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화음악의 개념
2. 사운드가 영화에 끼치는 영향력과 그 효과
3. 음반산업에 영화음악이 끼치는 효과분석과 현황조사
4. 이동준 음악세계
5. 한국영화음악을 위한 제언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영화음악의 개념
2. 사운드가 영화에 끼치는 영향력과 그 효과
3. 음반산업에 영화음악이 끼치는 효과분석과 현황조사
4. 이동준 음악세계
5. 한국영화음악을 위한 제언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꼽은 14명을 제외하고는 나머지 모두가 아카데미의 음악을 선호했으며 아카데미 수상작과 한국의 영화제에서 수상된 작품의 음악이 경쟁이 되느냐라는 질문에 100% 경쟁상대가 될 수 없다고 말했다. 한국영화의 문제점에 대해 물었을 때 “창작”보다는 “선곡”위주의 음악에 치우친다고 말하며 이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제작비라고 덧붙였다.
음악 전문인들과 인터뷰를 했을 때에도 모든 분들이 짧은 제작기간과 제작환경, 비용 등이 문제가 된다고 말했다.
라디오에서 24시간 흘러 나오는 음악은 계속 들어줄 수 있지만 소리가 나지 않는 TV는 10분이상 볼 수 없다는 얘기를 하면서 영상을 만드는 사람들이 음악의 포인트를 생각하지 않고 편집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음악을 만들 수 없다고 말했다. 외국의 경우 편집기간만 6개월~1년이 걸리는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편집기간 동안 음악수정을 맞추어야 하고 감독이 원하는 틀 안에서 음악을 만들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음악가의 의견은 무시 될 때가 많다고 한다. 외국의 경우, 내용전개상 음악을 넣지 않고 배우들만의 음성으로 영화를 풀어 나가는 반면에 우리나라는 조금이라도 무언가 빈다는 생각이 들면 그 부분에 항상 음악을 넣으라고 한다고 한다. 한편의 영화를 제작하고 난 후에 보면 이건 “1시간 30분짜리 뮤직비디오다”라는 생각이 들때가 많다고 한다.
예전에 이동준 음악감독님께 수업을 받을 때 짧게는 3일 만에 음악을 제작해야 하는 등의 많은 고충을 들은 적이 있다. 그러다보니 작업이 2-3개 겹칠 때도 있고 영화음악에 쓰이는 제작비용도 적다보니 어시스턴트도 둘 수 없다고 말씀하셨다. 그렇게 되다 보니 가끔은 창작이 아닌 선곡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고 음악자체도 영화 안에서 단순히 빈공간만을 채워주게 되는 형식이 된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나 또한 영화를 보다 화가 날 때가 종종 있었다. 음악이 보이지 않게 영화를 살려주어야 하는데 영화자체를 더 우습게 하고 퀄리티를 떨어뜨리는 것을 많이 보았기 때문이다.
내용과는 맞지 않는 악기의 선택 이라든지 이 부분에서 조금만 더 신경을 써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더 컸으며 무엇보다 아무런 음악의 주제도 없이 스트링만으로 한 장면 한 장면을 연출하는 모습은 음악가들이 반성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인터뷰를 했을 때 한 교수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셨다. “나도 제작기간이 짧다보니 곡을 쓸 시간이 없어서 예전에 썼던 곡을 이번에도 12개 넣은 적이 있는데 아무도 모르더라” 라는 말씀을 하셨다.
현재 한국영화의 한계점과 문제점은 앞으로 더 많은 비상을 하게 될 한국 영화음악의 좋은 발판이 될 수도 있다라는 생각이 든다. 모두의 생각이 반영되는 그 날이 올 때까지 나 또한 한 대중의 입장에서, 그리고 음악가의 입장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참고문헌>
아카데미 영화음악, 아름출판사, 선성원, 2004
영화음악의 실제, 집문당, 로저맨빌, 2005
영화음악 길라잡이, 문예마당, 이경기, 2003
TV드라마 음악 어떻게 만들 것인가, 제삼기획, 임택수, 2005
음악 전문인들과 인터뷰를 했을 때에도 모든 분들이 짧은 제작기간과 제작환경, 비용 등이 문제가 된다고 말했다.
라디오에서 24시간 흘러 나오는 음악은 계속 들어줄 수 있지만 소리가 나지 않는 TV는 10분이상 볼 수 없다는 얘기를 하면서 영상을 만드는 사람들이 음악의 포인트를 생각하지 않고 편집하기 때문에 제대로 된 음악을 만들 수 없다고 말했다. 외국의 경우 편집기간만 6개월~1년이 걸리는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편집기간 동안 음악수정을 맞추어야 하고 감독이 원하는 틀 안에서 음악을 만들어 주어야 하기 때문에 음악가의 의견은 무시 될 때가 많다고 한다. 외국의 경우, 내용전개상 음악을 넣지 않고 배우들만의 음성으로 영화를 풀어 나가는 반면에 우리나라는 조금이라도 무언가 빈다는 생각이 들면 그 부분에 항상 음악을 넣으라고 한다고 한다. 한편의 영화를 제작하고 난 후에 보면 이건 “1시간 30분짜리 뮤직비디오다”라는 생각이 들때가 많다고 한다.
예전에 이동준 음악감독님께 수업을 받을 때 짧게는 3일 만에 음악을 제작해야 하는 등의 많은 고충을 들은 적이 있다. 그러다보니 작업이 2-3개 겹칠 때도 있고 영화음악에 쓰이는 제작비용도 적다보니 어시스턴트도 둘 수 없다고 말씀하셨다. 그렇게 되다 보니 가끔은 창작이 아닌 선곡을 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지게 되었고 음악자체도 영화 안에서 단순히 빈공간만을 채워주게 되는 형식이 된 것이라고 말씀하셨다.
나 또한 영화를 보다 화가 날 때가 종종 있었다. 음악이 보이지 않게 영화를 살려주어야 하는데 영화자체를 더 우습게 하고 퀄리티를 떨어뜨리는 것을 많이 보았기 때문이다.
내용과는 맞지 않는 악기의 선택 이라든지 이 부분에서 조금만 더 신경을 써 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더 컸으며 무엇보다 아무런 음악의 주제도 없이 스트링만으로 한 장면 한 장면을 연출하는 모습은 음악가들이 반성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인터뷰를 했을 때 한 교수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셨다. “나도 제작기간이 짧다보니 곡을 쓸 시간이 없어서 예전에 썼던 곡을 이번에도 12개 넣은 적이 있는데 아무도 모르더라” 라는 말씀을 하셨다.
현재 한국영화의 한계점과 문제점은 앞으로 더 많은 비상을 하게 될 한국 영화음악의 좋은 발판이 될 수도 있다라는 생각이 든다. 모두의 생각이 반영되는 그 날이 올 때까지 나 또한 한 대중의 입장에서, 그리고 음악가의 입장에서 많은 관심을 가져야 하겠다.
<참고문헌>
아카데미 영화음악, 아름출판사, 선성원, 2004
영화음악의 실제, 집문당, 로저맨빌, 2005
영화음악 길라잡이, 문예마당, 이경기, 2003
TV드라마 음악 어떻게 만들 것인가, 제삼기획, 임택수, 2005
추천자료
표제음악과 낭만파음악
음악을 통한 치료 (음악치료)
[낭만주의][낭만주의 발생배경][낭만주의시대][낭만주의 음악][낭만주의 문학]낭만주의의 발...
[고전주의][고전주의 문학][고전주의 미술][고전주의 발레][고전주의 음악][문학][미술][발레...
[하이든][런던교향곡][교향곡의 아버지][고전주의 음악]하이든의 생애, 하이든의 런던교향곡,...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분류와 연주형태, 국악기(한국전통악기)의 정의와 분류, 국악기(한국전...
[고전미술,고전철학,고전음악,고전영화,미술,철학,음악,영화]고전미술, 고전철학(칸트, 피히...
국악(한국전통음악)의 개념, 국악(한국전통음악)의 분류, 국악(전통음악) 관련 학술행사, 초...
음악과 뉴미디어- 전자 악기와 음악
[고대][철학][수필][소설][음악][수학][장신구][고대의 철학][고대의 수필][고대의 소설][고...
[고전주의][고전주의 문학][고전주의 음악][고전주의 발레][고전주의 미술]고전주의 문학, 고...
[고려시대][예술][음악][불교미술][문학][고려시대 예술][고려시대 음악][고려시대 불교미술]...
유아음악교육의 중요성, 유아 음악학습이론, 지도방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