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청각의 물리적 자극
1. 음파
2. 사인파
3. 음의 물리적 강도
4. 복잡한 파형
II. 귀의 구조와 기능
III. 청각경험
1. 음의 고저(진동수)
2. 음의 강약(진폭)
3. 음색(파형의 복잡정도)
4. 음의 위치
* 참고문헌
1. 음파
2. 사인파
3. 음의 물리적 강도
4. 복잡한 파형
II. 귀의 구조와 기능
III. 청각경험
1. 음의 고저(진동수)
2. 음의 강약(진폭)
3. 음색(파형의 복잡정도)
4. 음의 위치
* 참고문헌
본문내용
변별하는 것은 이 범위에서 두 이론이 가정하는 기제들이 모두 작용하기 때문이라고 설명된다.
2) 음의 강약(진폭)
음의 고저가 진동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음의 강약은 파장의 진폭과 관계가 있다. 같은 강도의 음이라도, 그 진동수에 따라 약하게 혹은, 강하게 들리기도 한다. 이것은 음의 강약이 진폭에 따라 결정되지만 진동수도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nson의 연구에 의하면, 융자극의 강도는 내측슬상체 부위의 신경흥분과 함수관계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즉,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신경흥분량이 클수록 높은 강도의 음으로 지각된다.
3) 음색(파형의 복잡정도)
음의 복잡한 정도에 대용하는 감각경험이 음색이다. He1mho1tz(1863)의 연구에 의하면, 기본진동수만으로 음이 구성되어 있을 때는 부드러운 인상을, 기본진동수와 높은 조화진동수로 된 음은 날카로운 인상을 준다. 바이올린의 풍부한 음색은 그것이 여러 개의 조화 진동수들을 가지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4) 음의 위치
공간에서 소리의 위치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소리가 나는 곳의 위치 파악은 한 소리가 왼쪽과 오른쪽 귀에 다다를 때 그 강도와 시간상의 조그만 차이를 변별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성인의 귀는 약 7인치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오른쪽 귀 부근에서 난 소리를 오른쪽 귀는 왼쪽 귀보다 약 7msec(1mses는 1/1,000초) 더 발리 듣는다. 따라서 사람
은 그 소리가 오른쪽 방향에서 들리는 지를 안다. 그리고 왼쪽 귀에 다다르는 소리는 머리 때문에 회절되어 그 강도가 낮게 들린다.
여러 음들이 고저상에서 차이가 있을 때, 보통 높은 소리가 나는 곳에 주의를 먼저 집중하며, 그곳이 소리가 나는 곳이라고 판단한다. 우리가 스테레오 음을 즐길 수 있는 한 가지 이유도 각 악기의 소리가 나오는 위치를 두 귀가 비교적 정확히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2) 음의 강약(진폭)
음의 고저가 진동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음의 강약은 파장의 진폭과 관계가 있다. 같은 강도의 음이라도, 그 진동수에 따라 약하게 혹은, 강하게 들리기도 한다. 이것은 음의 강약이 진폭에 따라 결정되지만 진동수도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Anson의 연구에 의하면, 융자극의 강도는 내측슬상체 부위의 신경흥분과 함수관계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즉, 단위 시간당 발생하는 신경흥분량이 클수록 높은 강도의 음으로 지각된다.
3) 음색(파형의 복잡정도)
음의 복잡한 정도에 대용하는 감각경험이 음색이다. He1mho1tz(1863)의 연구에 의하면, 기본진동수만으로 음이 구성되어 있을 때는 부드러운 인상을, 기본진동수와 높은 조화진동수로 된 음은 날카로운 인상을 준다. 바이올린의 풍부한 음색은 그것이 여러 개의 조화 진동수들을 가지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4) 음의 위치
공간에서 소리의 위치를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소리가 나는 곳의 위치 파악은 한 소리가 왼쪽과 오른쪽 귀에 다다를 때 그 강도와 시간상의 조그만 차이를 변별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성인의 귀는 약 7인치 정도 떨어져 있기 때문에 오른쪽 귀 부근에서 난 소리를 오른쪽 귀는 왼쪽 귀보다 약 7msec(1mses는 1/1,000초) 더 발리 듣는다. 따라서 사람
은 그 소리가 오른쪽 방향에서 들리는 지를 안다. 그리고 왼쪽 귀에 다다르는 소리는 머리 때문에 회절되어 그 강도가 낮게 들린다.
여러 음들이 고저상에서 차이가 있을 때, 보통 높은 소리가 나는 곳에 주의를 먼저 집중하며, 그곳이 소리가 나는 곳이라고 판단한다. 우리가 스테레오 음을 즐길 수 있는 한 가지 이유도 각 악기의 소리가 나오는 위치를 두 귀가 비교적 정확히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의 개념정의
사회복지 실천기술론 정신역동모델, 심리사회모델, 인지행동모델의 개념정의
[심리학개론] 발달과 학습에 대한 개념정의를 하고, 인지사회 및 정서발달에 대해 설명
척추질환치료법(카이로프랙틱, 추나, 전신조정술)의 개념정의와 비교
공공정책(Public Policy) - 공공정책의 개념정의, 공공정책의 기능 및 성격, 공공정책 형성과정
행정관리 (行政管理) - 행정관리의 의의(개념정의), 행정관리의 필요성과 방향, 행정관리 문제점
기대수준(포부수준) - 기대수준 의미(개념정의), 기대수준의 형성
[지방재정의 이론적 기초] 지방재정의 의의(개념정의), 목적, 특징(특성), 기능, 국가재정과 ...
[지방자치단체의 수입] 지방재원의 의의(개념정의), 재원의 종류(자치단체의 자체재원 및 의...
[지방자치단체의 계층구조] 지방자치단체 계층구조의 의의(개념정의), 특징(장단점), 한국(우...
[비동거형 가정] 비동거형 가정의 의의(개념정의)와 유형(종류), 비동거가정의 자녀양육문제,...
[가족상담] 가족상담의 의의(개념정의)와 특성(특징), 가족상담 기본전제, 가족상담원리, 가...
[행동과학이론] 행동과학이론의 의의(개념정의), 행동과학의 내용(버나드, 사이몬, 이스톤), ...
[외현기억과 암묵기억] 외현기억과 암무기억의 개념정의, 외현기억-암묵기억의 지지증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