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양가와 선진우주발생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양가와 선진우주발생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여섯가지 종류의 술수

2. 홍범에 나타난 오행

3. 월령

4. 추연

5. 역사철학

6. 역전의 음양원리

본문내용

이는 황제가 토의 덕을 얻어서 왕이 되었다고 보고, 그 다음에는 토를 이기는 목의 덕을 얻어서 하(夏)나라 왕조가 성립되었다고 설명하는 식이다. 이는 전국 중기에서 말기 무렵, 오행학자인 추연(鄒然)이 오행의 이치를 활용하여 인류 역사의 변동을 해석하고 미래를 예측하면서 '오덕종시(五德終始)'의 역사관을 창시하여 당시 통일된 봉건왕조성립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한데서 유래하였다.
홍범구주(洪範九疇)라고도 한다. 정치는 천(天)의 상도(常道)인 오행(五行) ·오사(五事) ·팔정(八政) ·오기(五紀) ·황극(皇極) ·삼덕(三德) ·계의(稽疑) ·서징(庶徵) ·오복(五福) 등 구주(九疇)에 의해 인식되고 실현된다는 것이 그 주요 내용이다. 홍범편은 처음 《한서(漢書)》 <오행지(五行志)>에 나타나 있는 것처럼 한대 재이(災異)사상과 연관되어 각광을 받았으나, 송대에 들어와 《대학(大學)》 《중용(中庸)》 다음으로 많은 주석과 해석이 가해질 정도로 재차 주목받기에 이르렀다. 이는 송대 집권관료제의 확립과 관련하여 재이설에 입각한 한대적 군주관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이 송학적(宋學的) 군주관을 수집하려는 시도의 일환으로서 홍범이 재평가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된다. 예를 들면, 장경(張景:970~1018)이 홍범해(洪範解)에서 인사(人事)와 재이의 관련을 부정하고 현실정치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을 효시로 하여 호원(胡瑗)은 홍범구의(洪範口義)에서 한대재이설의 전제인 천(天)의 신비성을 완전히 부정하고 군주의 교화에 비중을 부여하였다.
이러한 재이설 비판의 관점은 구양 수(歐陽修)에 이르러 더욱 철저하게 되었는데, 《한서》 오행제의 구성이 잘못되었다고 공박하고 그가 편찬한 《신당서(新唐書)》 <오행지>에서는 단순히 자연이변만을 열거하고 그 사응(事應)을 삭제함으로써 이후 역대 정사(正史)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한편, 송대 홍범에 대한 관심은 군주정치의 이념과 관련하여 점차 황극(皇極)에 대한 관심으로 발전되어 이후 송학적 정치사상의 형성에 커다란 영향을 주게 되었다. 황극은 한대에는 ‘대중(大中)’, ‘군중(君中)’이라 해석하였으나, 호원은 황극을 도(道)로서 해석하여 이를 군주정치의 이념으로서 적용하여 그 의의를 적극적으로 평가하였다. 황극을 중시하는 관점은 이후에도 소순(蘇洵) ·계숭(契嵩) ·섭적(葉適) ·육구연(陸九淵) ·주자(朱子) 등 대체로 당시의 대표적인 사상가에게 계승되었는데, 대체로 정치사상의 근본적 이념을 이에 부여하려 한 점에서 공통점을 찾아볼 수 있다.
추연(騶衍)이라고도 한다. 맹자보다 약간 늦게 등장하여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을 제창하였다. 세상의 모든 사상(事象)은 토(土) ·목(木) ·금(金) ·화(火) ·수(水)의 오행상승(五行相勝) 원리에 의하여 일어나는 것이라 하였고, 이에 의하여 역사의 추이(推移)나 미래에 대한 예견(豫見)을 하였다. 이것은 오행상생설(五行相生說)과 더불어 중국의 전통적 사상의 기초가 되었다. 《추자(鄒子)》 49편, 《추자시종(鄒子始終)》 56편 등의 저서가 있었으나 전하지 않는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6.12.10
  • 저작시기200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17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