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Subject : TBA Assay
1. Abstract
2. Introduction
가. TBA test
나. Malonaldehyde
다. 흡광광도법
라. 분광광도계
마. Beer - Lam1bert 법칙
3. Materials & Methods
가. Materials
① 분액깔때기
② Cuvette
③ UV-spectrophotometer
나. Methods
4. Results
※ 1,3조는 신선유, 산패유, 미지시료A 측정결과이고 2,4조는 신선유, 산패유, 미지시료B 측정결과이다. <표1>
※ 실험 2조의 TBA 값 결과
5. Discussion
[분광광도계 관련 논문]
제목 :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점토함량 분석
6. Reference
< Homework >
1. TBA 시약을 제조하는 방법
2. 층이 나눠지는 원리와 윗부분과 아랫부분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
3. 분광광도계의 원리
1. Abstract
2. Introduction
가. TBA test
나. Malonaldehyde
다. 흡광광도법
라. 분광광도계
마. Beer - Lam1bert 법칙
3. Materials & Methods
가. Materials
① 분액깔때기
② Cuvette
③ UV-spectrophotometer
나. Methods
4. Results
※ 1,3조는 신선유, 산패유, 미지시료A 측정결과이고 2,4조는 신선유, 산패유, 미지시료B 측정결과이다. <표1>
※ 실험 2조의 TBA 값 결과
5. Discussion
[분광광도계 관련 논문]
제목 :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점토함량 분석
6. Reference
< Homework >
1. TBA 시약을 제조하는 방법
2. 층이 나눠지는 원리와 윗부분과 아랫부분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
3. 분광광도계의 원리
본문내용
크게 다르기에, 종류가 다른 유지의 TBA값 비교는 의미가 없다. 그렇기 때문에 유지의 산패의 정도를 알기 위해 TBA test만 하지 말고, 여러 실험 방법을 통해서 종합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분광광도계 관련 논문]
제목 :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점토함량 분석
이 논문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토양 중 점토 함량 분석에 대한 내용이다. 특히 분광광도계를 이용할 때 파장선택, 검정선 작성의 단계 절차를 통하여 분석 방법을 알 수 있다고 한다. 분광광도계의 흡광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는 용매의 성질, 용액의 pH, 온도, 전해질의 농도 및 방해물질의 존재 등이 있다고 한다. 이 논문은 분광광도계로 분석을 실시할 경우 최선의 조건을 찾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므로 각각의 조건을 따져가며 검정선을 작성하였고, 재현성이 높은 조건들을 찾으면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토양점토함량을 측정할 때 오차를 최대한 줄이는 방법으로, 토양시료의 수분함량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는 시료의 무게를 정량하기 전 105℃에서 12시간 정도 건조시킨 시료를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 논문을 통해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분석물질의 함량을 구할 때에는 실험이 최적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각각의 조건에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최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적합한 조건들을 찾아야만, 비로소 분광광도계 함량분석이 신뢰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6. Reference
이영근, 1998, 식품분석법, 형설출판사, p.49-51.
남궁석, 김재웅, 2000, 최신식품화학실험, 신광출판사, p.162-163.
이근보, 2002, 식품분석, 유한문화사, p.337-345.
조형용, 신해헌, 김영숙, 최동원, 2003, 식품분석실험, 광문각, p.111-117.
하정욱, 2003, 식품화학실험, 형설출판사, p.155-156.
김강진, 2009, 최신분석화학, 자유아카데미, p.396-401.
박순남, 김도계, 강지영,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점토함량 분석, J.Korean.Soc.Appl.Biol.Chem 48권:2005년도, p.183-188.
< Homework >
1. TBA 시약을 제조하는 방법
우선 2-Thiobarbituric acid 0.335g을 칭량하여 30ml의 빙초산으로 가온하여 용해하고, 1ml의 진한염산을 가한다. 다음은 냉각을 시키고 50ml 매스플라스크로 옮겨 빙초산으로 mess-up한다.
2. 층이 나눠지는 원리와 윗부분과 아랫부분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
이번 실험은 유지의 Malonaldehyde가 TBA와 반응해 적자색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처음 시료에 유기용매인 벤젠을 넣으면 시료는 벤젠에 녹는다. 그리고 TBA 시약을 넣어주면 유기용매는 벤젠에 녹아있는 그대로 이고 시료 속의 MA만 TBA와의 반응성이 더 크므로 MA는 TBA와 반응하여 벤젠과 분리된다. 이후에 분액 깔때기에 정치하여 비중 차를 이용하여 벤젠과 TEA를 분리하면 위층은 벤젠이, 아래층은 TBA가 위치하게 되며 MA는 아래층의 TBA와 결합되어 있다.
3. 분광광도계의 원리
일반적으로 빛이 물체에 닿으면 그 빛은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거나, 물체의 표면에서 조금 내부로 들어간 후 반사, 또는 물체에 흡수와 물체를 통과하는 빛으로 나뉘는데 물체에 의하여 흡수되는 빛의 양은 그 농도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빛의 흡수현상을 이용하면 시료용액 중의 빛을 흡수하는 화학물질의 양을 정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료용액, 또는 적당한 시약을 넣어 발색시킨 용액의 흡광도법이라고 하는데 주로 자외선 및 가시광선영역에서 빛의 흡수를 이용한다. 빛이 시료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의하여 빛이 흡수되기 때문에 빛의 강도는 약해진다.
시료용액을 통과한 빛의 양(T)은 흡광물질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의 빛의 강도(I) 즉, T=I/I0로 표시되기 때문에 빛의 통과율을 항상 1보다 작으며 다음과 같이 %로 표시될 수 있다.
%T = T * 100
빛의 통과율은 시료의 농도와 특별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지만 그 로그함수는 다음과 같이 시료의 농도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 logT = k * C
여기서 C는 시료의 중의 흡광물질의 농도이고, K는 상수이다. 위의 식에서 -logT를 흡광도(A)라고 한다면 흡광도는 시료의 농도와 특별한 상관관계를 지니게 된다. 그러므로 강도를 비교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분광광도계 관련 논문]
제목 :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점토함량 분석
이 논문은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토양 중 점토 함량 분석에 대한 내용이다. 특히 분광광도계를 이용할 때 파장선택, 검정선 작성의 단계 절차를 통하여 분석 방법을 알 수 있다고 한다. 분광광도계의 흡광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변수는 용매의 성질, 용액의 pH, 온도, 전해질의 농도 및 방해물질의 존재 등이 있다고 한다. 이 논문은 분광광도계로 분석을 실시할 경우 최선의 조건을 찾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므로 각각의 조건을 따져가며 검정선을 작성하였고, 재현성이 높은 조건들을 찾으면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도출하였다. 결과는 토양점토함량을 측정할 때 오차를 최대한 줄이는 방법으로, 토양시료의 수분함량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는 시료의 무게를 정량하기 전 105℃에서 12시간 정도 건조시킨 시료를 이용하면 해결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이 논문을 통해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분석물질의 함량을 구할 때에는 실험이 최적의 조건을 만족하여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각각의 조건에 반복적인 실험을 통해 최대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적합한 조건들을 찾아야만, 비로소 분광광도계 함량분석이 신뢰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6. Reference
이영근, 1998, 식품분석법, 형설출판사, p.49-51.
남궁석, 김재웅, 2000, 최신식품화학실험, 신광출판사, p.162-163.
이근보, 2002, 식품분석, 유한문화사, p.337-345.
조형용, 신해헌, 김영숙, 최동원, 2003, 식품분석실험, 광문각, p.111-117.
하정욱, 2003, 식품화학실험, 형설출판사, p.155-156.
김강진, 2009, 최신분석화학, 자유아카데미, p.396-401.
박순남, 김도계, 강지영,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점토함량 분석, J.Korean.Soc.Appl.Biol.Chem 48권:2005년도, p.183-188.
< Homework >
1. TBA 시약을 제조하는 방법
우선 2-Thiobarbituric acid 0.335g을 칭량하여 30ml의 빙초산으로 가온하여 용해하고, 1ml의 진한염산을 가한다. 다음은 냉각을 시키고 50ml 매스플라스크로 옮겨 빙초산으로 mess-up한다.
2. 층이 나눠지는 원리와 윗부분과 아랫부분은 무엇으로 구성되었는가?
이번 실험은 유지의 Malonaldehyde가 TBA와 반응해 적자색의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을 측정하는 실험이다. 처음 시료에 유기용매인 벤젠을 넣으면 시료는 벤젠에 녹는다. 그리고 TBA 시약을 넣어주면 유기용매는 벤젠에 녹아있는 그대로 이고 시료 속의 MA만 TBA와의 반응성이 더 크므로 MA는 TBA와 반응하여 벤젠과 분리된다. 이후에 분액 깔때기에 정치하여 비중 차를 이용하여 벤젠과 TEA를 분리하면 위층은 벤젠이, 아래층은 TBA가 위치하게 되며 MA는 아래층의 TBA와 결합되어 있다.
3. 분광광도계의 원리
일반적으로 빛이 물체에 닿으면 그 빛은 물체의 표면에서 반사되거나, 물체의 표면에서 조금 내부로 들어간 후 반사, 또는 물체에 흡수와 물체를 통과하는 빛으로 나뉘는데 물체에 의하여 흡수되는 빛의 양은 그 농도에 따라 다르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빛의 흡수현상을 이용하면 시료용액 중의 빛을 흡수하는 화학물질의 양을 정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료용액, 또는 적당한 시약을 넣어 발색시킨 용액의 흡광도법이라고 하는데 주로 자외선 및 가시광선영역에서 빛의 흡수를 이용한다. 빛이 시료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의하여 빛이 흡수되기 때문에 빛의 강도는 약해진다.
시료용액을 통과한 빛의 양(T)은 흡광물질이 존재하지 않았을 때의 빛의 강도(I) 즉, T=I/I0로 표시되기 때문에 빛의 통과율을 항상 1보다 작으며 다음과 같이 %로 표시될 수 있다.
%T = T * 100
빛의 통과율은 시료의 농도와 특별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지만 그 로그함수는 다음과 같이 시료의 농도와 일정한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 logT = k * C
여기서 C는 시료의 중의 흡광물질의 농도이고, K는 상수이다. 위의 식에서 -logT를 흡광도(A)라고 한다면 흡광도는 시료의 농도와 특별한 상관관계를 지니게 된다. 그러므로 강도를 비교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추천자료
[일반화학실험]생활 속의 산-염기 분석
[일반화학실험] 생활속의 산 염기 분석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의한카페인분석-5
[실험보고서] 공중합 & 점도측정 & UV측정
분석화학 - 산염기 적정
일반화학실험_NMR 실험방법 및 보고서
[일반화학실험] 크로마토그래피[결과 보고서]
[화학실험 보고서] 금 나노입자의 합성과 분석
화학공학 실험 -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Calcium as CaC2O4·H2O(칼슘의 무게분석)
음이온실험
[화공실험] DMC 합성(Synthesis of DMC from ethylene carbonate and methanol) 결과 : 염기...
[화공실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Gas Chromatography) 원리와 운전 방법의 이해 : GC를 이용...
유기화학실험 - Synthesis of Acetanil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