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미생물학실험] 빵으로부터 곰팡이의 분리 및 검경(곰팡이 동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품미생물학실험] 빵으로부터 곰팡이의 분리 및 검경(곰팡이 동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Introduction

2. Materials & Method

3. Result & Discussion

4. Reference

본문내용

고 동그란 원 안쪽으로 들어가지 않게 바세린을 바른다. 바세린을 사용하는 것은 배지가 마르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커버 글라스를 배지가 안쪽으로 들어가게 하여 덮는다. 배지가 밑으로 향하고 있어야 한다.
Figure 4. Cover glass의 제조
PDA 배지 →
물기가 마르지 않게 petri-dish 아래쪽에 증류수에 적신 휴지를 깔고 그 위쪽에 곰팡이가들어있는 슬라이드 글라스를 배지가 아래쪽을 향하게 하여 넣고 뚜껑을 닫는다. 30℃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한다. 배양이 끝난 후 검경한다.
현미경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번 실험에 사용한 현미경은 Light microscopy가 사용되었다. 광학현미경의 기본적인 특징은 우선 광학현미경으로 볼 수 있는 최소의 단위는 0.2μm로서 세균의 일반적인 크기인 1μm-10μm 보다 작은 것까지 관찰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보다 작은 것을 검경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현미경이 있다.
Figure 5. 현미경의 기본구조
3. Result & Discussion
Figure 6. 실험결과
검경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격벽(Septum)을 볼 수 있다. 즉, 검경한 곰팡이는 격벽이 있는 Ascomyces의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포자가 안으로 들어가 있는 것으로 보아 endo spore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Ascomyces의 형태에는 Aspergillus spp.와 Penicillium spp.가 있는데, 검경된 곰팡이는 Aspergillus spp로 예상된다. Aspergillus spp.는 자낭균계의 불완전균으로서 이속에 대응하는 유성세대는 Eurotium 속 등 12속이 알려져 있다. 균총은 백색, 황색, 황갈색, 갈색, 흑색 또는 녹색을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꼿꼿하게 선 분생자병이 밀집한 균사층을 이룬다. 균사의 일부가 팽창한 병족세포(foot cell)로부터 분생자병이 뻗고 그 끝이 부풀어 정낭(vesicle)이 되며 그 표면에 형성된 많은 플라스크 모양의 피알리드 끝에 분생포자가 연쇄상으로 착상한다. 정낭과 피알리드 사이에 기저경자가 형성되는 종류도 있다. 아밀라아제,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등의 효소활성이 강해서 쌀, 콩 등을 원료로 한 전통적인 발효식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것이 많다. Aspergillus oryzae는 청주, 간장, 된장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고오지 곰팡이의 대표적인 균종이고, Aspergillus sojae는 단백질 분해력이 특히 강하며 간장 고오지 제조에 이용된다. A. niger는 분생자가 검은 것이 특징이며 효소, 유기산 등 공업적인 생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속 곰팡이에 의한 효소생산의 예로서는 α-아밀라아제(A. niger, A. oryzae), 펙틴 가수분해효소(A. niger), 글루코오스 산화효소(A. niger) 등이 있다. 또 유기산의 생산 예로서는 구연산(A. niger), 글루콘산(A. niger), 이타콘산(A. itaconicus, A. terreus) 등이 있다.
이 속에는 Aspergillus flavus나 A. parasiticus 와 같이 발암성의 아플라톡신(aflatoxin)을 생성하는 것도 있다. A. flavus 와 A. parasiticus는 화학분류 및 분자계통적 연구에 의해서 각각 아플라톡신을 생성하지 않는 A. oryzae와 A. sojae 의 야생주로 알려지고 있다.
◆ Discussion
단순히 균을 접종하였을 때에는 agar 배지만을 사용했는데 곰팡이 배양시 사용한 배지는 PDA 배지였다. 곰팡이와 박테리아는 그 생육 적정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pH, 배지에 더 넣어주어야 하는 growth factor 등이 다를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테리아의 경우 pH 7~7.5일 때 잘 자란다고 하고 yeast, mold의 경우 pH 5~6이 적당하다고 한다. 박테리아의 경우에는 nutrient agar에서 배양을 하면 적당하다고 하나 yeast나 mold의 경우에는 우리가 이번에 실험을 했던 PDA(potato dextrose agar)배지를 사용하고 여기에 주석산을 넣어 pH를 박테리아를 키울 때보다 낮추어 주는 것이 좋다고 한다. 일반적으로 곰팡이는 30℃에서 잘 자란다고 한다. 그리고 세균과 효모에 비해 더 불리한 조건에서도 생육이 가능하며 pH, 삼투압(당농도)등의 영향을 적게 받기 때문에 배양하기에 비교적 쉽다. 하지만 생육 속도는 세균이나 효모에 비해 떨어진다. 일반적으로 진균을 검사할 때에는 무 염색 표본 검사를 하는 경우가 있고, 염색표본을 이용하여 검사를 하는 방법이 있다. 일반적으로 액체 상태의 검체는 그대로 관찰한다고 하고 농후하고 mucoid한 검체는 생리식염수로 희석하여 검경한다. 이 때에는 위상차 현미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만약 진균류를 검사시 염색법을 이용한다고 하면 lactophenol cotton blue, tease mount, scoth tape, slide 배양법 등이 있다. 각기 사용하는 염색 시약은 다르지만 배양 후 slide glass 위에 올려놓고 염색 시약을 떨어뜨려 포자와 균사의 모습을 관찰한다.
4. Reference
김영만(2002), 최신발효공학, 유림문화사
김경민, 서영훈, 신주옥, 이혜영, 하영미 공저(1997), 미생물학5판, 라이프사이언스
이삼빈, 고경희, 양지영, 오성훈 공저(2001), 발효식품학, 도서출판 효일
조형용, 신해천, 김영숙, 최동원 공저(2003), 식품분석실험, 광문각
Lynne Mclandsborough,(2005), FOOD MICROBIOLOGY LABORATORY, CRCPRESS
한국 바이오 벤처협회 표준, 유산균 검출 및 계수방법(2006)
안승구 외 8명 공저(1993), 환경미생물학, 신공문화사
Eugene P. Opum 서울대학교 이도원(1992), 생명의 보금자리를 가꾸는 생태학,동화기술
MCDASH, 이문우, 환경생태학
최영길, 김치경, 안종희(1999), 현대 환경미생물학, 교학사
(식품미생물학실험)
실험보고서
- 곰팡이의 동정 -
담당교수님 : 교수님
제출일 : 2008. 05. 30.
제출자 : 식품공학과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1.10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4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