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의 목적
2.원리
1) 물리적 특성을 이용한 물질의 확인
2) 융점을 이용한 물질의 확인
3) 온도계의 보정
3.준비물
4.실험방법
1) 온도계의 보정
2) 융점 측정
5.결과 및 논의
6.결론
7.참고문헌
2.원리
1) 물리적 특성을 이용한 물질의 확인
2) 융점을 이용한 물질의 확인
3) 온도계의 보정
3.준비물
4.실험방법
1) 온도계의 보정
2) 융점 측정
5.결과 및 논의
6.결론
7.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되는데, 이때의 온도를 녹는점이라 한다. 녹는점은 고체와 액체가 공존하는 온도로서 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보통 1atm하에서의 융해온도를 그 물질의 녹는점이라 한다. 다만 물질에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거나 압력이 변하면 녹는점도 그에 따라 변한다. 유리 ·플라스틱 등 비결정질(非結晶質) 고체에는 녹는점이 뚜렷하지 않다.
3. 준비물
시약 : 물, 아세톤, 에탄올, 미지시료, 비등석
기구 : 융점 측정용 모세관, 온도계, 시험관, 스포이트, 2개의 구멍이 뚫린 고무마개, 비커, 가스버너, 스탠드, 링, 클램프, 석면판
4. 실험방법
1) 온도계의 보정
①.비커에 물을 넣고 그림처럼 비점 측정 장치를 준비한다.
②.시험관에 약 5 mL 정도의 미지 액체시료와 비등석을 넣는다. 온도계의 수은구가 액체의 표면에서 2~5 mm정도 떨어지도록 하고, 클램프로 링 스텐드에 시험관을 고정시킨다. 고무마개에 구멍을 하나 더 있게 하여 액체의 증기가 밖으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한다.
③.물을 서서히 가열하면서, 액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끓는점을 측정한다. 비등석에서 거품이 일어나면 끓는 것이다.
④.각각의 시료에 대해 1~3을 반복한다.
⑤.각각의 온도를 적고 문헌값과 비교한다.
⑥.보정값을 쓰고 온도계의 보정곡선을 그린다.
2) 융점 측정
⑦.분말로 된 시료가 채워진 모세관을 준비한다. 모세관의 밑에 조밀하게 채워진 시료의 높이가 5~7 mm 정도면 충분하다.
⑧.시료가 채워진 모세관의 끝부분이 온도계의 수은구 옆에 오도록 한다.
(수은 온도계의 수은구가 온도에 반응해 열팽창으로 온도를 나타내기 때문)
⑨.구멍이 뚫린 고무마개에 온도계를 끼워 넣은 다음, 모세관이 부착된 온도계를 물중탕에 넣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온도계를 링 스텐드에 고정시킨다.
⑩. 미지시료가 녹을 때의 온도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5. 결과 및 논의
1.실험 결과
1) 온도계 보정을 위한 값
실험에서 측정한 값을 표에 정리한다.
화합물
끓는점
(문헌값, ˚C)
끓는점
(측정값, ˚C)
보정값, ˚C
아세톤
56
53
3
에탄올
79
73
6
물
100
91
9
2) 온도계의 보정 곡선
1)의 값을 가지고 컴퓨터 그래프 작성 프로그램에 수치를 입력한다. X축은 측정된 온도, Y 축은 보정값으로 표시한다.
3) 미지시료의 측정값
2)의 온도계 보정 곡선에서 미지시료의 측정된 온도를 찾는다. 찾은 X값을 가지고 Y값을 찾는다. 보정값을 표시한다. 보정된 미지시료의 녹는점을 적는다. (보정된 값 = 측정값 + 보정값)
측정된 온도 (녹는점, X): 67 °C
보정값 (Y): 5.15 °C
보정된 값: 72.15 °C
4)미지시료의 확인
녹는점: 72°C 화합물명: 스테아린산
-온도계를 보정하여 미지의 시료를 알아내었다.
-온도계 보정은 서로 다른 세 물질의 끓는점을 측정하여 문헌값과 비교해서 온도계의 보정 곡선을 그린다.
-그 다음 모세관에 미지 시료를 넣고 녹는점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녹는점(X축의 값)을 이용하여 보정값(Y축의 값)을 찾는다.
-측정된 온도와 보정값을 더하여서 보정된 값을 구한다.
-보정된 값을 가지고 [표1.1]을 참조하여 녹는점이 보정된 값과 같은 것을 찾는다.
◎오차의 이유
약간의 오차가 났다. 온도계의 눈금을 보고 온도를 잴 때 잘 보이지 않아서 고무마개에서 빼서 쟀다. 그사이에 약간의 온도가 내려가서 오차가 날 수 있다.
그리고 온도계의 유리에 굴곡에 의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가 생기므로 오차가 날 수 있다.
6. 결론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온도계는 정확하지 못하다. 따라서 우리는 온도계를 보정하여 사용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차가 많이 나므로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번 실험에서 온도계를 보정하는 방법을 배웠다. 이미 이름과 성질을 알고 있는 물질을 가지고서 온도계로 그 물질의 끓는점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값을 토대로 온도계 보정 곡선을 그렸다.
보정된 온도계를 가지고 미지 시료를 확인했다. 미지 시료의 녹는점을 측정하되 반드시 보정해둔 온도계를 사용한다. 측정된 녹는점을 가지고 보정 곡선에 Y 축의 값을 구하여 보정온도를 구한다. 보정 온도를 측정 온도와 더해서 정확한 미지 물질의 녹는점을 측정했다. 녹는점을 통해서 표를 참고하여 어떤 물질인지 알아냈다.
물질은 녹는점 72˚C인 스테아린산 이다.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온도계는 부정확 했다.
온도계를 보정하는 것을 배웠다.
부정확한 온도계를 보정해서 미지의 시료를 알아냈다.
보정된 온도계를 가지고 미지 액체시료의 비점을 측정하여 어떤 화합물인 지 찾아냈다.
화합물의 이름은 녹는점 72˚C 스테아린산 이다.
온도측정 오차율
온도측정의 오차율=0.2079
온도계라는 것은 언제나 다 맞는 줄로 알고 있었는데 이번 실험을 통하여 그것이 아니다 라는 것을 알았다. 실험 결과 보고서를 쓰면서 온도계 뿐 만 아니라 많은 실험 기구들이 오차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만약에 실험에서 어떤 이유로 오차가 크게 벌어졌다면 미지 시료가 무엇이다 라는 것을 정확하게 판명 할 수 없을 것이다. 1학년 과정의 실험에서 조차 약간의 오차로 다른 물질로 판명 될 수 있다는 것에 놀랐다. 만약에 큰 공을 들인 실험에서의 작은 오차가 생겼을 경우 그 실험은 얼마나 큰 타격을 받을지.. 오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 해야겠다.
7. 참고문헌
일반화학실험 청문사 남기석, 신형우
일반화학 이론 http://my.netian.com/~kasiri1/general.htm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온도계보정 http://moolynaru.knu.ac.kr/energy/heat/ondoran/html/tamgu2/
http://bh.knu.ac.kr/~jshuh/exphwp/4.hwp
온도계보정의 이유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204&docid=691229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204&docid=707235
3. 준비물
시약 : 물, 아세톤, 에탄올, 미지시료, 비등석
기구 : 융점 측정용 모세관, 온도계, 시험관, 스포이트, 2개의 구멍이 뚫린 고무마개, 비커, 가스버너, 스탠드, 링, 클램프, 석면판
4. 실험방법
1) 온도계의 보정
①.비커에 물을 넣고 그림처럼 비점 측정 장치를 준비한다.
②.시험관에 약 5 mL 정도의 미지 액체시료와 비등석을 넣는다. 온도계의 수은구가 액체의 표면에서 2~5 mm정도 떨어지도록 하고, 클램프로 링 스텐드에 시험관을 고정시킨다. 고무마개에 구멍을 하나 더 있게 하여 액체의 증기가 밖으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한다.
③.물을 서서히 가열하면서, 액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끓는점을 측정한다. 비등석에서 거품이 일어나면 끓는 것이다.
④.각각의 시료에 대해 1~3을 반복한다.
⑤.각각의 온도를 적고 문헌값과 비교한다.
⑥.보정값을 쓰고 온도계의 보정곡선을 그린다.
2) 융점 측정
⑦.분말로 된 시료가 채워진 모세관을 준비한다. 모세관의 밑에 조밀하게 채워진 시료의 높이가 5~7 mm 정도면 충분하다.
⑧.시료가 채워진 모세관의 끝부분이 온도계의 수은구 옆에 오도록 한다.
(수은 온도계의 수은구가 온도에 반응해 열팽창으로 온도를 나타내기 때문)
⑨.구멍이 뚫린 고무마개에 온도계를 끼워 넣은 다음, 모세관이 부착된 온도계를 물중탕에 넣고 클램프를 이용하여 온도계를 링 스텐드에 고정시킨다.
⑩. 미지시료가 녹을 때의 온도를 측정하고 기록한다.
5. 결과 및 논의
1.실험 결과
1) 온도계 보정을 위한 값
실험에서 측정한 값을 표에 정리한다.
화합물
끓는점
(문헌값, ˚C)
끓는점
(측정값, ˚C)
보정값, ˚C
아세톤
56
53
3
에탄올
79
73
6
물
100
91
9
2) 온도계의 보정 곡선
1)의 값을 가지고 컴퓨터 그래프 작성 프로그램에 수치를 입력한다. X축은 측정된 온도, Y 축은 보정값으로 표시한다.
3) 미지시료의 측정값
2)의 온도계 보정 곡선에서 미지시료의 측정된 온도를 찾는다. 찾은 X값을 가지고 Y값을 찾는다. 보정값을 표시한다. 보정된 미지시료의 녹는점을 적는다. (보정된 값 = 측정값 + 보정값)
측정된 온도 (녹는점, X): 67 °C
보정값 (Y): 5.15 °C
보정된 값: 72.15 °C
4)미지시료의 확인
녹는점: 72°C 화합물명: 스테아린산
-온도계를 보정하여 미지의 시료를 알아내었다.
-온도계 보정은 서로 다른 세 물질의 끓는점을 측정하여 문헌값과 비교해서 온도계의 보정 곡선을 그린다.
-그 다음 모세관에 미지 시료를 넣고 녹는점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녹는점(X축의 값)을 이용하여 보정값(Y축의 값)을 찾는다.
-측정된 온도와 보정값을 더하여서 보정된 값을 구한다.
-보정된 값을 가지고 [표1.1]을 참조하여 녹는점이 보정된 값과 같은 것을 찾는다.
◎오차의 이유
약간의 오차가 났다. 온도계의 눈금을 보고 온도를 잴 때 잘 보이지 않아서 고무마개에서 빼서 쟀다. 그사이에 약간의 온도가 내려가서 오차가 날 수 있다.
그리고 온도계의 유리에 굴곡에 의하여 보는 각도에 따라 약간씩의 차이가 생기므로 오차가 날 수 있다.
6. 결론
실험실에서 사용되는 대부분의 온도계는 정확하지 못하다. 따라서 우리는 온도계를 보정하여 사용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차가 많이 나므로 정확한 실험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번 실험에서 온도계를 보정하는 방법을 배웠다. 이미 이름과 성질을 알고 있는 물질을 가지고서 온도계로 그 물질의 끓는점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값을 토대로 온도계 보정 곡선을 그렸다.
보정된 온도계를 가지고 미지 시료를 확인했다. 미지 시료의 녹는점을 측정하되 반드시 보정해둔 온도계를 사용한다. 측정된 녹는점을 가지고 보정 곡선에 Y 축의 값을 구하여 보정온도를 구한다. 보정 온도를 측정 온도와 더해서 정확한 미지 물질의 녹는점을 측정했다. 녹는점을 통해서 표를 참고하여 어떤 물질인지 알아냈다.
물질은 녹는점 72˚C인 스테아린산 이다.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온도계는 부정확 했다.
온도계를 보정하는 것을 배웠다.
부정확한 온도계를 보정해서 미지의 시료를 알아냈다.
보정된 온도계를 가지고 미지 액체시료의 비점을 측정하여 어떤 화합물인 지 찾아냈다.
화합물의 이름은 녹는점 72˚C 스테아린산 이다.
온도측정 오차율
온도측정의 오차율=0.2079
온도계라는 것은 언제나 다 맞는 줄로 알고 있었는데 이번 실험을 통하여 그것이 아니다 라는 것을 알았다. 실험 결과 보고서를 쓰면서 온도계 뿐 만 아니라 많은 실험 기구들이 오차를 가지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그리고 만약에 실험에서 어떤 이유로 오차가 크게 벌어졌다면 미지 시료가 무엇이다 라는 것을 정확하게 판명 할 수 없을 것이다. 1학년 과정의 실험에서 조차 약간의 오차로 다른 물질로 판명 될 수 있다는 것에 놀랐다. 만약에 큰 공을 들인 실험에서의 작은 오차가 생겼을 경우 그 실험은 얼마나 큰 타격을 받을지.. 오차를 줄이기 위해 노력 해야겠다.
7. 참고문헌
일반화학실험 청문사 남기석, 신형우
일반화학 이론 http://my.netian.com/~kasiri1/general.htm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온도계보정 http://moolynaru.knu.ac.kr/energy/heat/ondoran/html/tamgu2/
http://bh.knu.ac.kr/~jshuh/exphwp/4.hwp
온도계보정의 이유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204&docid=691229
http://kin.naver.com/browse/db_detail.php?d1id=11&dir_id=110204&docid=707235
추천자료
순물질과 혼합물의 물리적,화학적 특징의 이해 및 분석
[기계공학] MRI(자기공명영상장치)의 역사와 물리적 원리, MRI system의 구성
[과외]중학 과학 중2-01 화합물과 원소 03
[과외]고등 과학 화학2 6.방향족탄소화합물. 탄화수소유도체..
무기화합물 합성
[환경호르몬]환경호르몬(내분비계장애물질)의 정의, 범주, 환경호르몬 종류, 성질, 환경호르...
[IC카드][스마트카드]IC카드(스마트카드)의 정의, IC카드(스마트카드)의 등장배경, IC카드(스...
[일반화학및실험] 옥살레이트-철 착화합물의 합성과 광화학 반응
위험물의 종류 및 품명, 지정수량과 일반성질에 대해서
[화학] 할로겐의 반응성
유기화학실험 - 아민의 성질(Property of Amine)
[무기화학실험] 헥사아민코발트1 - 코발트(Ⅲ) 착화합물의 합성을 통한 착이온 조성의 제어 : ...
[지질대사] 지질의 성질과 종류(지방산의 구조와 종류, 중성지질 및 복합지질), 지질의 체내...
[청각] 청각의 물리적 자극, 귀의 구조와 기능, 청각경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