수양법과 유사하다. 구체적 현실을 살아가는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에게는 오히려 도덕적 실천의지 약화라는 폐해만 낳을 것이다. ☞ 성리학은 경을 중시함으로써 이발 전에 (미발의 경) 존양성찰하여 내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 but 인간은 실제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이므로, 자신과 타인의 관계도 있다. 따라서 미발과 이발을 아울러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 필요.
-본연지성과 기질지성이 엄격히 구분되는 것처럼, 사단과 칠정 역시 천리와 형기를 지각하는 각각의 것으로 엄격히 구분
-이기호발설 : 사단과 칠정은 이기호발에 근거하여 각각 기원을 달리하는 독립적인 정으로 파악
*사단 : 마음의 ‘리’인 선한 본성이 직접 발동. 이발이기수지. 순수지선
*칠정 : ‘기’가 발동하여 나타난 것. 리의 주재 여부에 따라 칠정의 선악이 결정. 기발이이승지. 가선가악
-기질지성이 본연지성을 포함하듯 칠정이 사단을 포함
-기발이승일도설 : 리는 발함이 없고 오직 기만 발함. 이황의 이기호발, 이발이기수지를 반대. 기발이이승지만 허용하여, 기발이승일도로 모든 존재의 존재양상을 설명
*사단 : 칠정 중에서 중절되어 발한 선한 정. 오직 ‘리’. 순선무악
*칠정 : 리와 기를 겸하고 있는 것. 현실에서 리와 기는 분리될 수 있는 것이 아니므로.
혼란한 현실에서 이상을 가려내고 그것을 지키기 위한 노력. 사악한 것을 용납하지 않으려는 의도로, 성리학적 명분론을 중시하는 활동에 영향을 주었다.
아무리 좋은 이상이라도 현실에서 실현되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는 의도로, 현실 사회의 개혁에 관심을 기울이는 모습(이이의 사회경장론)으로 나아가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양론
경(敬)
-존천리 거인욕하여 천리를 밝히고 본심을 회복하는 공부(존양성찰) 경은 성학의 시작이자 끝. 마음의 주재자로서 본심유지를 가능케 하는 만사의 근본
-주일무적, 정제엄숙, 상성성, 기심수렴불용일물
경과 더불어 성(誠)을 강조
성이란 ‘하늘의 참된 이치이자 마음의 본체’로, 사람이 본래 마음을 회복하지 못하는 것은 간사한 것이 가리기 때문. 경을 주로 삼으면 본체가 온전해진다. 경은 공부하는 요령이며 성은 공부의 결과가 이루어지는 곳이니, 경으로 말미암아 성에 이르는 것.
심론
-인심이 칠정이고 도심이 사단이 된다. -but 칠정이 곧 인심이고 사단이 도심인 것은 아니다(정은 발하여 나타난 것을 가리키며, 인심과 도심은 미발과 이발을 관통하여 작용하는 마음이기 때문)
-칠정은 인심과 도심의 선악을 말하는 것이고, 사단은 인심과 도심 가운데 선한 부분만을 말하는 것이다.
-심성정의일로설 : 마음은 리기의 묘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마음은 성·정·의를 모두 포함하고 이것의 주인이 된다(마음이 통섭)
-인심도심종시설 : 인심을 잘 살펴 나아가면 도심이 되고, 도심이 성명을 완수하지 못하고 사의를 섞으면 인심이 될 수 있다. 인심과 도심은 서로 겸할 수는 없으나 서로 시작과 끝이 될 수는 있다는 것.
-인심 : 사의로서 형기를 지각하는 마음. 가선가악
-도심 : 도의로서 성명을 지각하는 마음. 순선무악
-인심도심설
①인심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 : 인심은 인욕으로 화할 수 있으므로 도심에 의한 규제가 필요하다 (이이는 인심도심종시설에 의해 도심 역시 사의를 섞으면 인심이 될 수 있다고 주장이 확대됨)
②인심과 도심은 서로 겸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 각각 지각하여 발단한 바가 다르므로 상호 내포되어 하나가 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기대승의 이황 비판]
①리와 기는 별개로 따로 떨어져 존재하는 것이 아님 : 이황은 이 비판에 대해, 이황도 리와 기가 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고 설명한다.
②사단과 칠정은 하나의 감정.
③리발은 인정될 수 없다. 기발만 인정해야 한다.
[성리학 vs 정약용]
기존 성리학
정약용(실학)
천관
이법천 : 천리로서의 천
이법천을 비판하고, 천은 만물을 주재하고 길러주는 인격적 절대자로서의 상제천. (묵자와 유사)
이기이원론
이기이원론.
이와 기를 나누어 생각
신형묘합(심신묘합)
정신과 육체는 이와 기처럼 엄격히 분리되어 생각할 수 있는 것이 아님. 이기이원론 거부
욕구
욕구는 제거 대상.
(물론 성리학도 자연적 욕구 인정. but 인욕과 사욕은 제거 대상)
인간이 가진 욕구의 긍정적 부분을 인정. 인간의 내면에 본래적으로 존재하는 욕구는 인간의 도덕적 행위의 중요한 동기로 작용.
성론
성은 천리가 리가 인간의 형기 속에 들어와 선천적으로 형성된 것(성즉리)
성은 천리와 같은 마음의 본체가 아니고, 마음이 좋아하고 싫어하는 경향성인 ‘기호’이다. (성즉리 반대)
사단과 사덕
사단은 사덕의 실마리로, 이미 본성에 내재한 사덕을 확충하기 위해 사단을 뚜렷이 하고 실천해야 함.
사덕은 행위에 의해 성취되는 덕목이지 선천적으로 마음에 내재하는 것이 아님. 사단은 덕을 지향하는 인간의 영지의 기호에서 생겨난 도덕적 감정으로. 사단이 사덕의 시초라고 할 수 있음. 지속적 도덕적 실천을 통해 사덕을 후천적으로 획득 (단은 비롯함. 사단은 사덕의 시초)
심론
인심과 도심
인심도심내자송설/마음의 자주지권
불선의 근원
인심이 인욕의 근본으로, 인심에는 본래 도덕적 능력이 없기 때문에 도덕적으로 규제되지 않는 상태로 쉽게 나아갈 수 있음. 존천리거인욕이 핵심
마음의 자율적 의지작용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형구의 기호가 물욕을 탐닉함으로써 발생. 마음이 자주지권이 불선을 이루는 근원이자 선한 삶을 가능케 하는 토대로서 공존
인심과 도심
무엇을 지각했느냐? (내용)
어떤 것을 추구하느냐의 지향성 (경향성이 발현된 것)
수양방법
경공부, 궁리-격물,치지 등
신독, 용, 서
[주희의 인성론에 대한 정약용의 비판]
①사덕의 실재성 부정 : 리는 각 사물 속에 속해 있는 자연적 이치일뿐,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온 우주의 근본적 이치가 아님 (이법천 비판)
②주희의 인성관은 인간의 도덕적 자율성을 무시하고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의 존엄성을 무시한다 : 선악은 자율적으로 선택되어지는 것이지, 기질에서 생겨나는 욕구억제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③주희의 수양법은 모든 사회적 관계에서 벗어나 공허하게 자신의 내면을 들여다보는 불가의 수양법과 유사하다. 구체적 현실을 살아가는 도덕적 주체로서의 인간에게는 오히려 도덕적 실천의지 약화라는 폐해만 낳을 것이다. ☞ 성리학은 경을 중시함으로써 이발 전에 (미발의 경) 존양성찰하여 내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 but 인간은 실제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존재이므로, 자신과 타인의 관계도 있다. 따라서 미발과 이발을 아울러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이 필요.
추천자료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임용기출내용 완벽 분석 - 동양윤리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임용기출내용 완벽 분석 - 응용윤리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임용기출내용 완벽 분석 - 정치철학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원문 완벽 분석 - 동양윤리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원문 완벽 분석 - 응용윤리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원문 완벽 분석 - 통일교육론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학자 간 비교(비판점) 완벽 분석 - 교과교육론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학자 간 비교(비판점) 완벽 분석 - 서양윤리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학자 간 비교(비판점) 완벽 분석 - 정치철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