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재무관리 기본개념] 창업재무관리의 기능(의의, 중요성)과 목표, 재무관리의 원리와 가치평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창업재무관리의 기본개념

Ⅰ. 창업재무관리의 기능과 목표

1. 창업재무관리의 의의와 중요성
2. 창업재무관리의 기능
1) 투자결정
2) 자본조달결정
3. 창업재무관리의 목표

Ⅱ. 재무관리의 기본원리와 가치평가

1. 재무관리의 기본원리
1) 화폐의 시간가치
2) 위험과 기대수익률
2. 가치평가
1) 가치평가의 의의와 기본모형
2) 벤처기업의 가치평가

본문내용

비체계적인 위험은 특수위험(firm's specific risk or unique risk)이라고도 하는데, 여러 기업의 주식이나 채권 등에 분산 투자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는 분산가능위험(diversifiable or avoidable risk)이다.
일반적으로 합리적인 투자가라면 위험을 싫어한다. 위험이 높을수록 높은 위험대가(risk premium)를 요구하게 되며 따라서 높은 수익률을 요구하게 된다. 즉, 이성적인 투자자라면 위험수준이 같은 투자대상 중에서는 기대수익률이 가장 높은 투자대상에 투자하고, 기대수익률이 같은 투자대상 중에서는 위험이 가장 작은 투자대상을 찾으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은 투자원척을 지배원리(dominance principle)라고 한다.
(2) 가치평가
1) 가치평가의 의의와 기본모형
가치(value)의 개념은 재무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의 하나이다. 재무관리는 주주의 부(wealth) 극대화 즉, 기업가치의 극대화를 목표로 한다.
주주의 부는 주주들이 보유하고 있는 증권의 가치와 연결되고, 증권의 가치는 의사결정의 핵심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기업가치의 극대화를 목표로 하므로 가치는 모든 재무의사결정의 기초가 된다.
가치는 이익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고, 현금흐름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현금흐름을 가치와 연결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가치평가(valuation)는 자산의 내재가치(intrinsic value)를 추정하는 과정으로 자산가치는 그 자산을 보유함으로써 생기는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를 나타낸다.
자산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은 미래현금흐름의 크기, 미래현금흐름의 발생 시기, 위험(불확실성) 등 3가지이다. 즉, 자산가치는 그 자산으로부터 발생되는 기대현금흐름을 그 발생시기와 위험도에 따라 적절하게 구한 현재가치의 총합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론적인 자산가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n = 자산의 수명
CFt = t시점에서의 기대 현금흐름
r = 추정된 현금흐름의 위험 정도를 반영한 할인을, 기회비용
자산가치 계산에서 적용되는 할인율은 화폐의 시간가치와 불확실성을 반영한다. 그리고 투자자들은 미래현금흐름의 실현이 불확실한 현금흐름에 대해서는 위험을 감수하는데 따른 보상을 요구하므로 위험이 없는 경우에 비해 높은 할인율로 할인한다. 이때 할인율을 요구수익률(required rate of return)이라고 한다. 다시 말하면, 할인율로 사용되는 요구수익률은 투자자가 투자를 할 때 자본시장에서 투자대상과 동일한 위험을 가진 비교 가능한 투자기회로부터 얻을 수 있는 수익률이므로 자본의 기회비용이다. 이러한 요구수익률을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자본공급자인 투자자로부터 자본을 조달하는데 대한 대가로 지불해야할 최소한의 비용이므로 기회자본비용(opportunity cost of capital)이 된다. 따라서 요구수익률과 기회자본비용은 동일한 크기의 수익률을 의미한다.
한편, 기대수익률(expected rate of return)은 투자자가 투자로부터 실제 얻기를 기대하는 수익률이다. 그러므로 기대수익률은 최소한의 요구수익률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효율적 시장(efficient market)에서는 요구수익률, 기대수익률, 기회자본비용은 동일한 수익률을 의미한다.
2) 벤처기업의 가치평가
기업가치 평가금액은 직접투자, 기업의 인수합병 (M&A), 대출 등의 의사결정에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된다. 따라서 기업가치 평가는 창업자가 수행하여야 할 핵심적인 과제중의 하나이다. 기업가치는 기업이 현제 보유하고 있는 유, 무형 자산들의 미래수익 창출능력의 평가액이라 할 수 있다.
기업가치 평가의 개념은 평가의 대상에 가치를 부여하는 행위로 평가대상의 인식방법과 평가자의 주관에 따라 큰 영향을 받으므로 어떠한 기업의 가치도 객관적으로 산출하기는 어렵고 현실적으로 제약조건이 많다. 기업의 성과를 평가하는 최선의 척도는 주주가치이다. 이해관계자 중 주주만이 유일하게 자신의 이익극대화를 추구하는 동시에 다른 모든 이해관계자들의 이익극대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기본적으로 기업가치 평가 모형은 자산의 가치를 현금흐름 및 기대성장률과 관련시킨 모형이다. 기업가치 평가는 기업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장벽, 최고경영자, 성장잠재력, 주주 등 질적인 요소를 고려한 질적 접근방법과 현금흐름할인(discounted cash flow; DCF)모형, 상대가치평가모형, 본질가치평가, 옵션가격모형 등과 같이 계량적인 요소를 고려한 양적 접근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
한편, 기업가치 평가는 평가부문별로 재무평가, 기술평가, 산업평가 및 사업성평가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재무평가는 미래이익 창출가치와 투자조건과의 상대적 가치평가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매출규모, 투자수익률, 회수기간 및 회수시장과 동향 등이 고려된다. 기술평가는 기술자체가 가지고 있는 금전가치 평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술수명주기, 기술축적효과 모방 및 대체기술 가능성 등의 기술요소와 수요구조, 시장진입장벽, 시장경쟁상황 및 유통구조 등 시장평가요소가 고려된다. 사업성평가는 기술이나 비즈니스 모델을 사업화 할 경우 미래이익 창출능력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경영자 능력, 투명성, 인력구성, 조직충성도 및 보상체계 등 인적요소와 자본구성 및 흐름, 소요자금 등 자본요소가 고려된다. 그리고 산업평가는 산업의 수요, 생산 및 판매구조, 정책, 경쟁상황 및 해외동향 등 산업 환경 요인이 고려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론적 가치평가의 근본모형은 '가치는 해당기간 동안에 제공돼는 미래현금흐름의 현재가치의 합'으로 정의한다. 기업가치 평가 방법은 여러 가지로 분류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본질가치, 시장가치평가 및 실물옵션 가치평가로 분류할 수 있다. 본질가치는 자산가치 평가와 수익가치 평가로 나눈다.
기업을 비롯한 평가주체들은 이와 같은 평가 방법 가운데 평가 목적에 적합한 평가 방법들을 적절히 활용하고 있다. 주로 비상장기업은 본질가치법과 상대가치법을 사용하며, 상장기업은 주가에 의한 시가 또는 시장배수(Market Multiple)를 사용하고 있다.
  • 가격3,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2.05.17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746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