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실돈옷반지수저 등을 떡 그릇에 담아 보낸다.
4. 맺는말--동서양 출산의례의 유사점과 차이점
지금까지 열거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보면, 출산의례가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과 사회조직의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출산의례는 모두 생명의 탄생을 聖의 영역으로 구분하며, 속된 것 또는 부정한 것으로부터 아기와 산모를 보호하려는 의도가 짙게 깔려있다. 또한 출산의 사회적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도 출산의례가 가지는 보편적인 특성 가운데 하나이다. 태어나면서 첫 번째의 통과의례로서 새 생명이 새로운 세계로 통합되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같은 유사점을 제외하고는 각 지역이나 문화마다 독특한 출산의례를 발달시켜왔다. 동양과 서양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출산의례도 그 내용과 형식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그 가운데 몇 가지를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에서는 출산의례가 산모와 아기를 악귀로부터 보호하며, 신의 세계로 통합시킨다고 하는 점이 잘 드러난다. 교회를 중심으로 행해지는 아기의 출생 세례식이 바로 그런 점을 반영하고 있다. 독일의 민속신앙에서도 아기가 태어나는 것은 사자(死者)의 세계에서 분리되어서 신의 세계로 영입되는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반면에 중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는 아기가 출생하면 가족과 친족사회로 통합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출산의례는 조상에게 치성과 감사를 드리는 일에서 시작한다. 실제로 조상의 위폐가 모셔지는 사당 앞에서 의례를 지내기도 한다. 조상에게 아기가 태어나서 친족의 일원이 되었음을 고하는 의식이기도 하다. 조상이나 인격화된 신들에게 아기의 명복과 장수를 빈다. 산신령, 용왕, 조왕, 삼신, 조상신들이 비손의 대상이 된다.
둘째는 중국이나 한국의 경우 임신의례에서 기자신앙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부계출계사회에서 가족과 친족집단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사회구조의 특징을 드러내는 것이다. 아들에서 아들로 이어지는 가족과 친족구조가 임신과 출산의례를 아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만들고 있다. 물론 최근에 자녀의 수가 적어지면서 딸을 위한 출산의례도 아들과 거의 동등하게 치루어지고 있다.
셋째는 출산의례는 기본적으로는 각종 질병과 해로운 요소들로부터 아기와 산모를 보호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이에 덧붙여서 중국과 한국에서는 아기의 사회적 출세를 바라는 부모의 마음도 강하게 나타난다. 말하자면 출산의례가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과 직업관을 드러내기도 한다는 점이다. 아기 특히 아들이 자라서 부자가 되는 것, 좋은 직업을 가지는 것 따위를 비는 것은 아기 개인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속한 집단의 사회적 상승이동을 기원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간략하게나마 동서양의 출산의례에서 보이는 특징을 중심으로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출산의례에서 나타나는 두드러진 특징의 차이는 생명탄생에 대한 종교적 이해의 다름과 각 사회가 가지고 있는 사회구조와 가치관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4. 맺는말--동서양 출산의례의 유사점과 차이점
지금까지 열거한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보면, 출산의례가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세계관과 사회조직의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출산의례는 모두 생명의 탄생을 聖의 영역으로 구분하며, 속된 것 또는 부정한 것으로부터 아기와 산모를 보호하려는 의도가 짙게 깔려있다. 또한 출산의 사회적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는 점도 출산의례가 가지는 보편적인 특성 가운데 하나이다. 태어나면서 첫 번째의 통과의례로서 새 생명이 새로운 세계로 통합되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같은 유사점을 제외하고는 각 지역이나 문화마다 독특한 출산의례를 발달시켜왔다. 동양과 서양에서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출산의례도 그 내용과 형식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그 가운데 몇 가지를 짚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서양에서는 출산의례가 산모와 아기를 악귀로부터 보호하며, 신의 세계로 통합시킨다고 하는 점이 잘 드러난다. 교회를 중심으로 행해지는 아기의 출생 세례식이 바로 그런 점을 반영하고 있다. 독일의 민속신앙에서도 아기가 태어나는 것은 사자(死者)의 세계에서 분리되어서 신의 세계로 영입되는 것이라는 믿음이 있다. 반면에 중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한 동양문화권에서는 아기가 출생하면 가족과 친족사회로 통합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한다. 출산의례는 조상에게 치성과 감사를 드리는 일에서 시작한다. 실제로 조상의 위폐가 모셔지는 사당 앞에서 의례를 지내기도 한다. 조상에게 아기가 태어나서 친족의 일원이 되었음을 고하는 의식이기도 하다. 조상이나 인격화된 신들에게 아기의 명복과 장수를 빈다. 산신령, 용왕, 조왕, 삼신, 조상신들이 비손의 대상이 된다.
둘째는 중국이나 한국의 경우 임신의례에서 기자신앙이 강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부계출계사회에서 가족과 친족집단의 지속성을 강조하는 사회구조의 특징을 드러내는 것이다. 아들에서 아들로 이어지는 가족과 친족구조가 임신과 출산의례를 아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도록 만들고 있다. 물론 최근에 자녀의 수가 적어지면서 딸을 위한 출산의례도 아들과 거의 동등하게 치루어지고 있다.
셋째는 출산의례는 기본적으로는 각종 질병과 해로운 요소들로부터 아기와 산모를 보호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한다. 이에 덧붙여서 중국과 한국에서는 아기의 사회적 출세를 바라는 부모의 마음도 강하게 나타난다. 말하자면 출산의례가 그 사회의 구성원들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과 직업관을 드러내기도 한다는 점이다. 아기 특히 아들이 자라서 부자가 되는 것, 좋은 직업을 가지는 것 따위를 비는 것은 아기 개인에게만 해당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속한 집단의 사회적 상승이동을 기원하는 것이다.
이상으로 간략하게나마 동서양의 출산의례에서 보이는 특징을 중심으로 유사점과 차이점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출산의례에서 나타나는 두드러진 특징의 차이는 생명탄생에 대한 종교적 이해의 다름과 각 사회가 가지고 있는 사회구조와 가치관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추천자료
이슬람교와 이슬람의 법 문화
필수품과 사치품에 대한 소비자인지를 통해 본 소비행동의 사회문화적 함의
유럽의 근대 형성에 미친 동양문화
동서양의 이해- 전통적 요소의 현대적 재해석에 대하여 우리 주변에서 볼수 있는 3~4가지 예...
[하룻밤에 읽는 색의 문화사]를 읽고...
술의 이해와 한국인의 음주문화의 실태
중국의 과학 기술과 전통문화 (동에서 서로, 서에서 동으로 간 과학기술)
동양과 서양읭 술 문화 비교 및 우리나라이 술
[인문]오리엔탈리즘의 해체와 우리문화 바로 읽기를 읽고
[성행동의 심리학] 동양의 성문화와 서양의 성문화를 비교
신약의 배경사 제 2부 문화적 배경 요약정리
(A+) 중세 이슬람 과학이 유럽 문화에 끼친 영향과 역사적 배경
[유아문학] <한국아동문학의 역사와 발전> 구비문학 시대, 아동문화운동시대, 아동문학운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