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학자 간 비교(비판점) 완벽 분석 - 교과교육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덕윤리 중등임용고시<2회 합격자> 학자 간 비교(비판점) 완벽 분석 - 교과교육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동체주의 도덕 교육론
자아관
공동체에 부담을 가지지 않는 자아, 무연고적 자아, 추상적 자아
연고적 자아, 공동체에 부담을 가지는 자아, 상황적 자아
윤리관
규칙의 윤리학. 정의(justice)가 중요. 악에 대한 합의. 선에 대한 국가, 공동체의 중립
(모두스 비벤디, 반완벽주의)
덕 윤리학 강조. 정의가 따로 필요 없음
도덕교육
발달론적 교육 견지 : 개인이 합리적 자율적으로 판단하는 능력이 가장 중요
-사회화론을 견지 : 공동체가 가지고 있는 전통과 덕을 습득하는 것.
-덕 교육론 : 도덕 교육의 내용으로 공동체의 덕목을 중시. 이성 활동의 전제조건으로 ‘도덕적 습관’을 형성하여 도덕적 인격형성을 목표로 함
[나바에츠의 콜버그 비판]
콜버그의 도덕적 추론은 여전히 중요하지만, 숙고를 통한 의사결정이 모든 도덕적 기능을 설명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인지와 정서, 도덕적 추론과 덕, 숙고적 추론과 직관 등이 통합된 도덕적 기술과 통합적 윤리교육 모형을 제시해야 한다.
[블라지의 콜버그 비판]
도덕은 자율적, 객관적, 보편적, 처방적이고 도덕성의 본질은 인지이며 도덕성의 발달단계와 도덕적 행위가 서로 관련이 있다는 콜버그의 입장에 기본적으로 동의하나,
도덕 판단과 도덕적 행위 사이의 일관성은 도덕적 추론과는 다른 도덕적 동기화의 개입으로 이루어진다. 즉 개인의 도덕적 사고 구조는 도덕적 행위와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 직접적으로 행위를 유발시키지는 못한다. 따라서 도덕 판단으로부터 도덕 행동으로의 이행은 도덕적 정체성에서 기인한 자아일치의 요구로 비롯된 도덕적 동기화의 힘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 가격2,9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0.03.06
  • 저작시기201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8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