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의학에 이용되는 미생물
2. 식품에 이용되는 미생물
3. 환경문제와 미생물
4. 농업에 이용되는 미생물
2. 식품에 이용되는 미생물
3. 환경문제와 미생물
4. 농업에 이용되는 미생물
본문내용
6은 다른 미생물과 공동 으로 악취 가스 성분의 하나인 NH3를 N2로 변환하는 탈질과정을 거쳐 암모니아의 악취 및 자극성을 제거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균주는 악취성분인 인돌, 황화수소, 아세토인을 생성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FK 916 균주는 운동성의 그람음성 간균이다. 배양학적 특성은 낮은 온도에서도 생장이 가능하고, NaCl에 대하여 8%의 내성을 나타내어 본 균주가 염분이 높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다.
특성
결과
형태학적 특성
형태 및 크기
운동성
그람염색
간균, 0.8~0.9 * 1.7~2.0㎛
+ (양성)
- (음성)
배양 특성
생장 pH
생장온도
4℃에서의 생장
41℃에서의 생장
최적 생장온도
NaCl에 대한 내성
4.5 ~ 9.0
10∼33℃
+
-
25∼30℃
8%
4. 농업에 이용되는 미생물 농작물의 생산에 미생물은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생물은 땅 속의 동ㆍ식물의 시체를 분해하여 농작물의 영양분이 되도록 공급할 뿐만 아니라, 대기 중에서 질소를 변형하여 모든 생물의 영양분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미생물을 질소고정 박테리아라고 한다.
또 질소 제거의 여러 원리 중 생물학적 질산화, 탈질공정은 자연계의 질소순환 법칙을 응용한 것으로 가장 자연 친화적 공법이며, 현재 질소제거 공정에 많이 선호되고 있는 공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2차오염 문제가 없고, 비교적 높은 처리 효율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공정의 안정성과 신뢰도가 높고, 무엇보다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현재 각 적용현장에 맞는 다양한 공정의 변법들이 개발되어 운전되고 있으나 그 이론적 배경은 다음에 기초한다.
<그림3.질산화,탈질산화>
박테리아 중에서도 식물처럼 광합성을 하여 태양에너지를 흡수하고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여 영양분으로 공급해 주는 광합성 박테리아가 있다. 이러한 자연계에서의 역할 외에도 미생물은 병충해 방지에 이용된다. 사람이나 농작물에는 전염되지 않으나 곤충만 전염시키는 미생물을 작물에 뿌려주어 일종의 무공해 농약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레포트를 준비하며...
한 학기동안 <미생물과 인간>이라는 수업을 들으면서, 참 많은 것을 배웠다.
부정적으로만 생각했던 미생물의 긍정적인 면을 알게 되었고, 나와 같이 공존하고 있는 미생물들이 얼마나 고마운 존재인지 알게 되었다. 이렇게 나의 무지함을 일깨 워준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ㅡ^
또한 본 균주는 악취성분인 인돌, 황화수소, 아세토인을 생성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FK 916 균주는 운동성의 그람음성 간균이다. 배양학적 특성은 낮은 온도에서도 생장이 가능하고, NaCl에 대하여 8%의 내성을 나타내어 본 균주가 염분이 높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는데 적합함을 알 수 있다.
특성
결과
형태학적 특성
형태 및 크기
운동성
그람염색
간균, 0.8~0.9 * 1.7~2.0㎛
+ (양성)
- (음성)
배양 특성
생장 pH
생장온도
4℃에서의 생장
41℃에서의 생장
최적 생장온도
NaCl에 대한 내성
4.5 ~ 9.0
10∼33℃
+
-
25∼30℃
8%
4. 농업에 이용되는 미생물 농작물의 생산에 미생물은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한다. 미생물은 땅 속의 동ㆍ식물의 시체를 분해하여 농작물의 영양분이 되도록 공급할 뿐만 아니라, 대기 중에서 질소를 변형하여 모든 생물의 영양분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미생물을 질소고정 박테리아라고 한다.
또 질소 제거의 여러 원리 중 생물학적 질산화, 탈질공정은 자연계의 질소순환 법칙을 응용한 것으로 가장 자연 친화적 공법이며, 현재 질소제거 공정에 많이 선호되고 있는 공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2차오염 문제가 없고, 비교적 높은 처리 효율을 확보할 수 있으며, 공정의 안정성과 신뢰도가 높고, 무엇보다 경제적이기 때문이다. 현재 각 적용현장에 맞는 다양한 공정의 변법들이 개발되어 운전되고 있으나 그 이론적 배경은 다음에 기초한다.
<그림3.질산화,탈질산화>
박테리아 중에서도 식물처럼 광합성을 하여 태양에너지를 흡수하고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빨아들여 영양분으로 공급해 주는 광합성 박테리아가 있다. 이러한 자연계에서의 역할 외에도 미생물은 병충해 방지에 이용된다. 사람이나 농작물에는 전염되지 않으나 곤충만 전염시키는 미생물을 작물에 뿌려주어 일종의 무공해 농약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레포트를 준비하며...
한 학기동안 <미생물과 인간>이라는 수업을 들으면서, 참 많은 것을 배웠다.
부정적으로만 생각했던 미생물의 긍정적인 면을 알게 되었고, 나와 같이 공존하고 있는 미생물들이 얼마나 고마운 존재인지 알게 되었다. 이렇게 나의 무지함을 일깨 워준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ㅡ^
추천자료
활성슬러지와 미생물
[일반미생물학 정리]
[식품미생물학 정리]
[미생물학] Broth culture, streaking & spreading
[식품미생물학실험]김치로부터 젖산균의 분리(isolation of LAB from kimchi)
[식품미생물학실험]그람염색&카탈라아제테스트(gram staining & catalase test)
[식품미생물학실험] 요거트제조(yogurt 만들기)
[식품미생물학실험] 빵으로부터 곰팡이의 분리 및 검경(곰팡이 동정)
[미생물학] 저온균(低溫菌/Psychrophile)
우주정거장의 미생물 멸균은 어떻게 하는 것일까?
[미생물학실험] 구강, 피부로부터 정상상주균층의 분리 및 사면배양 실험
임상에서 미생물 배양 검사를 실시하는 검체 항목, 검체 수집 방법 및 검사 결과
[(미생물학 A+ 발표자료)] 의학적으로 중요한 바이러스 (바이러스의 구조와 분류, 바이러스의...
2.순수배양 미생물의 기본형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