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의 성 생활(A+레포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의 성 생활(A+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性-성욕, 섹슈얼리티, 에로스
□ 노인의 성
□ 왜 노인의 성이 중요하게 부각되었는가?

II. 본론
1. 노인의 성을 바라보는 일반적인 시각
1) 노인을 바라보는 시각
2) 노인의 성에 대한 시각
① 부정적인 시각 VS 긍정적인 시각
② 노인이 자신의 성을 바라보는 시각
2. 노인 성생활 실태 및 관련 기사
1) 노인 성생활 실태
2) 노인의 성생활 실태 관련 기사
3. 노인의 성 생활 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쫙 달라붙어서 같이 놀자고 그래. 그러면 남자들이 얼마냐고 묻지. 40대는 사만원, 50대는 삼원원, 60대는 이만원 정도거든. 나는 요즘에 진짜 많이 줄었는데... 어쩔 때 한번씩 가면 에이즈 이런게 겁나서 젊은 여자는 왠지 싫고... 한 50대 여자랑 가거든. 60대는 왠지 좀 맛이 안날 것 같아서 말야. 그래서 50대랑 가끔 놀지. 거기가면 진짜 죄다 그런 여자들이야. 어떤 여자들은 김밥이나 음료수 같은 거 들고 다니며 팔고 그러다가 할아버지가 걸리면 김밥 팔다가도 여관에 가지..."
제 목
10월 2일 동아일보, 행복한 노후 성상담센터 홍보글 게재
<“노인복지관-구청에서 동반자 만나세요”…황혼 미팅 주선 많아>
서울성북노인종합복지관이 올해 5월 9일 마련한 황혼미팅. 황혼 이성교제를 주선하는 기관의 관계자들은 남녀 노인들이 젊은이보다 더 적극적으로 의사표현을 하며 이성의 관심을 끌기 위해 노력하는 편이라고 말했다.
“이 사업을 하면서 부모를 모시고 있는 아들 딸 들이나 우리 사회가 황혼에 홀로된 분들의 외로움에 대해 너무 무관심하다는 것을 새삼 깨달게 됩니다.”
서울성북노인종합복지관(진각복지재단)의 정희원 사회교육팀장의 말이다. 성북노인종합복지관은 지난 2003년부터 ‘노인세대의 성문제 해결을 위한 통합적 접근 프로그램’을 운용해 오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성 공개강좌와 성상담 그리고 황혼미팅 등으로 진행되고 있다.
정팀장은 노인들의 성상담을 통해 의외로 많은 노인들이 이성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으며 성문제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지난 8월 31일 이 복지관에서 실시한 성 공개강좌에는 150명의 남여 노인들이 참석했다.
또 올해 5월에 실시했던 황혼미팅에는 수십명이 참가신청을 했으며 그중 선발된 15쌍이 미팅에 참가했고 10월 25일로 예정된 미팅에도 벌써부터 신청자가 몰리고 있다.
ⓒ 동아일보 & donga.com
Ⅲ. 결론
< 노인의 성문제에 대한 개선방안 >
첫째, 노인의 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개선되어야한다.
사회적으로 노인의 성을 ‘무성’적으로 취급하여 노인들의 성 생활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뿐만 아니라 유교적인 사상의 우리나라는 성을 숨기는 경향이 있다. 그로인해 노인 스스로 성에 대해 욕구는 있으나 입 밖으로 꺼내기를 꺼리게 되며, 성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갖게 한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 때문에 성욕을 가진 노인들은 숨어서 성행위를 하게 되고, 음지에서 노인의 성생활이 이루어지다보니 노인 성병이 발생하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노인들의 성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개선되기 위해 정책, 제도적으로 홍보와 교육이 필요 되어진다.
둘째, 성 프로그램의 강화가 필요하다.
현재 황혼미팅을 정기적으로 주선하는 곳은 서울의 경우 성북, 광진, 구로노인종합복지관 등이 있으며 이밖에 서울노인복지센터, 초원문화교실 등이 친구 사귀기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이런 프로그램들을 진행 하는 기관들은 노인의 수에 비해 부족한것이 현실이다.
또한 정부는 노인복지 프로그램으로 경로연금지급이나 복지시설 확충 등에만 집중하고 노인의 성문제에는 관심이 부족하다. 따라서 노년기에 적합한 성 윤리 확립, 노인의 성에 대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 '황혼 미팅'등 노인의 성을 위한 노인복지프로그램의 활성화, 전문상담기관과 전문인력(시설종사자 및 사회복지사) 양성 등이 시급하다.
셋째, 노인 성 질환에 대한 의료 지원이 필요하다.
노인들의 성 질환으로는 전립선병과 성병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전립선병에 대해 치료를 받기보다는 ‘늙어서 그런가 보다’는 식으로 숨기고 혼자서 고통을 겪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성병에 대해서도 '병에 걸려도 죽으면 그만이다'는 식의 무분별한 성행위가 성 질환을 방치하게 만들고 있다. 물론 경제적 자원의 부족으로 병원을 찾지 못하는 것도 병을 조기에 치료하지 못하는 이유 중 하나이다.
따라서 도시, 농촌 할 것 없이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성 질환 검진이 정기적으로 실시되어 조기예방과 더불어 사후치료가 병행되어야 한다. 이에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의료지원이 절실하다.
▣ 참고문헌
- 한경닷컴, <한국온라인신문협회>
- KBS '수요기획‘ 노인의 성(性), 정년은 없다 10월(月)18일(日)
- 노인복지학개론 (형성출판사)
- 다시찾은 성의 르네상스, 김기영
- http://sbnoin.or.kr/( 성북노인복지회관 )
- http://kofree.net
- 동아일보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1.16
  • 저작시기2006.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512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