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문헌고찰
-정의/병인/위험군/증상/임상단계/진단/치료 (4page)
2.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본론
-연구 기간 및 방법
-개인력
-간호력
-과거력
-진단검사
Routine CBC
Routine Chemistry & S-e
ELECTROLYTE PROFILE
Routine Urinalysis
Brain + DWI (without Gd)
일상생활능력평가 점수
코넬 우울증 척도 점수
정신행동증상평가 점수
일생생활수행능력평가 점수
욕참위험예측척도 점수
낙상위험 사정도구 점수
K-mmse 점수
배뇨배변상태 사정
TCD
V/S
-치료 및 경과
-간호과정
#1.망상과 관련된 불안.
#2.골관절 약화와 관련된 전도 위험성
#3.장기 침상생활과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4.결론 및 제언
-정의/병인/위험군/증상/임상단계/진단/치료 (4page)
2.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본론
-연구 기간 및 방법
-개인력
-간호력
-과거력
-진단검사
Routine CBC
Routine Chemistry & S-e
ELECTROLYTE PROFILE
Routine Urinalysis
Brain + DWI (without Gd)
일상생활능력평가 점수
코넬 우울증 척도 점수
정신행동증상평가 점수
일생생활수행능력평가 점수
욕참위험예측척도 점수
낙상위험 사정도구 점수
K-mmse 점수
배뇨배변상태 사정
TCD
V/S
-치료 및 경과
-간호과정
#1.망상과 관련된 불안.
#2.골관절 약화와 관련된 전도 위험성
#3.장기 침상생활과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4.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6월30일 : 25점/26점
7월31일 : 25점/26점
9월01일 : 18점/26점
욕창위험예측척도
6월30일 : 23점/23점
7월31일 : 23점/23점
9월01일 : 20점/23점
낙상 위험 사정도구(노인용)
-15점이상 고위험군, 20점이상 개인간병 고려
6월30일 : 15점
7월31일 : 16점
9월01일 : 18점
K-MMSE
6월30일 : 18점
7월31일 : 17점
9월01일 : 14점
배뇨배변상태 사정
날짜
시간
대변
양상
소변
양
방법
6/30
24시간
1회/day
정상
16회
약100~
200cc/1회
화장실9,
변기7
7/30
24시간
2~3일에 한번
정상
7회
약100~
200cc/1회
변기이용
8/31
24시간
1회/day
정상
10회
약100~
200cc/1회
변기, 화장실
TCD
T-scor :
V/S
8/30
9/2
9/5
9/8
9/11
120/80-64
36.3℃
110/80-64
36.0℃
110/80-60
36.0℃
130/80-68
35.8℃
110/80-64
36.6℃
6. 치료 및 경과
-식이요법 : DM 식이
-Insulin : RI 4U+NPH 20U
BST
8/30
6A
127 mg/l
10A
333 mg/l
4P
189 mg/l
9/6
6A
180 mg/l
10A
254 mg/l
4P
168 mg/l
7. 간호과정
간호진단 #. 1 망상과 관련된 불안.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오늘 급하게 내야 할 서류가 있어. 졸업 증명서를 떼서 얼른 내야 하는데..”
“우리 열이한테 전화 좀 해줘.”
“우리 엄마한테 전화 좀 해줘.”
“바로 앞이 열이 집인데 얼른 갔다 올게.”
갑자기 필요한 서류가 있다며 서두르는 모습
왔다 갔다 하는 모습 자주 보임.
하루에도 몇 번씩 딸에게 전화를 해 달라며 조름.
딸 집이 바로 병원 앞이라며 나가려 고 함.
간간이 짐 싸는 모습.
항정신병 약물인 Seroquel이 들어가고 있음.
(25-0-25mg⇒50-0-50mg⇒75-0-75mg)
신경안정제인 Valium 1-0-1로 투여 중.
목 표
환자가 망상으로 인한 불안 없이 편안히 지낸다.
현실을 인지하도록 한다.
계 획
환자의 지남력 장애, 혼동의 정도를 사정한다.
현실과 주변환경에 대해 자주 알려준다.
환자가 현실에 기초를 두고 얘기하거나 사고나 행동이 적절할 때 긍정적인 귀환을 준다.
행동을 주의깊게 관찰한다.
수 행
K-MMSE를 수행하였다.
시계와 달력 등을 이용하여 현실과 주변환경에 대해 자주 알려 주었다.
많이 불안해 보이며 밖으로 나가려 할 때는 의료진이 동행하여 함께 산책을 다녀왔다.
“이따 버스 오면 가세요, 딸이 금방 모시러 온대요. 기다리세 요” 등 적당한 답변을 통해 환자가 수긍하고 안정하도록 하였 다.
자꾸 전화를 걸어달라 요구시엔 의료진이 딸인 척 전화를 걸어 환자를 안심시키고 안정하도록 하였다.
종교요법에 참여하도록 하여 관심을 요법으로 옮기도록 하였다.
평 가
K-MMSE 14점.
적당한 답변으로 기다리도록 한 뒤에는 잠시 수긍하셨다가 다시 와서 조르는 모습 보임.
딸인척 전화를 걸어주고 저녁에 모시러 가겠다고 이야기 하자 더 이상 전화해 달라고 하지 않으시고 좋아하심.
종교요법 후 표정이 편안해 보였으며 환자 스스로 좋다고 말씀 하심.
간호진단 #2. 골관절 약화와 관련된 전도 위험성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여기서 저기까진데 혼자 가되 돼”
“왜 졸졸 따라다녀.”
T-scor : -3.8
골관절염 통증 완화제인 Mobic 투여 중.
(1-0-1)
보행 시 몇 발자국 못 가고 비틀거 림.
간병인 없이 혼자 걷는 모습이 간간 이 관찰됨.
목 표
전도의 위험 없이 안전히 다닌다.
계 획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주변환경을 조성한다.
수 행
보행시 의료진이나 간병인이 옆에서 항상 부축하도록 하였다.
일반 신발 대신 및에 고무가 깔린 실내화를 신게 하여 미끄러움 을 방지하였다.
화장실이나 복도, 병실 바닥이 미끄럽지 않도록 항상 물기를 제 하였다.
전도의 위험성을 환자에게 설명하고 혼자 다니지 않도록 교육하 였다.
침대 바퀴를 고정하고 사이드레일을 항상 올려 두어 안전을 도 모하였다.
평 가
의료진이나 간병인이 항상 지켜보고, 부축하여 전도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었다. 화장실까지 따라가는 것을 귀찮아 하셨으나 전도의 위험성을 설명하자 이내 수긍하셨다.
간호진단 #3. 장기 침상생활과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그냥 있지 뭐..”
혼자 팔짱을 낀 채 가만히 앉아 있 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말을 걸 때만 살짝 웃어 보이고 표 정이 굳어 있음.
목 표
다양한 활동을 통해 환자의 무료함을 감소시킨다.
계 획
다양한 요법에 참석하도록 한다.
무료해 하지 않도록 말벗이 되어 드리고 할 수 있는 일을 제공 해 준다.
수 행
환자의 옆에 앉아 말벗이 되어 드렸다.
환자가 좋아하는 종교요법 및 다른 요법에도 참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시고 산책을 나가 기분을 전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쉬운 일거리를 주어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Order지 뜯기 등.)
병실보다는 휴게실이나 간호사실 앞 소파에 다른 환자분과 함께 앉아 어울릴 수 있도록 하였다.
평 가
미술요법은 꺼려하셨으나 산책이나 종교요법은 좋아하셨다.
일거리를 만들어주자 그것에 열중하셨고, 뿌듯해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Ⅲ. 결론 및 제언
본 간호사례 연구를 통하여 본인은 Alzheimer's disease 환자에 있어서 나타나는 망상 및 불안, 전도 위험성, 오랜 병실 생활로 인한 무료함 등의 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계획을 세우고 적용하였다. 다른 질병보다도 정서적인 지지가 많이 필요한 것이 치매라는 것을 느꼈으며 앞으로도 세밀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druginfo.co.kr
한국치매 협회 자료실(www.silverweb.or.kr)
노인간호학 <윤혜상,1999,현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편>
치매에 대한 통합적 접근법 <김영숙,2002,교육과학사>
7월31일 : 25점/26점
9월01일 : 18점/26점
욕창위험예측척도
6월30일 : 23점/23점
7월31일 : 23점/23점
9월01일 : 20점/23점
낙상 위험 사정도구(노인용)
-15점이상 고위험군, 20점이상 개인간병 고려
6월30일 : 15점
7월31일 : 16점
9월01일 : 18점
K-MMSE
6월30일 : 18점
7월31일 : 17점
9월01일 : 14점
배뇨배변상태 사정
날짜
시간
대변
양상
소변
양
방법
6/30
24시간
1회/day
정상
16회
약100~
200cc/1회
화장실9,
변기7
7/30
24시간
2~3일에 한번
정상
7회
약100~
200cc/1회
변기이용
8/31
24시간
1회/day
정상
10회
약100~
200cc/1회
변기, 화장실
TCD
T-scor :
V/S
8/30
9/2
9/5
9/8
9/11
120/80-64
36.3℃
110/80-64
36.0℃
110/80-60
36.0℃
130/80-68
35.8℃
110/80-64
36.6℃
6. 치료 및 경과
-식이요법 : DM 식이
-Insulin : RI 4U+NPH 20U
BST
8/30
6A
127 mg/l
10A
333 mg/l
4P
189 mg/l
9/6
6A
180 mg/l
10A
254 mg/l
4P
168 mg/l
7. 간호과정
간호진단 #. 1 망상과 관련된 불안.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오늘 급하게 내야 할 서류가 있어. 졸업 증명서를 떼서 얼른 내야 하는데..”
“우리 열이한테 전화 좀 해줘.”
“우리 엄마한테 전화 좀 해줘.”
“바로 앞이 열이 집인데 얼른 갔다 올게.”
갑자기 필요한 서류가 있다며 서두르는 모습
왔다 갔다 하는 모습 자주 보임.
하루에도 몇 번씩 딸에게 전화를 해 달라며 조름.
딸 집이 바로 병원 앞이라며 나가려 고 함.
간간이 짐 싸는 모습.
항정신병 약물인 Seroquel이 들어가고 있음.
(25-0-25mg⇒50-0-50mg⇒75-0-75mg)
신경안정제인 Valium 1-0-1로 투여 중.
목 표
환자가 망상으로 인한 불안 없이 편안히 지낸다.
현실을 인지하도록 한다.
계 획
환자의 지남력 장애, 혼동의 정도를 사정한다.
현실과 주변환경에 대해 자주 알려준다.
환자가 현실에 기초를 두고 얘기하거나 사고나 행동이 적절할 때 긍정적인 귀환을 준다.
행동을 주의깊게 관찰한다.
수 행
K-MMSE를 수행하였다.
시계와 달력 등을 이용하여 현실과 주변환경에 대해 자주 알려 주었다.
많이 불안해 보이며 밖으로 나가려 할 때는 의료진이 동행하여 함께 산책을 다녀왔다.
“이따 버스 오면 가세요, 딸이 금방 모시러 온대요. 기다리세 요” 등 적당한 답변을 통해 환자가 수긍하고 안정하도록 하였 다.
자꾸 전화를 걸어달라 요구시엔 의료진이 딸인 척 전화를 걸어 환자를 안심시키고 안정하도록 하였다.
종교요법에 참여하도록 하여 관심을 요법으로 옮기도록 하였다.
평 가
K-MMSE 14점.
적당한 답변으로 기다리도록 한 뒤에는 잠시 수긍하셨다가 다시 와서 조르는 모습 보임.
딸인척 전화를 걸어주고 저녁에 모시러 가겠다고 이야기 하자 더 이상 전화해 달라고 하지 않으시고 좋아하심.
종교요법 후 표정이 편안해 보였으며 환자 스스로 좋다고 말씀 하심.
간호진단 #2. 골관절 약화와 관련된 전도 위험성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여기서 저기까진데 혼자 가되 돼”
“왜 졸졸 따라다녀.”
T-scor : -3.8
골관절염 통증 완화제인 Mobic 투여 중.
(1-0-1)
보행 시 몇 발자국 못 가고 비틀거 림.
간병인 없이 혼자 걷는 모습이 간간 이 관찰됨.
목 표
전도의 위험 없이 안전히 다닌다.
계 획
안전하게 다닐 수 있도록 주변환경을 조성한다.
수 행
보행시 의료진이나 간병인이 옆에서 항상 부축하도록 하였다.
일반 신발 대신 및에 고무가 깔린 실내화를 신게 하여 미끄러움 을 방지하였다.
화장실이나 복도, 병실 바닥이 미끄럽지 않도록 항상 물기를 제 하였다.
전도의 위험성을 환자에게 설명하고 혼자 다니지 않도록 교육하 였다.
침대 바퀴를 고정하고 사이드레일을 항상 올려 두어 안전을 도 모하였다.
평 가
의료진이나 간병인이 항상 지켜보고, 부축하여 전도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었다. 화장실까지 따라가는 것을 귀찮아 하셨으나 전도의 위험성을 설명하자 이내 수긍하셨다.
간호진단 #3. 장기 침상생활과 관련된 여가활동 부족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그냥 있지 뭐..”
혼자 팔짱을 낀 채 가만히 앉아 있 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말을 걸 때만 살짝 웃어 보이고 표 정이 굳어 있음.
목 표
다양한 활동을 통해 환자의 무료함을 감소시킨다.
계 획
다양한 요법에 참석하도록 한다.
무료해 하지 않도록 말벗이 되어 드리고 할 수 있는 일을 제공 해 준다.
수 행
환자의 옆에 앉아 말벗이 되어 드렸다.
환자가 좋아하는 종교요법 및 다른 요법에도 참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시고 산책을 나가 기분을 전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쉬운 일거리를 주어 집중할 수 있도록 하고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는 느낌을 갖도록 하였다. (Order지 뜯기 등.)
병실보다는 휴게실이나 간호사실 앞 소파에 다른 환자분과 함께 앉아 어울릴 수 있도록 하였다.
평 가
미술요법은 꺼려하셨으나 산책이나 종교요법은 좋아하셨다.
일거리를 만들어주자 그것에 열중하셨고, 뿌듯해 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Ⅲ. 결론 및 제언
본 간호사례 연구를 통하여 본인은 Alzheimer's disease 환자에 있어서 나타나는 망상 및 불안, 전도 위험성, 오랜 병실 생활로 인한 무료함 등의 간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계획을 세우고 적용하였다. 다른 질병보다도 정서적인 지지가 많이 필요한 것이 치매라는 것을 느꼈으며 앞으로도 세밀한 관찰과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참고문헌 : druginfo.co.kr
한국치매 협회 자료실(www.silverweb.or.kr)
노인간호학 <윤혜상,1999,현문사>
간호진단과 계획 <서울대학교병원 편>
치매에 대한 통합적 접근법 <김영숙,2002,교육과학사>
키워드
추천자료
ICU 실습 ADI case study
심혈관계 대상자 CASE STUDY
인공신장실 CRF환자의 case study
UGI bleeding -Case study
모성간호학 - C/S CASE STUDY
뇌졸중 한방 case study
소아 폐렴 case study
기관지염 천식 간호진단중재 case study( Asthmatic bronchiolitis )
내과중환자실) Pneumonia case study 폐렴 케이스 스터디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담석증 (cholelithiasis)
Parkinsons disease CASE STUDY (파킨슨,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급성 췌장염 acute pancreatitis
아동 TTN case study 11
아동 Pneumonia case study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