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지 않을 경우
* 식종 희석수를 쓸 경우
D1 : 희석한 시료의 15분간 방치한 후의 DO(mg/L)
D2 : 5일간 배양한 다음의 희석한 시료의 DO평균치(mg/L)
B1 :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식종액의 배양전의 DO(mg/L)
B2 :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시료액의 배양후의 DO(mg/L)
f : 시료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시료 중의 식종액 함유율(x%)에 대한 식종액
의 BOD를 측정할때 희석한 식종액 중의 식종액 함유율(y%)의 비(x/y)
P : 희석시료중 시료의 희석배수(희석시료량/시료량)
◀ FLOW SHEET ▶
▶ DO
Sample
↓MnSO4 2mL, 아지드 용액 2mL
15회 이상 병회전, 2분간 방치, 1/3이상 맑은 층
↓Sulfuric Acid 2mL
검수 203mL
↓0.025N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 (황색→무색)
전분지시약
↓0.025N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 (청색→무색)
Calculation
▶ BOD
시료 조제 및 전처리
↓
각 방법에 따른 희석검수 제조
↓
초기 DO 측정
↓
20℃, 5일 후 DO 측정
↓
Sample
↓ MnSO4-XH2O 1mL
알칼리성 요오드화 칼륨 1mL
Mixing
↓ 황산 2mL
전분
0.025N-Na2S2O3.5H2O로 적정
↓
BOD 값 계산
6. Result
6.1 시료의 성상
- 시료채취일 : 1995년 11월 20일
- 시료의 종류 : 유가공 하수
- 시료채취장소 : 건국대학교 유가공 공장 하수구
- 시료채취지점 ; 표층수
- 시료의 외관 : 다수의 작은 기포를 형성, 매우 심한 냄새, 쌀뜬물같이 희뿌면 색깔
- 인공시료 : Glucose-glutamic acid solution
6.2 계산식
- DO 계산
a : 적종에 소비된
f : 의 Factor
V1 : 전체 시료량 (mL)
V2 : 적정에 사용된 시료량 (mL)
R : 전체 시료량에 넣은 시약량 (mL)
- 식종을 하지 않을 경우 BOD 계산
- 식종 희석수를 쓸 경우 BOD 계산
6.3 실험의 결과
a(㎖)
f
V1(㎖)
V2(㎖)
R(㎖)
DO(㎎/ℓ)
식종희석수 DOi
9.95
1.05
304.6
200
2
10.51
DOt
9.15
1.05
299
200
2
9.67
×50
DOi
9.85
1.05
298.9
200
2
10.41
×50
DOt
8.3
1.05
303.5
200
2
8.77
×60
DOi
9.98
1.05
300.5
200
2
10.54
×60
DOt
7.4
1.05
299.7
200
2
7.82
×70
DOi
9.9
1.05
299.4
200
2
10.46
×70
DOt
7
1.05
299.6
200
2
7.39
하수
×100 DOi
10.3
1.098
299.9
200
2
11.38
×100
DOt
4.88
1.098
301.4
200
2
5.39
×200
DOi
10.7
1.098
301.1
200
2
11.82
×200
DOt
7
1.098
299
200
2
7.73
×300
DOi
8.5
1.098
297.4
200
2
9.39
×300
DOt
7.7
1.098
298.4
200
2
8.51
- B1-B2(㎎/ℓ) = 0.84436
- D1-D2(㎎/ℓ) = 1.63935 (×50) 0.98 = 1-1/P
2.72701 (×60) 0.98333
3.06551 (×70) 0.985714
▶ BOD
BOD (㎎/ℓ)
인공시료 ×50
40.59
×60
113.80
×70
156.33
유가공 하수 ×100
599.13
×200
817.88
×300
265.36
7. Discussion
실험에 의하여 구해진 BOD는 인공시료 ×50 40.59, ×60 113.80, ×70 156.33, 유가공 하수 ×100 599.13, ×200 817.88, ×300 265.36가 나왔다.
희석배수를 결정함에 있어서도 적당했음을 알 수 있다.
BOD시험은 일정 수역에 대한 유기물(미생물에 의해 분배가능한 물질)의 정도를 나타내는 데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하지만, 근래와 같이 강한 독성을 지닌 오염물질들에 의해 오염된 경우 미생물의 처리능력을 벗어나기 때문에 분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미생물들에 의한 분해효과를 이용하기 힘들다. 또한 이런 오염물질이 있는 시료를 실제 시험을 하기위해서는 매우 큰 희석배수로 희석해야 하는데 이것은 상당히 큰 오차요인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개발된 방법이 COD시험이다. 이것은 미생물에 의한 분해효과가 아닌 화학물질에의한 분해효과를 보는 것이다. 따라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물질도 분해가 가능하다. 대개 BOD값은 COD값의 절반정도로 추측된다.
오염물질의 독성도 무시할 수 없어서 미생물을 오염물질에 대해서 어느정도 seeding 전에 acclimation 시켜주어야 한다. 이러한 acclimation이 잘 되었는가에 따라, 또는 주어진 조건(온도, 영양물, pH)에 따라 미생물의 활성은 매우 차이를 가진다. 이것 또한 정확한 BOD을 구하는 데 오차요인이 된다.
BOD시험은 페쇄된 계안에서 유기물(기질)의 양은 더 이상 증가시키지않고, 미생물의 분해효과를 보는 것이다. 따라서, 기질의 양이 BOD값을 제한하는 효과를 주기도 한다.
이처럼 여러 가지 원인 때문에 BOD는 고정된 정확한 수치를 제공하기 힘들다.
하지만, 상수원과 같이 유기물질이 많지않은 물의 오염평가나, 처리한 폐수를 자연수에 유입시킬때 BOD부하량을 기준으로 일정한 기준을 세울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8. Reference
1) “Stantard Methods(18th Edition)”,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merica(1992), pp.5-1~5.6
2) “Wastewater Engineering”,McGraw-Hill, Inc.,America(1991),pp.71-81
3) “환경오염공정시험법”,동화기술 편집부,서울(1988),pp.126-130
4) 김창원,“환경미생물학”,동화기술,서울(1992), pp.140-143
5) 김덕찬,“환경화학”,동화기술,서울(1991), pp.433-448
* 식종 희석수를 쓸 경우
D1 : 희석한 시료의 15분간 방치한 후의 DO(mg/L)
D2 : 5일간 배양한 다음의 희석한 시료의 DO평균치(mg/L)
B1 :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식종액의 배양전의 DO(mg/L)
B2 : 식종액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된 시료액의 배양후의 DO(mg/L)
f : 시료의 BOD를 측정할 때 희석시료 중의 식종액 함유율(x%)에 대한 식종액
의 BOD를 측정할때 희석한 식종액 중의 식종액 함유율(y%)의 비(x/y)
P : 희석시료중 시료의 희석배수(희석시료량/시료량)
◀ FLOW SHEET ▶
▶ DO
Sample
↓MnSO4 2mL, 아지드 용액 2mL
15회 이상 병회전, 2분간 방치, 1/3이상 맑은 층
↓Sulfuric Acid 2mL
검수 203mL
↓0.025N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 (황색→무색)
전분지시약
↓0.025N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적정 (청색→무색)
Calculation
▶ BOD
시료 조제 및 전처리
↓
각 방법에 따른 희석검수 제조
↓
초기 DO 측정
↓
20℃, 5일 후 DO 측정
↓
Sample
↓ MnSO4-XH2O 1mL
알칼리성 요오드화 칼륨 1mL
Mixing
↓ 황산 2mL
전분
0.025N-Na2S2O3.5H2O로 적정
↓
BOD 값 계산
6. Result
6.1 시료의 성상
- 시료채취일 : 1995년 11월 20일
- 시료의 종류 : 유가공 하수
- 시료채취장소 : 건국대학교 유가공 공장 하수구
- 시료채취지점 ; 표층수
- 시료의 외관 : 다수의 작은 기포를 형성, 매우 심한 냄새, 쌀뜬물같이 희뿌면 색깔
- 인공시료 : Glucose-glutamic acid solution
6.2 계산식
- DO 계산
a : 적종에 소비된
f : 의 Factor
V1 : 전체 시료량 (mL)
V2 : 적정에 사용된 시료량 (mL)
R : 전체 시료량에 넣은 시약량 (mL)
- 식종을 하지 않을 경우 BOD 계산
- 식종 희석수를 쓸 경우 BOD 계산
6.3 실험의 결과
a(㎖)
f
V1(㎖)
V2(㎖)
R(㎖)
DO(㎎/ℓ)
식종희석수 DOi
9.95
1.05
304.6
200
2
10.51
DOt
9.15
1.05
299
200
2
9.67
×50
DOi
9.85
1.05
298.9
200
2
10.41
×50
DOt
8.3
1.05
303.5
200
2
8.77
×60
DOi
9.98
1.05
300.5
200
2
10.54
×60
DOt
7.4
1.05
299.7
200
2
7.82
×70
DOi
9.9
1.05
299.4
200
2
10.46
×70
DOt
7
1.05
299.6
200
2
7.39
하수
×100 DOi
10.3
1.098
299.9
200
2
11.38
×100
DOt
4.88
1.098
301.4
200
2
5.39
×200
DOi
10.7
1.098
301.1
200
2
11.82
×200
DOt
7
1.098
299
200
2
7.73
×300
DOi
8.5
1.098
297.4
200
2
9.39
×300
DOt
7.7
1.098
298.4
200
2
8.51
- B1-B2(㎎/ℓ) = 0.84436
- D1-D2(㎎/ℓ) = 1.63935 (×50) 0.98 = 1-1/P
2.72701 (×60) 0.98333
3.06551 (×70) 0.985714
▶ BOD
BOD (㎎/ℓ)
인공시료 ×50
40.59
×60
113.80
×70
156.33
유가공 하수 ×100
599.13
×200
817.88
×300
265.36
7. Discussion
실험에 의하여 구해진 BOD는 인공시료 ×50 40.59, ×60 113.80, ×70 156.33, 유가공 하수 ×100 599.13, ×200 817.88, ×300 265.36가 나왔다.
희석배수를 결정함에 있어서도 적당했음을 알 수 있다.
BOD시험은 일정 수역에 대한 유기물(미생물에 의해 분배가능한 물질)의 정도를 나타내는 데는 매우 유용한 방법이다.
하지만, 근래와 같이 강한 독성을 지닌 오염물질들에 의해 오염된 경우 미생물의 처리능력을 벗어나기 때문에 분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미생물들에 의한 분해효과를 이용하기 힘들다. 또한 이런 오염물질이 있는 시료를 실제 시험을 하기위해서는 매우 큰 희석배수로 희석해야 하는데 이것은 상당히 큰 오차요인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개발된 방법이 COD시험이다. 이것은 미생물에 의한 분해효과가 아닌 화학물질에의한 분해효과를 보는 것이다. 따라서,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물질도 분해가 가능하다. 대개 BOD값은 COD값의 절반정도로 추측된다.
오염물질의 독성도 무시할 수 없어서 미생물을 오염물질에 대해서 어느정도 seeding 전에 acclimation 시켜주어야 한다. 이러한 acclimation이 잘 되었는가에 따라, 또는 주어진 조건(온도, 영양물, pH)에 따라 미생물의 활성은 매우 차이를 가진다. 이것 또한 정확한 BOD을 구하는 데 오차요인이 된다.
BOD시험은 페쇄된 계안에서 유기물(기질)의 양은 더 이상 증가시키지않고, 미생물의 분해효과를 보는 것이다. 따라서, 기질의 양이 BOD값을 제한하는 효과를 주기도 한다.
이처럼 여러 가지 원인 때문에 BOD는 고정된 정확한 수치를 제공하기 힘들다.
하지만, 상수원과 같이 유기물질이 많지않은 물의 오염평가나, 처리한 폐수를 자연수에 유입시킬때 BOD부하량을 기준으로 일정한 기준을 세울 수 있는 이점을 갖고 있다.
8. Reference
1) “Stantard Methods(18th Edition)”,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America(1992), pp.5-1~5.6
2) “Wastewater Engineering”,McGraw-Hill, Inc.,America(1991),pp.71-81
3) “환경오염공정시험법”,동화기술 편집부,서울(1988),pp.126-130
4) 김창원,“환경미생물학”,동화기술,서울(1992), pp.140-143
5) 김덕찬,“환경화학”,동화기술,서울(1991), pp.433-448
키워드
추천자료
[일반화학실험] 이산화탄소의 승화열 측정실험
제트 유동장 측정실험[기계공학 응용실험]
[전기회로실험] 중첩의 원리 실험 결과 레포트
[일반화학실험] 고체의 녹는점 측정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실험보고서] 공중합 & 점도측정 & UV측정
[물리 실험] 2-1. 등전위선 측정 예비보고서, 결과보고서 & 등전위선 측정
[물리화학실험] 분광도 측정 (UV-Vis) -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UV-VIS)을 이해하고, 그 방...
[건축환경실험] 열전대를 이용한 온도측정 실험
[건축환경실험] 흑구온도계를 이용한 MRT 온도 측정 실험
[일반화학실험] 반응열 측정 : 화학 반응에서의 엔탈피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헤스의 법칙을 ...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 실험 : 두개의 전극 사이에 생기는 여러 개의 등전위면을 ...
일반 물리 실험 보고서 전기저항 측정 실험 결과보고서
[실험보고서] 관성모멘트 측정 : 에너지 보존법칙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두 물체의 관성모멘트...
[분석화학실험] (예비) 암모니아성 질소측정 : 질소오염 초기 형태인 암모니아성 질소를 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