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매를 칠 때 죄인이 요동치지 못하게 죄인의 손목, 발목, 허리를 묶는 가죽끈을 달아놓았다.
태장곤 - 태나 장에 쓰이는 매는 대체로 길이 약 1.1미터에 매 치는 부분 지름은 태의 경우 8mm, 장의 경우 1cm 정도였으니, 몽둥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가늘고 회초리보다는 약간 굵은 매였다. 목봉(木俸)으로 만들어 죄인의 볼기와 허벅다리를 치는데 사용하며, 곤장은 곤과 장으로 나누어진다. 곤은 범죄의 종류에 따라 치도곤(治盜棍)중곤(重棍)대곤(大棍)중곤(中棍)소곤(小棍)의 5종류로 가려서 형을 가하며, 치도곤은 특별죄에 해당한다. 장은 5형(五刑) 중의 하나인 장형의 형구로서 《경국대전》에 의하면 대두(大頭)의 지름은 3푼 5리, 소두의 지름은 2푼 2리로 하여 소두쪽으로 볼기를 쳤다.
주리(주뢰) - 본디말은 주뢰(周牢)가 변한 말로서 전도주뢰(剪刀周牢)라고도 하는데, 1732년(영조 8년) 형행이 지나치다 하여 금지령이 내렸으나 계속 사용되었다. 주리형에는 가위주리와 줄주리, 팔주리형이 있다. 가위주리는 두 무릎과 팔을 묶은 후 두 개의 나무 막대를 정강이 사이에 끼워 양끝을 엇갈리게 틀면서 휘게 하는 형벌이었다. 이 형벌을 오래 받으면 대부분은 팔이나 다리가 부러지곤 하였다. 천주교 신자들에게 배교를 받아내는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줄주리는 발목을 묶고 굵은 나무를 정강이 사이에 끼우고 밧줄로 넓적 다리를 묶은 후 양쪽에서 잡아당기는 형벌이었다. 팔주리는 발목을 엇갈리게 하여 무릎을 꿇게 하고 두 팔을 어깨가 맞닿도록 뒤로 묶은 후 나무를 팔속에 엇갈리게 집어넣고 팔이 휘도록 하는 형벌을 말한다.
태장곤 - 태나 장에 쓰이는 매는 대체로 길이 약 1.1미터에 매 치는 부분 지름은 태의 경우 8mm, 장의 경우 1cm 정도였으니, 몽둥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가늘고 회초리보다는 약간 굵은 매였다. 목봉(木俸)으로 만들어 죄인의 볼기와 허벅다리를 치는데 사용하며, 곤장은 곤과 장으로 나누어진다. 곤은 범죄의 종류에 따라 치도곤(治盜棍)중곤(重棍)대곤(大棍)중곤(中棍)소곤(小棍)의 5종류로 가려서 형을 가하며, 치도곤은 특별죄에 해당한다. 장은 5형(五刑) 중의 하나인 장형의 형구로서 《경국대전》에 의하면 대두(大頭)의 지름은 3푼 5리, 소두의 지름은 2푼 2리로 하여 소두쪽으로 볼기를 쳤다.
주리(주뢰) - 본디말은 주뢰(周牢)가 변한 말로서 전도주뢰(剪刀周牢)라고도 하는데, 1732년(영조 8년) 형행이 지나치다 하여 금지령이 내렸으나 계속 사용되었다. 주리형에는 가위주리와 줄주리, 팔주리형이 있다. 가위주리는 두 무릎과 팔을 묶은 후 두 개의 나무 막대를 정강이 사이에 끼워 양끝을 엇갈리게 틀면서 휘게 하는 형벌이었다. 이 형벌을 오래 받으면 대부분은 팔이나 다리가 부러지곤 하였다. 천주교 신자들에게 배교를 받아내는 수단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줄주리는 발목을 묶고 굵은 나무를 정강이 사이에 끼우고 밧줄로 넓적 다리를 묶은 후 양쪽에서 잡아당기는 형벌이었다. 팔주리는 발목을 엇갈리게 하여 무릎을 꿇게 하고 두 팔을 어깨가 맞닿도록 뒤로 묶은 후 나무를 팔속에 엇갈리게 집어넣고 팔이 휘도록 하는 형벌을 말한다.
추천자료
[여성상][우리나라 여성상][한국 여성상][조선시대][문학][여성운동]우리나라 여성상(여성상,...
불상의 시대별특징(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조선시대)
[한국교육사][고구려][백제][신라][조선][실학][근대]한국교육사 고구려시대교육, 한국교육사...
[주거문화][원시][선사][신석기][청동기][삼국][고려][조선]원시시대 주거문화, 선사시대 주...
[주거문화][원시][원삼국][삼국][고구려][고려][조선][일제]원시시대의 주거문화, 원삼국시대...
[조선해어화사][춘향뎐][춘향전][기생][조선시대]조선해어화사와 춘향뎐(춘향전)을 통해 본 ...
고구려시대 시조 여수장우중문시, 신라시대 시조 화왕계, 신라시대 시조 제가야산독서당, 고...
[한국의 관광입지와 관광산업] 우리나라의 관광입지조건과 관광산업 (삼국시대 관광, 고려시...
화장(化粧/Make Up)의 기원, 서양 화장, 한국 화장(상고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조선시대 과학기술] 기상학을 통해 살펴본 조선 후기 근대 과학 기술 (조선시대의 기상학, ...
[교육철학 및 교육사(Ⅱ)] 조선시대의 교육, 조선후기의 교육사상, 근대의 교육 (조선시대 교...
[사회복지법제론] 우리나라(한국)의 사회복지법의 역사와 흐름 -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
[교육敎育학개론] 한국교육(역사적 흐름을 중심으로) - 원시시대 교육, 삼국시대 교육, 고려...
[사회복지행정] 한국의 사회복지 행정에 관하여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중 한 시대를 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