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수퍼비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상담수퍼비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그룹 구성원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시각이다. 다른 측면에서는, 상담 실습생은 자신보다 훨씬 발달한 상담자를 대할 때, 혹은 반대로 너무 기초적인 기술에 더 초점을 둘 때 좌절할 수 있다.
2) 세미나와 사례 발표
세미나와 지속적인 사례 발표는 외부 자문자에 의해서 촉진될 수 있고, 기간 내의 사람이 맡을 수도 있다. 슈퍼비전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는 상담자는 이러한 계속 교육 기회를 잘 활용한다.
제9장 슈퍼바이저
이 장은 슈퍼바이저 교육의 기본 요소와 슈퍼바이저의 발달 단계, 그리고 슈퍼바이저가 주의해야 할 윤리적 측면을 다룬다.
1. 슈퍼바이저 교육
슈퍼비전의 이론이나 실제에 있어서 기본적인 요소를 가르치는 데는 짧은 세미나나 워크숍 등을 통해서 가능하지만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슈퍼바이저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이론과 개념을 다루는 수업과 실제적인 경험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1) 슈퍼비전 수업
슈퍼비전 수업은 슈퍼비전 모델 및 이론, 슈퍼비전과 관련된 연구물, 슈퍼비전과 관련된 윤리를 담고 있어야 한다.
슈퍼바이저는 개념적 틀을 통해 슈퍼비전 과정을 이해하고 슈퍼비전 활동을 계획, 평가할 수 있다. 상담자에게 다양한 상담 이론을 소개하듯이 예비 슈퍼바이저에게도 다양화 슈퍼비전 이론을 소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슈퍼비전 수업은 예비 슈퍼바이저들이 슈퍼비전에 관련된 연구물을 많이 접하도록 강조해야 한다. 대다수의 상담자는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상담으로 진로를 선택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런 상담자들은 연구보다는 상담 실제 수행을 더 중요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슈퍼비전 수업은 슈퍼비전과 관련된 윤리를 포함해야 한다. 여기서 윤리란 사회문화적으로 무엇이 수용될 수 있는지를 분석하는 학문으로 인간 행동의 의무를 지칭한다.
2) 슈퍼비전 실습
슈퍼비전 실습은 슈퍼비전 실습생이 상담 실습생에게 슈퍼비전을 해 주고, 자신은 슈퍼비전 실습에 대해 슈퍼비전 받는 것이다. 예비 슈퍼바이저들은 중급 상담자 이상이기 때문에 초급 상담자에게 슈퍼비전을 제공할 수 있다.
슈퍼비전 실습생은 초급 슈퍼바이저이기 때문에 슈퍼비전 실습에 대한 슈퍼비전이 꼭 필요하며, 특정 실습생과 한 내담자 사례를 여러 차례 걸쳐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기를 녹음하여 슈퍼비전 자료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슈퍼바이저 발달
슈퍼바이저 발달 모델은 상담자 발달과 마찬가지로 슈퍼비전 영역에 있어서 슈퍼바이저가 경험과 교육을 통해 발달한다고 전제한다는 슈퍼바이저의 자신과 남에 대한 알아차림, 동기, 자율성을 중심으로 슈퍼바이저의 발달을 제시하였다.
1) 초급 슈퍼바이저
자신과 남에 대한 알아차림, 동기, 자율성, 슈퍼비전 구조화, 역할 전화, 초급 슈퍼바이저의 상담자로서의 발달 단계, 상담 실습생 배정
2) 중급 슈퍼바이저
자신과 남에 대한 알아차림, 자율성, 동기, 중급 상담자가 주의할 점, 고급 슈퍼바이저로 전환, 상담 실습생 배정
3) 고급 슈퍼바이저
자신과 남에 대한 알아차림, 동기, 자율성, 상담 실습생 배정
3. 슈퍼바이저 윤리
1) 슈퍼바이저의 전문성
슈퍼바이저는 슈퍼바이저로서의 전문성을 겸비하고 있어야 하는 데, 전문성이란 슈퍼비전에 대한 전문성(슈퍼비전 이론 등의 교육과 슈퍼바이저로서의 실습 등의 실제 경험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상담 영역에서의 전문성(효과적인 슈퍼비전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윤리적 지식과 행동(슈퍼바이저는 슈퍼비전 영역에 관련된 법규, 윤리 강령, 그리고 포괄적인 윤리적 행동 양식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으로 볼 수 있다.
2) 내담자 안녕에 대한 책임
슈퍼비전은 내담자를 부적절한 상담 개입에서 보호하고 내담자가 보다 효과적인 상담을 제공받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 상담 실습생에 대한 책임
슈퍼바이저와 상담 실습생의 관계 조심하여야 할 것이 많다. 이중 관계를 가지고 있으면 소홀할 때 공개적으로 토론하기 불가능하며 평가가 부적절하게 될 수 있다. 불가피하게 이중 관계를 맺게 될 때에는 슈퍼바이저와 상담 실습생이 동의하고 이 관계가 상담 실습생에게 해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있을 경우에만 하는 것이 좋다.
반드시 슈퍼바이저는 슈퍼비전 책임과 범위와 정도를 분명히 해야 하며, 상담 실습생의 상담 수행에 대한 평가와 더불어 개인적 기능에 대한 평가를 해야 한다. 실습생의 개인적 기능손상 실습생이 상담자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상태
을 다루는 것이 아마도 슈퍼바이저가 해야 하는 일 중에서 가장 어려운 일일 것인데 이 경우 당분간 상담을 쉬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가는 말>
상담전문가나 심리치료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는 긴 과정을 거쳐야 한다. 우선 대학교와 대학원의 관련학과에서 기초 심리학을 비롯해 심리학의 여러 분야를 배우고, 성격심리학과 정신병리 및 심리검사, 그리고 상담의 이론 및 기법에 대해서 배우고 실습을 하게 된다.
그러나 막상 상담이나 심리치료를 해 나가면서 여러 가지 어려움에 부딪치게 된다. 대부분의 상담 초보자는 대단히 긴장하며 자신의 능력에 너무 많은 기대를 한다. 그러나 상담자의 열의와는 달리 내담자가 안 올 수도 있고, 상담자의 의도와는 달리 내담자가 싫어져서 마음이 괴롭다든지, 상담이 진행은 계속되지만 진전 없이 공전되는 것 같다든지…….
상담자는 이론적으로도 준비되어야 하지만, 실제 상담을 잘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역량이 있어야 되며, 이는 이론을 안다고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다. 상담자는 심리치료 전문가로서 튼튼한 기초를 쌓기 위해 실제 상담을 하면서 실습해야 하며 선배 전문가로부터 지도를 받아야 한다. 이론, 실제, 슈퍼비전은 무엇하나 빼놓을 수 없이 중요한 삼각 받침에 비유될 수 있다.
상담의 접근에는 여러 학파가 있고, 상담자 자신의 선호에 따라, 또 내담자에 따라 접근법을 달리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상담을 어떤 식으로 진행하든지 간에, 내담자에 대한 정신분석적인 이해는 내담자의 핵심적인 역동을 이해하는데 무엇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정신분석에 기초한 상담·심리치료 슈퍼비전에서는 상담 현장에서 드러나는 상담자 자신의 문제를 이해하는 의미 있는 기회를 만날 것이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12.16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30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