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재무상태 분석하기
2.재무목표 세우기
3.재무계획 세우기
4.재무계획 실행하기
5.재무계획 검토하기
2.재무목표 세우기
3.재무계획 세우기
4.재무계획 실행하기
5.재무계획 검토하기
본문내용
일
노후대비하기
1 억 원
2045년 4월 30일
자녀 결혼자금 마련하기
1 억 원
2045년 4월 30일
4) 재무계획 세우기
① ‘신혼기부터 준비해오던 15년 동안 주택자금 2억원 마련하기’의 마무리 단계.
⇒ 장기주택마련저축을 이용해 5년간 매달 115만원씩 저축.
청약부금을 청약예금으로 전환.
② ‘퇴직 후 60세부터 노후생활비 1억원 마련하기’를 위해
⇒ 생명보험사의 일반연금상품에 매달 30만원씩 저축.
③ '20년 동안 자녀결혼자금 1억원 마련하기‘를 위해
⇒ 정기적금 이용해 매달 50만원씩 저축.
④ ‘2년에 한 번씩 가족여행’을 하기 위해
⇒ 보통예금을 이용해 10년 동안 꾸준히 10만원씩 저축한다.
중간 중간 여행시 사용.
⑤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하여 상해보험에 가입.
⇒ 매달 20만원씩 납입.
⑥ ‘자동차 보험비 5만원씩 납부.’
5) 재무계획 검토하기
⇒ 수지상태표 변경 필요함.
① 주택을 구입하게 됨으로써 주택자금마련을 위해 저축해 오던 돈이 놀게됨.
그러므로 자동차구입 및 여유자금준비금으로 전환.
4. 자녀독립기 (2036년 51세~ )
1) 자산상태표
나의 자산 상태표 ( 2036년 3월 1일자 )
자 산 내 역
부 채 내 역
<화폐자산>
MMF 6400 만 원
정기적금 7200 만 원
장기주택마련저축 1680 만 원
일반연금 7920 만 원
상해보험 5280 만 원
<고정자산>
민영아파트 2 억 원
자동차 4000 만 원
Ⅱ. 총 부 채 0 원
Ⅲ. 순 자 산 5 억 2480 만 원
Ⅰ. 총 자 산 5 억 2480 만 원
2) 수지상태표
수지 상태표 (2036년 09월 1일 ~ 09월 30일)
수 입
지 출
수 입 내 역
수입액(원)
지 출 내 역
지출액(원)
i) 월급
ⅰ) 고정지출
남편
440 만
종신보험
40 만
나
380 만
일반연금
30 만
* 월급 합계
820 만
정기적금
50 만
장기주택마련저축
100 만
자유적금
100 만
자동차 보험비
5 만
아파트 관리비
20 만
휴대폰 요금
10 만
인터넷 통신비
3 만
부모님 용돈
120 만
* 고정 지출 합계
478 만
ⅱ) 변동지출
식비
50 만
교통비
20 만
피복비
15 만
문화생활비
57 만
MMF
200 만
* 변동 지출 합계
342 만
Ⅰ. 총 수 입
820 만
Ⅱ. 총 지 출
820 만
Ⅲ. 손익결산 ( 0 원)
3) 재무목표 세우기
단기목표 (1년이내)
필요금액
달성날짜
자녀의 ‘성년의 날’ 선물로 정장사주기
300 만 원
2037년 5월 18일
중장기목표 (1~5년)
필요금액
달성날짜
없음
장기목표 (5년이상)
필요금액
달성날짜
자녀 결혼자금 마련하기
1 억 원
2045년 4월 30일
노후대비하기
1 억 원
2045년 4월 30일
자녀 학비 마련하기
1 억 원
2045년 4월 30일
4) 재무계획 세우기
① ‘퇴직 후 60세부터 노후생활비 1억원 마련하기’를 위해
⇒ 생명보험사의 일반연금상품에 매달 30만원씩 저축.
추가적으로 8년동안 MMF에 매달 200만원씩 장기주택마련저축에 100만원씩 저축.
② '20년 동안 자녀결혼자금 1억원 마련하기‘를 위해
⇒ 정기적금 이용해 매달 50만원씩 저축.
③ 상해보험을 종신보험으로 전환.
⇒ 매달 20만원씩 납입.
④ ‘자동차 보험비 5만원씩 납부.’
5) 재무계획 검토하기
⇒ 수지상태표 변경 불필요.
월급은 많이 상승하고 큰 지출비용은 미리 저축해 두어서 걱정 없음.
그러므로 과소비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고 노후를 위해 무조건 저축.
5. 노후기 (2045년 60세~ )
1) 자산상태표
나의 자산 상태표 ( 2045년 5월 1일자 )
자 산 내 역
부 채 내 역
<화폐자산>
MMF 2억 4500 만 원
장기주택마련저축 1억 1280 만 원
일반연금 1억 0800 만 원
상해보험 5280 만 원
종신보험 3840 만 원
<고정자산>
민영아파트 2 억 원
자동차 4000 만 원
Ⅱ. 총 부 채 0 원
Ⅲ. 순 자 산 7 억 9700 만 원
Ⅰ. 총 자 산 7 억 9700 만 원
2) 수지상태표
수지 상태표 (2045년 09월 1일 ~ 09월 30일)
수 입
지 출
수 입 내 역
수입액(원)
지 출 내 역
지출액(원)
i) 연금
ⅰ) 고정지출
① 공무원연금
종신보험
40 만
남편
150 만
자동차 보험비
5 만
나
100 만
아파트 관리비
20 만
② 개인연금
휴대폰 요금
10 만
남편
150 만
인터넷 통신비
3 만
나
150 만
* 고정 지출 합계
78 만
* 연금 합계
550 만
ⅱ) 변동지출
식비
50 만
교통비
20 만
피복비
15 만
문화생활비
100 만
MMF
200 만
* 변동 지출 합계
385 만
Ⅰ. 총 수 입
550 만
Ⅱ. 총 지 출
550 만
Ⅲ. 손익결산 ( 0 원)
3) 재무계획 검토하기
⇒ 노후기에는 젊은 시절 알뜰하게 저축해온 돈으로도 충분히 풍족하게 살 수 있다.
다달이 나오는 연금만으로도 재테크를 할 수 있다.
은퇴 후 남은 여생을 남편과 함께 여행을 다니며 봉사활동을 다니며 취미생활을 하며 살 수 있다. 그러므로 따로 재무계획은 필요하다고 생가지 않았다.
문화생활비100만원으로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알뜰히 쓸 수 있다고 생각한다.
6. reprot를 마치며.
⇒ 과감히 도전하는 의식 없이 안정성만을 추구하다 보니 재무계획이 그저 주택마련 하나에만 목맨 듯이 보여서 나로서도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 펀드에도 투자하고 주식에도 투자하고 더욱 다양한 재테크 방법을 사용했어야 하는 것 같다.
내용도 좀 더 상세히 기술했어야 했는데 너무 추상적으로 나열한 것 같다. 나의 생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서 속상하다.
평소에 경제에 관심이 없어서 재무계획 용어 하나하나가 너무나도 낯설었다. 아무리 노력해도 내 것으로 만들기가 너무 힘들었다. 좀 더 시간을 투자했어야 했던 것은 아닌지 아쉬움이 남는다. 그래도 이번에 재무계획을 해봄으로써 실제로 나의 앞으로의 인생설계에 있어서도 다음에는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볼 수 있겠구나 라는 자신감이 생기기도 했다. 도서관에 있는 그 많은 재테크 관련 책과 재무 관련 책을 다 읽는 그 날 나도 재테크 전문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노후대비하기
1 억 원
2045년 4월 30일
자녀 결혼자금 마련하기
1 억 원
2045년 4월 30일
4) 재무계획 세우기
① ‘신혼기부터 준비해오던 15년 동안 주택자금 2억원 마련하기’의 마무리 단계.
⇒ 장기주택마련저축을 이용해 5년간 매달 115만원씩 저축.
청약부금을 청약예금으로 전환.
② ‘퇴직 후 60세부터 노후생활비 1억원 마련하기’를 위해
⇒ 생명보험사의 일반연금상품에 매달 30만원씩 저축.
③ '20년 동안 자녀결혼자금 1억원 마련하기‘를 위해
⇒ 정기적금 이용해 매달 50만원씩 저축.
④ ‘2년에 한 번씩 가족여행’을 하기 위해
⇒ 보통예금을 이용해 10년 동안 꾸준히 10만원씩 저축한다.
중간 중간 여행시 사용.
⑤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하여 상해보험에 가입.
⇒ 매달 20만원씩 납입.
⑥ ‘자동차 보험비 5만원씩 납부.’
5) 재무계획 검토하기
⇒ 수지상태표 변경 필요함.
① 주택을 구입하게 됨으로써 주택자금마련을 위해 저축해 오던 돈이 놀게됨.
그러므로 자동차구입 및 여유자금준비금으로 전환.
4. 자녀독립기 (2036년 51세~ )
1) 자산상태표
나의 자산 상태표 ( 2036년 3월 1일자 )
자 산 내 역
부 채 내 역
<화폐자산>
MMF 6400 만 원
정기적금 7200 만 원
장기주택마련저축 1680 만 원
일반연금 7920 만 원
상해보험 5280 만 원
<고정자산>
민영아파트 2 억 원
자동차 4000 만 원
Ⅱ. 총 부 채 0 원
Ⅲ. 순 자 산 5 억 2480 만 원
Ⅰ. 총 자 산 5 억 2480 만 원
2) 수지상태표
수지 상태표 (2036년 09월 1일 ~ 09월 30일)
수 입
지 출
수 입 내 역
수입액(원)
지 출 내 역
지출액(원)
i) 월급
ⅰ) 고정지출
남편
440 만
종신보험
40 만
나
380 만
일반연금
30 만
* 월급 합계
820 만
정기적금
50 만
장기주택마련저축
100 만
자유적금
100 만
자동차 보험비
5 만
아파트 관리비
20 만
휴대폰 요금
10 만
인터넷 통신비
3 만
부모님 용돈
120 만
* 고정 지출 합계
478 만
ⅱ) 변동지출
식비
50 만
교통비
20 만
피복비
15 만
문화생활비
57 만
MMF
200 만
* 변동 지출 합계
342 만
Ⅰ. 총 수 입
820 만
Ⅱ. 총 지 출
820 만
Ⅲ. 손익결산 ( 0 원)
3) 재무목표 세우기
단기목표 (1년이내)
필요금액
달성날짜
자녀의 ‘성년의 날’ 선물로 정장사주기
300 만 원
2037년 5월 18일
중장기목표 (1~5년)
필요금액
달성날짜
없음
장기목표 (5년이상)
필요금액
달성날짜
자녀 결혼자금 마련하기
1 억 원
2045년 4월 30일
노후대비하기
1 억 원
2045년 4월 30일
자녀 학비 마련하기
1 억 원
2045년 4월 30일
4) 재무계획 세우기
① ‘퇴직 후 60세부터 노후생활비 1억원 마련하기’를 위해
⇒ 생명보험사의 일반연금상품에 매달 30만원씩 저축.
추가적으로 8년동안 MMF에 매달 200만원씩 장기주택마련저축에 100만원씩 저축.
② '20년 동안 자녀결혼자금 1억원 마련하기‘를 위해
⇒ 정기적금 이용해 매달 50만원씩 저축.
③ 상해보험을 종신보험으로 전환.
⇒ 매달 20만원씩 납입.
④ ‘자동차 보험비 5만원씩 납부.’
5) 재무계획 검토하기
⇒ 수지상태표 변경 불필요.
월급은 많이 상승하고 큰 지출비용은 미리 저축해 두어서 걱정 없음.
그러므로 과소비하는 일이 없도록 주의하고 노후를 위해 무조건 저축.
5. 노후기 (2045년 60세~ )
1) 자산상태표
나의 자산 상태표 ( 2045년 5월 1일자 )
자 산 내 역
부 채 내 역
<화폐자산>
MMF 2억 4500 만 원
장기주택마련저축 1억 1280 만 원
일반연금 1억 0800 만 원
상해보험 5280 만 원
종신보험 3840 만 원
<고정자산>
민영아파트 2 억 원
자동차 4000 만 원
Ⅱ. 총 부 채 0 원
Ⅲ. 순 자 산 7 억 9700 만 원
Ⅰ. 총 자 산 7 억 9700 만 원
2) 수지상태표
수지 상태표 (2045년 09월 1일 ~ 09월 30일)
수 입
지 출
수 입 내 역
수입액(원)
지 출 내 역
지출액(원)
i) 연금
ⅰ) 고정지출
① 공무원연금
종신보험
40 만
남편
150 만
자동차 보험비
5 만
나
100 만
아파트 관리비
20 만
② 개인연금
휴대폰 요금
10 만
남편
150 만
인터넷 통신비
3 만
나
150 만
* 고정 지출 합계
78 만
* 연금 합계
550 만
ⅱ) 변동지출
식비
50 만
교통비
20 만
피복비
15 만
문화생활비
100 만
MMF
200 만
* 변동 지출 합계
385 만
Ⅰ. 총 수 입
550 만
Ⅱ. 총 지 출
550 만
Ⅲ. 손익결산 ( 0 원)
3) 재무계획 검토하기
⇒ 노후기에는 젊은 시절 알뜰하게 저축해온 돈으로도 충분히 풍족하게 살 수 있다.
다달이 나오는 연금만으로도 재테크를 할 수 있다.
은퇴 후 남은 여생을 남편과 함께 여행을 다니며 봉사활동을 다니며 취미생활을 하며 살 수 있다. 그러므로 따로 재무계획은 필요하다고 생가지 않았다.
문화생활비100만원으로 그때그때 상황에 맞춰 알뜰히 쓸 수 있다고 생각한다.
6. reprot를 마치며.
⇒ 과감히 도전하는 의식 없이 안정성만을 추구하다 보니 재무계획이 그저 주택마련 하나에만 목맨 듯이 보여서 나로서도 안타깝다는 생각이 든다. 펀드에도 투자하고 주식에도 투자하고 더욱 다양한 재테크 방법을 사용했어야 하는 것 같다.
내용도 좀 더 상세히 기술했어야 했는데 너무 추상적으로 나열한 것 같다. 나의 생각을 제대로 표현하지 못해서 속상하다.
평소에 경제에 관심이 없어서 재무계획 용어 하나하나가 너무나도 낯설었다. 아무리 노력해도 내 것으로 만들기가 너무 힘들었다. 좀 더 시간을 투자했어야 했던 것은 아닌지 아쉬움이 남는다. 그래도 이번에 재무계획을 해봄으로써 실제로 나의 앞으로의 인생설계에 있어서도 다음에는 이렇게도 저렇게도 해볼 수 있겠구나 라는 자신감이 생기기도 했다. 도서관에 있는 그 많은 재테크 관련 책과 재무 관련 책을 다 읽는 그 날 나도 재테크 전문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재무관리] 재무관리의 개념과 목적, 재무관리 기능
[창업재무관리 기본개념] 창업재무관리의 기능(의의, 중요성)과 목표, 재무관리의 원리와 가...
2012년 1학기 재무관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재무관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2학기 가계재무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장기재무설계,단기재무설계)
(재무관리) 재무관리의 의의와 개념 (경영자와 재무활동)
공간드림(공간 DREAM)에 대해 (미션, 마케팅(SWOT), 재무관리, 전시 프로그램, 교육 프로그램)
2014년 1학기 재무관리 기말시험 핵심체크
[재무관리의 개념] 재무관리(financial management)의 성격, 목표, 기능, 재무관리조직
[A+] 재무관리 용어정리 유동자산 유동부채 자본 매출원가 감가상각비 법인세비용차감...
재무관리 (financial management) - 재무관리의 개념 & 병원조직의 재무관리.pot
[가계재무관리 공통] 학생 자신의 가계를 대상으로 한 장기재무설계(5~10년) 및 단기재무설계...
[가계재무관리] 학생 자신의 가계를 대상으로 한 장기재무설계(5~10년) 및 단기재무설계(1년)...
2016년 2학기 가계재무관리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장기재무설계, 단기재무설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