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경제학이 현실 경제의 변화를 촉구하거나 반영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20세기의 경제학은 사회주의국의 탄생과 몰락, 제1차(1930-41년)와 제2차(1974-99년)의 세계 대불황을 계기로 크게 변화했다고 말할 수 있다. 러시아에서 1917년 노동자 농민 사병에 의한 사회주의 혁명이 발발했을 때, 여러 가지 의문들이 쏟아졌다. 사회주의가 자본주의 이후의 사회라면,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성숙한 자본주의국에서 혁명이 일어나지 않고 왜 후진국에서 혁명이 일어났는가, 강력한 자본주 의국들로 둘러싸인 일국 사회주의가 과연 성공할 수 있는가, 일당 독재가 ‘자유로운 생산자들의 연합’이라는 유토피아을 달성할 수 있을까. 소련공산당은 이러한 의문들을 과학적으로 해결할 의지와 능력을 가지지 못했고, 자국의 안전을 외교적으로 이데올로기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세계공산주의운동을 이용했다. 물론 70여년 생존하는 동안 사회주의권은 경제를 계획적으로 운영하는 방법을 크게 향상시켰고, 자본주의 지배자들(대자본가, 정치가, 국가관료)에게 ‘대안’(alternative)을 줌으로써 자본주의 사회를 개선하도록 강요했다. 그러나 소련식 사회주의는 결코 자본주의 이후의 유토피아가 아니라는 것을 분명히 보여줌으로써 유토피아를 찾는 과학적 노력이 다시 증가하고 있다.
추천자료
[독후감]데미안을 읽고
[독후감]마지막 때의 위기
[의학독후감]나는 고백한다, 현대 의학을..
한아이 독후감
[독후감] 레디메이드 인생
[독후감] 알베르 까뮈(Albert Camus)의 <이방인>을 읽고
[독후감] 고든 리빙스턴(Gordon Livingston)의 <서두르다 잃어버린 머뭇거리다 놓쳐버린>을 읽고
[독후감] 안케 더프리스 (안케 드 브리스/Anke de Vries)의 <두 친구 이야기>를 읽고
[독후감] 에쿠니 가오리(카오리/江國香織/Ekuni Kaori)의 <빨간 장화>를 읽고
[독후감] 2020 세계 경제의 라이벌 _ 빌 에모트 저
[독후감, 감상문] 마키아벨리(Machiavelli)의 <군주론(Il Principe)>을 읽고
[독후감] 조영래의 <전태일 평전>을 읽고
제3인류 독후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