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 CRT의 종류 구조․동작원리
1. 종류
2. 구조
1) 유리벌브
2) 패널(Panel)
3) 펀낼(Funnel)
4) 섀도우(Shadow Mask)
5) 전자총(Election gun)
6) 편향요크(Deflection Yoke)
7) 형광체(Fluorescent Sustenance)
8) Cetter
3.동작원리
Ⅲ. 제조공정
1. 펀낼(Funnel) 제조공정
2. 패널(Panel) 제조공정
3. CRT제조공정
Ⅳ. 향후 전망
Ⅱ. CRT의 종류 구조․동작원리
1. 종류
2. 구조
1) 유리벌브
2) 패널(Panel)
3) 펀낼(Funnel)
4) 섀도우(Shadow Mask)
5) 전자총(Election gun)
6) 편향요크(Deflection Yoke)
7) 형광체(Fluorescent Sustenance)
8) Cetter
3.동작원리
Ⅲ. 제조공정
1. 펀낼(Funnel) 제조공정
2. 패널(Panel) 제조공정
3. CRT제조공정
Ⅳ. 향후 전망
본문내용
컬으며, CRT의 모든 부품들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정격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전자빔을 스크린에 30분 정도 주사하면서 구동 시키는 과정이다. Raster aging후에 전기적인 특성 및 스크린 검사 과정을 거쳐 완전한 CRT만 다음 단계로 이송된다.
⑨ ITC 공정
ITC는 integrated tube components를 말하며, 전자빔의 경로와 초점 등을 제어하기위한 DY(defledtion yoke)와 PCM(purity / convergence magnet)를 장착하고 이들의 위치와 상태를 조정 검사하는 작업이다.
⑩ packing 공정
이상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 CRT는 packing 공정에 따라 외관 검사를 한 후 스크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화면 보호지와 제반 마크 등을 부착하여 제품으로서 출하된다.
Ⅳ. 기술현황 및 전망
CRT 기술 개발의 전체적인 흐름은 스크린의 평면화, 튜브의 slim화, 그리고 영상의 고정세화로 구분되고 있다. 스크린의 평면화를 위한 곡률 변화 과정을 아래 그림에서 보였다. 즉, 1970년대까지는 곡률 반경이 800mm인 1R 튜브가 주류를 이루었었으며, 1980년대에는 1600mm인 2R튜브, 190년대에는 2400mm인 3R튜브가 개발되었고, 1996년 말 일본의 Sony가 패널 유리의 내면은 어느 정도 곡률을 가지나 외면은 거의 평면인 FD Trinitron을 발표하면서 CRT 스크린의 평면화 시장을 선도하기 시작하였다. 스크린을 평면화 할 경우 , 반사가광이 줄고 영상이 더욱 명확해지므로 현재에도 CRT업계에서는 보다 완전한 평면화를 위해 노려하고 있다.
<그림>CRT스크린의 평면화 추이
이와 함께 CRT를 평판화 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서 전장 길이를 축소하기 위한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전자빔의 편향 각도를 넓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편향 요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로 정전 렌즈의 최적화, 다이나믹 포커싱 등이 이를 위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아울러 고정세 영상을 얻기 위하여 음극의 G1 전극의 공경을 줄여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빔의 stot size를 줄이는 것도 주요 개발 이슈이다. 19인치 및 32인치 CRT에 대해 전장 길이의 축소가 이루어진 일례를 아래 그림에 나타내었다.
<그림> CRT전장길이 축소 일례
국내 CRT산업 향후 전망은
<그림>향후 디스플레이 시장전망
위의 그림은 향후 디스플레이 시장전망을 나타낸 것이다. 2000년 31억 달러에 달했던 CRT시장규모는 2001년 이후 매년 3.2~12.5% 하락하여 2007년 19억 달러에 불과할 전망이다. 이에 비해 TET, LCD와 PDP로 대표되는 FPD는 2002년 CRT와 유사한 29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였으나 이후 매년 9~32% 성장하여 2007년 67억 달러의 시장규모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크기별 형태별 CPT의 수요전망
<그림> 크기별 형태별 CDT의 수요전망
위의 그림은 CRT를 CPT와 CDT로 나누어 시장을 예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PT 수요는 2007년 1억 8400만대 규모로 2003년 1억 7300만대 규모에 비해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반해 CDT 수요는 2003년 7400만대 규모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7년 4000만대 규모에 불과할 전망이다. 이는 CDT의 경쟁제품인 FTF, LCD 모니터의 급속한 생산량 확대와 가격하락에 의한 것이다. 이로부터 CRT 수요의 지속적 감소는 CDR의 수요 감소에 의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크기별 CPT수요를 고찰하여 보면 29인치 대역의 대형 CPT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34인치 대역의 초대형 수요도 꾸준하여 대형과 초대형이 CPT 산업을 주도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형태별로 살펴보면 2003년은 평면 CPT수요가 일반 CPT 수요의 절반에 불과하나 2007넌에는 평면 CPT수요가 전체 CPT수요의 60%가까이 이를 전망이다.
이러한 CPT의 꾸준한 선전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대비 가격 경쟁력, 월등한 화질 경쟁력, 그리고 신흥시장의 성장 때문으로 분석된다. CDT의 경우 아래의 왼쪽 그림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쟁제품인 TET, LCD 모니터와 가격차가 2003년을 기점으로 대체수요가 촉발 될 수 있는 100% 이내로 접어드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오른쪽 그림은 평판 TV의 중장기 가격 전망을 나타낸 것이다. 평판 TV는 2007년 30인치 초반크기의 제품이 약 1500달러 내외, 40인치 초반 크기의 제품이 약 2000달러 내외의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CPT는 2007년 30인치 초반크기의 제품이 400달러 내외의 가격을 형성. 평판 TV제품의 약 1/3~1/4에 불과할 전망이다. CPT는 경쟁제품 대비 여전히 가격경쟁력을 지님으로 인해 CDT의 TET, LCD로의 급격한 대체와 같은 현상이 CPT에서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 CDT vs TET-LCD모니터 중장기 가격전망
CPT는 휘도 측면에서 타 디스플레이 대비 경쟁력이 있고 특히 디지털 방송에 필수적인 고화질 구현을 위해 삼성SDI, LG-Philips Display, Sony 등의 선두권 없체들이 화소간 거리를 0.6mm 대에서 0.4mm 대로 좁힌 고선명 제품을 출시함으로 인해 화질측면에서도 경쟁기술에 대해 뒤떨어지지 않고 있거나 오히려 우위에 있다. 신흥 시장의 성장도 CPT 산업의 미래를 밝게 하고 있다.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동유럽, 동남아, 중국사장의 경우 거대인구에 비해 TV보급율과 PC보급율이 매우 낮다. 이들 신흥시장에서는 구매력을 크게 보유한 계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평판 TV대신 CPT TV를 구매할 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CPT의 시장 잠재력은 여전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장상황이 낙관적인 가운데 국내 업체들은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 개발 능력과 높은 생산수율, 현지 밀착경영 및 신흥 시장으로 제조기지 조기이전 들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당분가 국내업체들의 호황은 지속될 전망이다.
참고문헌
「 http://idml.kist.re.kr/」
「하나 경제 연구소」
⑨ ITC 공정
ITC는 integrated tube components를 말하며, 전자빔의 경로와 초점 등을 제어하기위한 DY(defledtion yoke)와 PCM(purity / convergence magnet)를 장착하고 이들의 위치와 상태를 조정 검사하는 작업이다.
⑩ packing 공정
이상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완성된 CRT는 packing 공정에 따라 외관 검사를 한 후 스크린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화면 보호지와 제반 마크 등을 부착하여 제품으로서 출하된다.
Ⅳ. 기술현황 및 전망
CRT 기술 개발의 전체적인 흐름은 스크린의 평면화, 튜브의 slim화, 그리고 영상의 고정세화로 구분되고 있다. 스크린의 평면화를 위한 곡률 변화 과정을 아래 그림에서 보였다. 즉, 1970년대까지는 곡률 반경이 800mm인 1R 튜브가 주류를 이루었었으며, 1980년대에는 1600mm인 2R튜브, 190년대에는 2400mm인 3R튜브가 개발되었고, 1996년 말 일본의 Sony가 패널 유리의 내면은 어느 정도 곡률을 가지나 외면은 거의 평면인 FD Trinitron을 발표하면서 CRT 스크린의 평면화 시장을 선도하기 시작하였다. 스크린을 평면화 할 경우 , 반사가광이 줄고 영상이 더욱 명확해지므로 현재에도 CRT업계에서는 보다 완전한 평면화를 위해 노려하고 있다.
<그림>CRT스크린의 평면화 추이
이와 함께 CRT를 평판화 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로서 전장 길이를 축소하기 위한 시도도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전자빔의 편향 각도를 넓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편향 요크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물로 정전 렌즈의 최적화, 다이나믹 포커싱 등이 이를 위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아울러 고정세 영상을 얻기 위하여 음극의 G1 전극의 공경을 줄여 스크린에 도달하는 전자빔의 stot size를 줄이는 것도 주요 개발 이슈이다. 19인치 및 32인치 CRT에 대해 전장 길이의 축소가 이루어진 일례를 아래 그림에 나타내었다.
<그림> CRT전장길이 축소 일례
국내 CRT산업 향후 전망은
<그림>향후 디스플레이 시장전망
위의 그림은 향후 디스플레이 시장전망을 나타낸 것이다. 2000년 31억 달러에 달했던 CRT시장규모는 2001년 이후 매년 3.2~12.5% 하락하여 2007년 19억 달러에 불과할 전망이다. 이에 비해 TET, LCD와 PDP로 대표되는 FPD는 2002년 CRT와 유사한 29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하였으나 이후 매년 9~32% 성장하여 2007년 67억 달러의 시장규모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림>크기별 형태별 CPT의 수요전망
<그림> 크기별 형태별 CDT의 수요전망
위의 그림은 CRT를 CPT와 CDT로 나누어 시장을 예측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CPT 수요는 2007년 1억 8400만대 규모로 2003년 1억 7300만대 규모에 비해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반해 CDT 수요는 2003년 7400만대 규모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해 2007년 4000만대 규모에 불과할 전망이다. 이는 CDT의 경쟁제품인 FTF, LCD 모니터의 급속한 생산량 확대와 가격하락에 의한 것이다. 이로부터 CRT 수요의 지속적 감소는 CDR의 수요 감소에 의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크기별 CPT수요를 고찰하여 보면 29인치 대역의 대형 CPT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34인치 대역의 초대형 수요도 꾸준하여 대형과 초대형이 CPT 산업을 주도 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형태별로 살펴보면 2003년은 평면 CPT수요가 일반 CPT 수요의 절반에 불과하나 2007넌에는 평면 CPT수요가 전체 CPT수요의 60%가까이 이를 전망이다.
이러한 CPT의 꾸준한 선전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대비 가격 경쟁력, 월등한 화질 경쟁력, 그리고 신흥시장의 성장 때문으로 분석된다. CDT의 경우 아래의 왼쪽 그림에서 살펴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경쟁제품인 TET, LCD 모니터와 가격차가 2003년을 기점으로 대체수요가 촉발 될 수 있는 100% 이내로 접어드는 것을 살펴 볼 수 있다.
오른쪽 그림은 평판 TV의 중장기 가격 전망을 나타낸 것이다. 평판 TV는 2007년 30인치 초반크기의 제품이 약 1500달러 내외, 40인치 초반 크기의 제품이 약 2000달러 내외의 가격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CPT는 2007년 30인치 초반크기의 제품이 400달러 내외의 가격을 형성. 평판 TV제품의 약 1/3~1/4에 불과할 전망이다. CPT는 경쟁제품 대비 여전히 가격경쟁력을 지님으로 인해 CDT의 TET, LCD로의 급격한 대체와 같은 현상이 CPT에서는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그림> CDT vs TET-LCD모니터 중장기 가격전망
CPT는 휘도 측면에서 타 디스플레이 대비 경쟁력이 있고 특히 디지털 방송에 필수적인 고화질 구현을 위해 삼성SDI, LG-Philips Display, Sony 등의 선두권 없체들이 화소간 거리를 0.6mm 대에서 0.4mm 대로 좁힌 고선명 제품을 출시함으로 인해 화질측면에서도 경쟁기술에 대해 뒤떨어지지 않고 있거나 오히려 우위에 있다. 신흥 시장의 성장도 CPT 산업의 미래를 밝게 하고 있다.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동유럽, 동남아, 중국사장의 경우 거대인구에 비해 TV보급율과 PC보급율이 매우 낮다. 이들 신흥시장에서는 구매력을 크게 보유한 계층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평판 TV대신 CPT TV를 구매할 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CPT의 시장 잠재력은 여전하다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시장상황이 낙관적인 가운데 국내 업체들은 세계 최고수준의 기술 개발 능력과 높은 생산수율, 현지 밀착경영 및 신흥 시장으로 제조기지 조기이전 들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당분가 국내업체들의 호황은 지속될 전망이다.
참고문헌
「 http://idml.kist.re.kr/」
「하나 경제 연구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