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양의 교육사상.
1. 소크라테스의 교육사상
2. 플라톤의 교육사상
3. 루소의 교육사상
4.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
아리스토텔레스 등 내용추가 다른 교재를 통해서
1. 공자의 교육사상
2. 맹자의 교육사상
3. 주자와 성리학의 교육사상
4.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5.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1. 소크라테스의 교육사상
2. 플라톤의 교육사상
3. 루소의 교육사상
4.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
아리스토텔레스 등 내용추가 다른 교재를 통해서
1. 공자의 교육사상
2. 맹자의 교육사상
3. 주자와 성리학의 교육사상
4.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5.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본문내용
홀히 한 한당유학의 폐단을 극복하기 위해 제시된 유학의 한 학풍
② 인간을 포함한 세상만물은 이와 기로 되어 있음
③ 이는 형이상의 것: 순수한 것
④ 기는 형이하의 것: 차별이 있어 맑고 탁한 것
(2) 인간관
① 인간은 이와 기가 결합된 존재
② 인간의 마음은 본연지성(이를 가리키는 것으로 선하고 변함이 없다. 도심)과 기질지성(맑고 탁함이 있는 기가 작용하므로 선한 것과 악한 것이 공존. 인심)으로 구성
(3) 교육목적
① 기질의 정화: 기질이 맑고 가지런하지 않아서 후천적인 교육에 의해 기질을 정화시켜야 함
② 성인: 본연지성이 밝게 드러나 있는 상태의 인간
(4) 수(修)신방법
① 입지: 성인이 될 수 있으며 되어야 겠다는 뜻을 세우는 일
② 거경: 타고난 순수한 도덕심이 드러날 수 있도록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는 일
③ 궁리: 성(性)의 이미를 자각하는 것. 격물(탐구하여 이를 밝혀낸다)치지(이를 포착하는 방법, 경지)와 같은 맥락
(5) 교육과정
① 소학: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들로 구성되어 아동의 도덕교육을 목적으로 편성된 책
② 대학: 격물치지(사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것)에 관한 책
→ 소학-대학 계제론: 구체적인 행위규범을 정해놓은 소학을 먼저 익힌 다음 그 원리를 배우는 대학 과정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것
4.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1) 교육관
① 교육목적을 도덕적으로 완성된 성인(인간 본연의 성으로 돌아간 것)이 되게 하는 것
② 위기지학 강조
(2) 교육방법론
① 거경의 유지: 마음을 두 갈래, 세 갈래 내지 않고 오로지 하나로 하여 만물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
② 잠심자득의 원리: 마음을 바르게 고요히 하면 우리의 의식 속에 떠올라 그 실상을 드려낸다는 원리
③ 개성에 따른 교육
④ 수기와 입지 중시
(3) 교사관
① 자기인격의 수양이 된 자
② 저절로 주위를 감화시키는 존재
5.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1) 교육의 목적: 성인
(2) 교육방법
① 입지
② 성: 참되고 거짓이 없음을 뜻함
(3) 교육의 원리
① 성실성의 원리: 성
② 지행합일의 원리: 궁극적인 진리의 접근을 위해서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분리될 수 없다.
③ 내적동기의 원리: 출세나 세속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학습은 사물의 참된 이치에 도달 할 수 없다.
④ 강화의 원리: 행위에 선악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상벌을 주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학습자의 기질과 성품에 따라 개인차를 고려할 것을 강조
② 인간을 포함한 세상만물은 이와 기로 되어 있음
③ 이는 형이상의 것: 순수한 것
④ 기는 형이하의 것: 차별이 있어 맑고 탁한 것
(2) 인간관
① 인간은 이와 기가 결합된 존재
② 인간의 마음은 본연지성(이를 가리키는 것으로 선하고 변함이 없다. 도심)과 기질지성(맑고 탁함이 있는 기가 작용하므로 선한 것과 악한 것이 공존. 인심)으로 구성
(3) 교육목적
① 기질의 정화: 기질이 맑고 가지런하지 않아서 후천적인 교육에 의해 기질을 정화시켜야 함
② 성인: 본연지성이 밝게 드러나 있는 상태의 인간
(4) 수(修)신방법
① 입지: 성인이 될 수 있으며 되어야 겠다는 뜻을 세우는 일
② 거경: 타고난 순수한 도덕심이 드러날 수 있도록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는 일
③ 궁리: 성(性)의 이미를 자각하는 것. 격물(탐구하여 이를 밝혀낸다)치지(이를 포착하는 방법, 경지)와 같은 맥락
(5) 교육과정
① 소학: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들로 구성되어 아동의 도덕교육을 목적으로 편성된 책
② 대학: 격물치지(사물의 이치를 탐구하는 것)에 관한 책
→ 소학-대학 계제론: 구체적인 행위규범을 정해놓은 소학을 먼저 익힌 다음 그 원리를 배우는 대학 과정으로 나아가도록 하는 것
4. 퇴계 이황의 교육사상
(1) 교육관
① 교육목적을 도덕적으로 완성된 성인(인간 본연의 성으로 돌아간 것)이 되게 하는 것
② 위기지학 강조
(2) 교육방법론
① 거경의 유지: 마음을 두 갈래, 세 갈래 내지 않고 오로지 하나로 하여 만물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
② 잠심자득의 원리: 마음을 바르게 고요히 하면 우리의 의식 속에 떠올라 그 실상을 드려낸다는 원리
③ 개성에 따른 교육
④ 수기와 입지 중시
(3) 교사관
① 자기인격의 수양이 된 자
② 저절로 주위를 감화시키는 존재
5. 율곡 이이의 교육사상
(1) 교육의 목적: 성인
(2) 교육방법
① 입지
② 성: 참되고 거짓이 없음을 뜻함
(3) 교육의 원리
① 성실성의 원리: 성
② 지행합일의 원리: 궁극적인 진리의 접근을 위해서 아는 것과 행하는 것이 분리될 수 없다.
③ 내적동기의 원리: 출세나 세속적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학습은 사물의 참된 이치에 도달 할 수 없다.
④ 강화의 원리: 행위에 선악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상벌을 주어야 함을 강조하면서 학습자의 기질과 성품에 따라 개인차를 고려할 것을 강조
추천자료
철학의 정의와 동서양철학의 차이
법과 실천이성론의 동서양 비교
(동서양고전) 원효의「대승기신론소」내용요약 및 감상문
(동서양고전) 공자의 <논어> 내용요약 및 독후감
(동서양고전) 공자의 <논어> 내용요약 및 독후감
(동서양고전) 공자의 <논어> 내용요약 및 감상문
(동서양고전 D형) 공자의 논어에 대한 감상문
술의 양면성과 동서양 술문화 계승방안의 예
[동서양고전]공자의 논어에 대한 감상문
2009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E형(니코마코스윤리학)
2009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공통(니코마코스윤리학)
2009년 1학기 동서양고전 기말시험 핵심체크
2009년 동계계절시험 동서양고전 시험범위 핵심체크
2008년 1학기 동서양고전 중간시험과제물 D형(니코마코스윤리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