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윤리 (양명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1. 양명학의 형성

2. 심의 철학

3. 양명학의 내용
-심즉리
-치양지
-지행합일

본문내용

수신제가치국평천하이다. 왕수인에 의하면 수신은 치양지나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양지를 넓히지 않고 어떻게 수신할 수 있을까? 수신하는 데 있어서 ‘치양지’이외에 또 무엇을 하여야 할까? ‘치양지’하는 데 있어서는 백성을 사랑해야 한다. 또 백성을 사랑하는 데 있어서 어떻게 ‘제가’이외에 다른 방식을 동원할 수 있으며, 또 다른 방식으로 어떻게 치국과 평천하에 최선을 기울일 수가 있을까? 그리하여 8조목은 모두 결국 ‘치양지’라는 하나의 조목으로 환원할 수 있다.
(3)지행합일
아름다운 꽃을 보는 것은 지(知)에 속하고 아름다운 꽃을 좋아하는 것은 행(行)에 속한다. 그런데 아름다운 꽃을 보았을 때는 이미 좋아하는 것이지 먼저 보고 난 뒤에 또다른 마음이 있어서 좋아하는 것이 아니다. 이것이 왕수인이 지는 행의 시작이요, 행은 지의 완성이라고 했던 까닭이다. 즉 우리의 지식과 실천은 본래 합치되어 있다는 것이다. 하린(賀麟)은 지행합일신론(知行合一新論)에서 대략 "지는 의식활동이며, 행은 생리적인 활동이다. 지행이 비록 성질이 다른 활동이라고 하더라도 활동이라는 점에서는 합치한다. 우리의 의식활동은 생리적 조건과 물질적인 변화가 있게 된다. 이것을 인정해야 할 것이므로 지행합일이라고 한 것이다. 의식활동과 생리적인 활동은 동시에 발동되며, 시간적인 선후가 없다"고 했다.
육왕학파와 정주학파는 다 같이 불표를 맹렬히 비판하였다. 불교비판에 있어서도 양 학파의 차이점이 또다시 들어났다.
주희에 의하면, 불가들이 말하는 구체적인 세계가 공리라고 하는 것은 정당성이 없는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구체적 세계의 사물들은 변화하고 또 일시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거기에는 또한 영원하고 변화하지 않는 이치가 있다. 이런 의미에서 우주는 공이 아니다. 불가들은 이치가 실재한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
왜냐하면 연못 속에 있는 물이 색깔이 없기 때문에 보지 못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리는 추상적이기 때문이다. 양수인도 역시 불가를 비판하였다. 그러나 아주 다른 견해로써 비판하였다.
* 왕수인의 사상체계는 주돈이정명도육구현의 사상과 같은 노선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그는 좀더 체계적이면서도 정확한 용어로 표현하였다.
《대학》의 ‘3강령’과 ‘8조목’은 그의 사상체계에 너무나 잘 들어 맞아 주었다. 그의 정신 수양체계와 방법은 간단하면서도 직접적이다. 즉, 이것들은 사상체계에 강력한 호소력을 줄 수 있었던 특질들이라고 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6.12.06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06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