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수업 지도안 (이야기가 있는 연속 사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 수업 지도안 (이야기가 있는 연속 사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도 계획
1> 주제 설정 이유
2> 적용한 교수법과 교수법 설정 이유

2. 학습지도의 실제
*도입 (문제인식)
*전개 (관계 탐색,개념 발견, 개념 적용, 정리 및 발전, 아이디어 탐색,아이디어 정교화)
*정리

3.평가계획

4.참고자료

본문내용

안 되는 사진을 붙인 작품은 무의미하고 난잡한 표현이 되어 주제가 혼란스러워 진다. 그러므로 사진작품의 내용과 작가의 표현 의도, 표현 기법 및 태도 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사진을 촬영해야 한다는 사실도 알려주어야 한다.
21세기를 ‘영상의 시대’라고 하듯이 미술적 표현에 있어 기존의 매체나 방법으로는 다양하고 독창적인 표현은 물론 흥미와 자극을 이끌어내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회화적 표현에 사진과 문자를 결합하여 다양한 도구를 렌즈 앞에 놓고 사진을 찍어봄으로서 사진만으로는 얻어지는 우연한 기법, 회화적인 구성 요소들에서 사진이 문자에 의한 구체적인 해설이나 설명을 뒷받침하기 위한 부수물이 아닌 영상언어로서의 특징을 나타나게 한다.
2,3차시에는 직접 아이들이 이야기가 있는 연속된 사진작품을 만드는 활동을 한다. 교사는 준비된 여러 장의 사진을 평면의 종이에 구성하여 통일감을 사려 전체 내용이 한눈에 들어오도록 조형적으로 붙여도 좋고, 화면을 병풍 접기 하여 한 면에 한 장씩 붙여 눈의 이동과 동시에 내용의 전개 상황을 필름형태로 디자인하여 제작하면 감상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을 말해준다. 주제가 잘 드러난 작품에서는 인간감정의 표출을 깊이 있게 알고 느끼게 되어 표현력은 물론 시간 소통 언어로서 그 의미 전달을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고 이해의 폭이 계속 확장되어 가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학생들 중에는 스토리 내용을 사진으로 연출하여 찍을 때 시간적 차이를 두고 촬영함에 있어 인물의 자연스런 모습을 포착하여 찍는 것이 매우 어렵다고 할 것이다. 또한 움직이는 대상을 사진으로 표현할 때는 직적 그리기 할 때보다 이미지가 흐려지거나 초점을 잃거나 빛의 조절이 안 맞아 상이 깨진 경우도 있을 것이다. 이 같은 작품의 이미지도 사진과 연관된 부분을 직접 그려서 사진의 재현성 위에 회화적 요소를 가미하여 자유로운 표현을 하도록 유도한다. 타 교과에 비해 미술 교과는 진행 과정상의 실수에 의한 방법도 학생들의 잠재된 또 다른 발상으로 창의적으로 표출하다보면 의도되지 않은 우연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미술수업은 준비된 재료, 진행과정만을 따라하는 무조건적인 수용의 활동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다양하게 발상하고 능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자료 개발과 도구의 활용, 매체의 확대 등을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제시를 통해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미술 활동을 통해 내면 깊이 잠자고 있는 미술적 잠재성을 발현할 수 있다. 아이들이 작품을 다 완성하고 난 뒤에는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게 되는데 여기서 교사는 아이들의 작품에 대한 반응이 적절하게 형성되고 심화될 수 있도록 발문을 하고 유도해야 한다. 완성된 작품이 처음 초안한 스토리보드 계획대로 표현되었는지 작품을 정리하고 잘된 작품과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작품, 성실한 작품 등을 선별하여 제시하고 작품 의도와 작품 과정상 느낀 점 등을 발표한다.
(3)평가 및 정리
1차시에는 아이들이 다시 한번 연속된 사진의 특징을 이해했는지 확인하고 다음시간에 활동할 수 있게 사진을 가져오도록 한다.
2,3차시에는 연속사진을 찍으면서 느낀 점 등을 감상문으로 제출하도록 한다.
아이들의 작품을 평가함에 있어서 사진을 얼마나 기교적으로 잘 찍었는지에 초점을 맞추기 보다는 자신이 나타내려고 한 주제를 얼마나 사진으로 잘 표현을 해냈는가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아이들은 대부분 사진기라는 것을 처음 접해봤을 것이고 연속적인 대상을 찍는 다는 것은 자칫하면 부자연스러움을 초래할 수 도 있고 움직이는 대상을 사진으로 표현할 때는 직접 그리기 할 때보다 이미지가 흐려지거나 초점을 잃거나 빛의 조절이 안 맞아 상이 깨진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런 점도 얼마든지 아이들이 창의적인 능력을 사용하여서 미술 작품을 완성시킬 수 도 있는 것이다. 완성된 작품이 얼마나 주제에 맞게 잘 표현 되었는가.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표현 하였는가. 작품에서 자신의 개성이 드러나고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작품으로 완성되었는가. 얼마나 작품에 성실성이 들어있는가. 등을 평가하도록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미술교과의 평가에서는 수업처음부터 끝까지의 전체 과정을 평가하는 것이 제일 좋은 평가이다. 교사가 수업을 처음 시작하면서부터 아이들과 같이 작품을 완성시켜 나가면서 그 과정에서 아이들이 느낀 점이나 작품을 얼마나 즐겁고 재미있게 만들고 있는 지에 관한 것도 관찰을 해야만 할 것이다. 미술교과의 목표는 전체적인 수업을 통해서 아이들이 무엇인가를 느끼고 정서적 함양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은 두 말 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그것을 평가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겠지만 전체적인 수업의 흐름을 교사는 파악하고 아이들의 반응을 잘 유도 했는지에 대한 수업 자체에 대한 평가와 함께 적절한 평가를 해 나가야 할 것이다
3. 평가계획
평가 항목
5
4
3
2
1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표현하였는가?
사진과 애니메이션 특성을 잘 이해하고 준비하였는가?
자신의 의도를 표현할 수 있도록 사진을 준비했는가?
작품에서 자신의 개성이 드러나고, 창의적이고 독창적으로 표현하였는가?
얼마나 작품에 성실성이 들어가 있는가?
완성된 작품이 얼마나 주제에 맞게 잘 표현되었는가?

매우 잘함 : 5
잘함 :4
보통 : 3
조금 부족함 : 2
노력이 필요함 : 1
4. 참고자료
김경자(2004) 초등 미술 감상교육의 다양한 지도 방법에 대한 연구
http://news.naver.com/news/read.php?mode=LSD&office_id=020&article_id=0000277070§ion_id=001&menu_id=001
http://blog.naver.com/ifp1592/5416695
http://blog.naver.com/psky0713/2191919
http://blog.naver.com/ds1ntg/60004459798

http://image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dt_iphoto&query=%B5%E0%BE%C8%B8%B6%C0%CC%C5%AC&c=5&qt=df&sort=0&scp=0&xc=&fr_res=-1&to_res=-1
5. 실제 수업 지도안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6.12.12
  • 저작시기200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22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