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칼 로저스
2. 주요개념
3. 치료이론
4. 치료자의 역할
5. 주요기술
1) 적응과 공헌
2) 클라이언트 중심 치료법의 집단 활용
6. 내담자 중심 치료의 역사적 발달
7. 현대의 내담자 중심적 입장
8. 발달적 고려
9. 정신 병리의 유형들
10. 치료 시기
11. 부모 역할
12. 개관
2. 주요개념
3. 치료이론
4. 치료자의 역할
5. 주요기술
1) 적응과 공헌
2) 클라이언트 중심 치료법의 집단 활용
6. 내담자 중심 치료의 역사적 발달
7. 현대의 내담자 중심적 입장
8. 발달적 고려
9. 정신 병리의 유형들
10. 치료 시기
11. 부모 역할
12. 개관
본문내용
현대의 내담자 중심적 입장
내담자 중심 접근법의 특징
1.치료자는 가능한 아동과 따뜻한 신뢰감을 형성해야 한다.
2.치료자는 아동을 그 자체 그대로 수용해야 한다.
3.치료자는 관계 속에서 허용의 감정을 형성해서 아동이 그의 감정을 완전히 표현헐 수 있을 만큼 자유롭게 느끼도록 한다.
4.치료자는 아동이 포현하는 감정을 인삭하고, 아동이 그 자신의 행동에 대한 통찰력을 얻도록하는 방법으로 아동에게 그런 감정들을 반영해 준다.
5.치료자는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동의 능력에 대한 갚은 존중감을 유지한다.
6.치료자는 어떤 방법으로든 아동의 활동이나 대화를 감독하려고 시도하지 않는다.
7.치료자는 치료를 서두르려고 하지 않는다
8.치료자는 오직 현실의 세계에 치료를 안착시키고 아동으로 하여금관계 속에서자신의 책임감을 깨닫도록 하는 데 필요한 제한들을 설정한다.
8. 발달적 고려
치료자가 치료적 환경을 계획하고 아동의 의사 소통 모델과 자신의 사고와 감정, 그리고 정서를 이해하고 개념화할 수 있는 능력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 한에서만 아동의 인지와 언어 발달의 일반적인 수준을 먼저 고려한다.
9. 정신 병리의 유형들
내담자 중심 심리 치료와 정신 분석 치료자들은 기본적으로 같은 유형의 아동 정신 병리를 다룬다
정신 병리의 유형들을 개녕화하는 데 있어서 내담자 중심 이론은 문제를 광의적 분류
아동들이 치료 장면에 놓이게 되면 치료자는 아동을 그 자체로 수용하고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알고 이해하도록 돕기시작
10. 치료 시기
아동의 문제 수준에 대한 치료자의 임상적 판단은 치료 없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아동의 잠재력에 대한 치료자의 인상에 따라 치료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잇느냐에 근거한다.
11. 부모 역할
내담자 중심 치료자는 정신분석 모델에서보다 더 아동 부모들의 의도에 긍정적인 탸도를 갖고 부모를 포함시킨다.
부모의 참여 정도는 아동의 연령에 따라 다양해진다.
12. 개관
아동에 대한 내담자 중심 심리 치료는 지난 30여년안 많이 변화되었고 이론은 꾸준히 발전해 나갔다.
-치료적 원칙 없음
-어떤 모델도 정신 분석 심리 치료보다 더 이해하고 실행하기 쉬움
-정신 병리학의 넓은 영역에 사용됨
-부모가 치료에 참여함
아동 정신 병리의 본질과 아동의 변화 능력에 대해 상당히 이론적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체계(내담자 중심 치료와 정신 분석적 심리 치료)는 치료 과정에 관하여 많은 공통점이 있다.
내담자 중심 접근법의 특징
1.치료자는 가능한 아동과 따뜻한 신뢰감을 형성해야 한다.
2.치료자는 아동을 그 자체 그대로 수용해야 한다.
3.치료자는 관계 속에서 허용의 감정을 형성해서 아동이 그의 감정을 완전히 표현헐 수 있을 만큼 자유롭게 느끼도록 한다.
4.치료자는 아동이 포현하는 감정을 인삭하고, 아동이 그 자신의 행동에 대한 통찰력을 얻도록하는 방법으로 아동에게 그런 감정들을 반영해 준다.
5.치료자는 자신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동의 능력에 대한 갚은 존중감을 유지한다.
6.치료자는 어떤 방법으로든 아동의 활동이나 대화를 감독하려고 시도하지 않는다.
7.치료자는 치료를 서두르려고 하지 않는다
8.치료자는 오직 현실의 세계에 치료를 안착시키고 아동으로 하여금관계 속에서자신의 책임감을 깨닫도록 하는 데 필요한 제한들을 설정한다.
8. 발달적 고려
치료자가 치료적 환경을 계획하고 아동의 의사 소통 모델과 자신의 사고와 감정, 그리고 정서를 이해하고 개념화할 수 있는 능력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 한에서만 아동의 인지와 언어 발달의 일반적인 수준을 먼저 고려한다.
9. 정신 병리의 유형들
내담자 중심 심리 치료와 정신 분석 치료자들은 기본적으로 같은 유형의 아동 정신 병리를 다룬다
정신 병리의 유형들을 개녕화하는 데 있어서 내담자 중심 이론은 문제를 광의적 분류
아동들이 치료 장면에 놓이게 되면 치료자는 아동을 그 자체로 수용하고 아동으로 하여금 자신의 문제를 알고 이해하도록 돕기시작
10. 치료 시기
아동의 문제 수준에 대한 치료자의 임상적 판단은 치료 없이 문제를 해결하려는 아동의 잠재력에 대한 치료자의 인상에 따라 치료에 대한 욕구를 가지고 잇느냐에 근거한다.
11. 부모 역할
내담자 중심 치료자는 정신분석 모델에서보다 더 아동 부모들의 의도에 긍정적인 탸도를 갖고 부모를 포함시킨다.
부모의 참여 정도는 아동의 연령에 따라 다양해진다.
12. 개관
아동에 대한 내담자 중심 심리 치료는 지난 30여년안 많이 변화되었고 이론은 꾸준히 발전해 나갔다.
-치료적 원칙 없음
-어떤 모델도 정신 분석 심리 치료보다 더 이해하고 실행하기 쉬움
-정신 병리학의 넓은 영역에 사용됨
-부모가 치료에 참여함
아동 정신 병리의 본질과 아동의 변화 능력에 대해 상당히 이론적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두 체계(내담자 중심 치료와 정신 분석적 심리 치료)는 치료 과정에 관하여 많은 공통점이 있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모델(정신역동,심리사회,인지행동모델)이론을 배우는 이유
[사례관리의 모델] Early와 Poertner의 사례관리 모델 (사례관리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하여 ...
[행동모델이론 적용] 신데렐라 1인을 클라이언트로 개인대상의 사회복지실천의 전체적 과정 -...
합리정서치료 모델을 적용한 사례연구 - 합리정서 치료이론, 치료모델의 이론적 기반, 사회복...
보웬의 가족치료모델과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모델에 대해 논의하시오
전략적 가족 치료는 MRI를 중심으로 단기치료, JAY HALEY의 전략적 구조 모델, 그리고 이태리...
클라이언트중심모델(사회복지실천모델)-인간중심적 접근방법(로저스)
과제중심모델 (이론, 기본개념, 개입목표와 과정, 개입기법, 과제중심모델의 한계 - 실제사례...
과제중심모델 (이론, 기본개념, 개입목표와 과정, 개입기법, 과제중심모델의 한계 - 실제사례...
사회복지실천모델 사례분석-5가지모델근거
정신역동모델이론과 개입사례(정신역동이론, 정신역동모델치료개입, 정신역동모델사례개입,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