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 기구
4. 실험 시약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토의
8. 참고문헌 (References)
2. 실험 원리
3. 실험 기구
4. 실험 시약
5. 실험 방법
6. 실험 결과
7. 토의
8. 참고문헌 (References)
본문내용
데이터 중 최대파장구간의 앞뒤 구간을 세부 측정하여 정확 한 최대흡수파장을 구한다.
⑦ 미지시료의 흡광도를 구한다.
⑧ 검량선을 작성한다.
*검량선 : 알고 있는 농도와 기기 반응간의 관계에 대한 곡선.
6. 실험 결과
① 녹색시약
파장(nm)
용액의 흡광도
5ppm
9ppm
12ppm
15ppm
18ppm
620
0.482
0.877
1.286
1.469
1.802
630
0.638
1.170
1.696
1.926
2.317
640
0.731
1.335
1.924
2.163
2.511
650
0.599
1.078
1.558
1.769
2.110
660
0.358
0.636
0.924
1.050
1.278
② 적색시약
파장(nm)
용액의 흡광도
5ppm
9ppm
12ppm
15ppm
18ppm
700
0.005
0.007
0.008
0.004
-0.007
710
0.008
0.008
0.009
0.005
-0.006
720
0.003
0.006
0.007
0.005
-0.007
730
0.003
0.006
0.007
0.004
-0.008
740
0.002
0.005
0.006
0.003
-0.008
7. 토의
이번 분광도 측정 실험에서 실험방법은 비교적 쉽고 간단했지만, 농도와 파장을 바꿔가며 흡광도를 측정하는 것이여서 시간이 많이 걸렸다. 녹색·적색 시약을 각각 5,9,12,15,18ppm의 용액 200ml를 만들 경우 500ppm의 용액에서 몇 ml를 취해서 희석해야 하는지는 공식 MV=M'V'을 써서 구했다. 그 다음 분광광도계에 우리가 측정할 흡광도의 파장 범위를 정했다. 우리는 파장 범위를 녹색시약은 620~660nm, 적색시약은 700~740nm로 정한뒤 분광광도계의 파장을 10nm단위로 바꿔주며 측정했다. 특히, 이번 실험을 할때 가장 불편했던 것은 파장을 바꿔줄때마다 증류수가 담긴 큐벳으로 계속해서 0점을 맞춰줘야 했던 것이다.
우리가 실험한 결과값들을 표로 정리한뒤 X축을 파장, Y축을 흡광도로하여 각 용액의 농도에 따라 그래프를 그려보았다. 그래프를 그려본 결과, 녹색시약의 경우에는 파장을 620~640nm에서 측정할 때는 흡광도가 증가하면서, 640nm 이상의 파장에서는 흡광도가 다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리하여 녹색시약의 최대흡수파장이 640nm라는 것을 구할 수 있었다. 또한 A = -log(I/I0) = -logT = εiCid 식에서처럼 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광도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번 분광도 측정 실험을 통해서, Beer-Lambert 법칙에 대해서 잘 알 수 있었고, 또한 용액의 농도를 희석하는 것도 다시 익힐 수 있었으며, 분광광도게를 사용하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
8. 참고문헌 (References)
·물리화학실험 : 대한화학회
·분석화학기기분석 : 최재성
·분광학적 분석 입문 2판 : 문석식, 박만기, 이용문, 조정혁 공역
·네이버 백과사전(http://100.naver.com)
·위키백과(http://ko.wikipedia.org)
·수업자료(ppt)
⑦ 미지시료의 흡광도를 구한다.
⑧ 검량선을 작성한다.
*검량선 : 알고 있는 농도와 기기 반응간의 관계에 대한 곡선.
6. 실험 결과
① 녹색시약
파장(nm)
용액의 흡광도
5ppm
9ppm
12ppm
15ppm
18ppm
620
0.482
0.877
1.286
1.469
1.802
630
0.638
1.170
1.696
1.926
2.317
640
0.731
1.335
1.924
2.163
2.511
650
0.599
1.078
1.558
1.769
2.110
660
0.358
0.636
0.924
1.050
1.278
② 적색시약
파장(nm)
용액의 흡광도
5ppm
9ppm
12ppm
15ppm
18ppm
700
0.005
0.007
0.008
0.004
-0.007
710
0.008
0.008
0.009
0.005
-0.006
720
0.003
0.006
0.007
0.005
-0.007
730
0.003
0.006
0.007
0.004
-0.008
740
0.002
0.005
0.006
0.003
-0.008
7. 토의
이번 분광도 측정 실험에서 실험방법은 비교적 쉽고 간단했지만, 농도와 파장을 바꿔가며 흡광도를 측정하는 것이여서 시간이 많이 걸렸다. 녹색·적색 시약을 각각 5,9,12,15,18ppm의 용액 200ml를 만들 경우 500ppm의 용액에서 몇 ml를 취해서 희석해야 하는지는 공식 MV=M'V'을 써서 구했다. 그 다음 분광광도계에 우리가 측정할 흡광도의 파장 범위를 정했다. 우리는 파장 범위를 녹색시약은 620~660nm, 적색시약은 700~740nm로 정한뒤 분광광도계의 파장을 10nm단위로 바꿔주며 측정했다. 특히, 이번 실험을 할때 가장 불편했던 것은 파장을 바꿔줄때마다 증류수가 담긴 큐벳으로 계속해서 0점을 맞춰줘야 했던 것이다.
우리가 실험한 결과값들을 표로 정리한뒤 X축을 파장, Y축을 흡광도로하여 각 용액의 농도에 따라 그래프를 그려보았다. 그래프를 그려본 결과, 녹색시약의 경우에는 파장을 620~640nm에서 측정할 때는 흡광도가 증가하면서, 640nm 이상의 파장에서는 흡광도가 다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그리하여 녹색시약의 최대흡수파장이 640nm라는 것을 구할 수 있었다. 또한 A = -log(I/I0) = -logT = εiCid 식에서처럼 용액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흡광도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번 분광도 측정 실험을 통해서, Beer-Lambert 법칙에 대해서 잘 알 수 있었고, 또한 용액의 농도를 희석하는 것도 다시 익힐 수 있었으며, 분광광도게를 사용하는 법을 배울 수 있었다.
8. 참고문헌 (References)
·물리화학실험 : 대한화학회
·분석화학기기분석 : 최재성
·분광학적 분석 입문 2판 : 문석식, 박만기, 이용문, 조정혁 공역
·네이버 백과사전(http://100.naver.com)
·위키백과(http://ko.wikipedia.org)
·수업자료(ppt)
추천자료
핵자기 공명 분광법(N.M.R)
화합물의 물리적 성질과 확인
고체의 전도도 실험
옥살레이트 철착화합물의 합성과 광화학반응
[화학실험]PH 측정에 대하여 조별 프레젠테이션
DNS를 이용한 환원당의 정량 예비레포트
습벽탑(화학공학실험) 사전&결과보고서입니다.
[동물생리학실험]3.실험결과의측정
[결과보고서] 2.굴절률 측정
TBA Assay
[건축환경실험] 열전대를 이용한 온도측정 실험
[화학공학 실험] 흡착 실험 : 활성탄을 흡착제로 사용하여 메틸렌블루의 흡착을 흡광도를 이...
[현대물리학 실험] 미세구조와 1-전자 스펙트럼 : 잘 알려진 He의 스펙트럼선을 이용하여 회...
pH미터가 달린 칼로멜-유리전극을 이용한 전위차 측정법 (예비+결과)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