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목표
2. 핵심개념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주의 및 참고사항
5. 실험과정
6. 실험결과
7. 결론
2. 핵심개념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주의 및 참고사항
5. 실험과정
6. 실험결과
7. 결론
본문내용
게(밀도 = 1.08g/mL)
3.24g
얻은 아스피린의 무게
3.971g
아스피린의 이론적 수득량
3.24g
수득률
123%
① 사용한 살리실산의 무게 - 2.5g
② 사용한 아세트산 무수물의 부피 - 3.0 ml
③ 무수초산의 질량=무수초산의 부피(ml)× 1.082 g/ml =3ml × 1.08 g/ml = =3.24g
④ 무수초산의 몰수 = 무수초산의 질량(g)/그램분자량(102.09g/mole) =
3.24g / 102.09g/mole = 0.032mole
⑤ 살리실산의 몰수 = 살리실산의 질량(g)/그램분자량( 138.12 g/mole) =
2.5g / 138.12g/mole = 0.018mole
이 반응은 아세트산 무수물을 과량으로 첨가해준 반응이므로 살리실산(한계반응물)의 양에 의해서 제한되게 된다.
반응식을 보게 되면 살리실산 1mol 이 반응하면 아스피린( 화학식량 180.16 g/mol) 1mol 이 생기게 되므로
⑥ 이론적 수득양(g)은.
=한계반응물(실리실산)의 몰수 아스피린의 그램 분자량(180.16g/mol)
= 0.018 mole × 180.16 g/mole = 3.24g
그러므로 수득률은
3.971g / 3.24g × 100 = 123%
수득률이 100%를 넘어선 이유는 충분히 건조를 하여 무게를 재야하지만 실험 시간에 의해 충분히 건조가 안됐으므로 수분의 무게까지 더한 결과 값이 나오게 된 것이다.
7. 결론
이번 실험은 아세트산 무수물과 살리실산을 반응시켜서 아스피린을 합성하는 것이다. 물중탕을 할 때 초산 증기에 의해서 시큼한 식초냄새가 났고 조금씩 사라지는 듯 했으나, 완전히 없애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25분 정도 경과 후, 증류수를 가하였는데 금방 조금씩 결정이 생겼고 결정이 하얗고 플라스크에 붙어 여과할 때 어려움이 있었다. 감압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 하였는데 처음 보는 것이 신기하였다. 또한 플라스크에 붙은 결정들을 떼어 내려고 고생을 했지만 물을 부어 깨끗이 닦아 내었다.
그 결정들을 여과하여 말리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그래서 다 마르지 않은 결정을 가지고 실험을 하였더니 수득률에 문제가 생겼다. 그 이유는 수분의 무게까지 더해진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우리가 진통제로 먹는 아스피린을 유기합성을 이해하면서 실험을 해보니 신기하였다. 우리가 약을 만들다니~ 이러면서... 정제 하지 않은 아스피린은 또한 복용하면 위험하다는 것도 알았다.
3.24g
얻은 아스피린의 무게
3.971g
아스피린의 이론적 수득량
3.24g
수득률
123%
① 사용한 살리실산의 무게 - 2.5g
② 사용한 아세트산 무수물의 부피 - 3.0 ml
③ 무수초산의 질량=무수초산의 부피(ml)× 1.082 g/ml =3ml × 1.08 g/ml = =3.24g
④ 무수초산의 몰수 = 무수초산의 질량(g)/그램분자량(102.09g/mole) =
3.24g / 102.09g/mole = 0.032mole
⑤ 살리실산의 몰수 = 살리실산의 질량(g)/그램분자량( 138.12 g/mole) =
2.5g / 138.12g/mole = 0.018mole
이 반응은 아세트산 무수물을 과량으로 첨가해준 반응이므로 살리실산(한계반응물)의 양에 의해서 제한되게 된다.
반응식을 보게 되면 살리실산 1mol 이 반응하면 아스피린( 화학식량 180.16 g/mol) 1mol 이 생기게 되므로
⑥ 이론적 수득양(g)은.
=한계반응물(실리실산)의 몰수 아스피린의 그램 분자량(180.16g/mol)
= 0.018 mole × 180.16 g/mole = 3.24g
그러므로 수득률은
3.971g / 3.24g × 100 = 123%
수득률이 100%를 넘어선 이유는 충분히 건조를 하여 무게를 재야하지만 실험 시간에 의해 충분히 건조가 안됐으므로 수분의 무게까지 더한 결과 값이 나오게 된 것이다.
7. 결론
이번 실험은 아세트산 무수물과 살리실산을 반응시켜서 아스피린을 합성하는 것이다. 물중탕을 할 때 초산 증기에 의해서 시큼한 식초냄새가 났고 조금씩 사라지는 듯 했으나, 완전히 없애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25분 정도 경과 후, 증류수를 가하였는데 금방 조금씩 결정이 생겼고 결정이 하얗고 플라스크에 붙어 여과할 때 어려움이 있었다. 감압여과장치를 이용하여 여과 하였는데 처음 보는 것이 신기하였다. 또한 플라스크에 붙은 결정들을 떼어 내려고 고생을 했지만 물을 부어 깨끗이 닦아 내었다.
그 결정들을 여과하여 말리는데 시간이 많이 걸렸다. 그래서 다 마르지 않은 결정을 가지고 실험을 하였더니 수득률에 문제가 생겼다. 그 이유는 수분의 무게까지 더해진 결과가 나왔기 때문이다.
우리가 진통제로 먹는 아스피린을 유기합성을 이해하면서 실험을 해보니 신기하였다. 우리가 약을 만들다니~ 이러면서... 정제 하지 않은 아스피린은 또한 복용하면 위험하다는 것도 알았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