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극을 통하여 학습도 이루어진다. 사극은 실제 역사라고 착각하기 때문이다. 전달효과가 높은 방송 매체의 장점을 활용하여 실제 역사를 90%이상 담아낸다면 더 좋은 학습이 어디 있을까 싶다. 100%를 연출하기엔 어려움이 많을 것이다. 극의 재미를 위하여 약간의 허구를 가미하는 것은 좋지만, 그 시대에서 발견할 수 없는 것을 극에 투여한다는 것은 옳지 못한 것 같다. 수많은 매체를 통하여 역사가 쏟아지고 있는 지금, 제작진이 조금만 더 신경을 쓴다면 작품도 높은 것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독자, 시청자도 비판어린 시각을 갖고 작품을 접해야 할 것이다. 전적으로 신뢰하기보다 사극에 담겨있는 약간의 허구는 비판하며 봐야할 것이다. 상호 소통이 이루어질 때 더 나은 작품으로 우리에게 찾아올 것이다.
추천자료
(18종문학분석-수필) 해학송
신사임당 (申師任堂)
국문학 일화 과제 -작가와 그의 작품과 관련된 일화-
98년도 수능 언어영역 문학이론 분석입니다.
조선시대 기생에서부터 현대의 매매춘에 이르기까지의 변천과정
러브 커뮤니케이션 스피치
기녀 시조 연구
(주)두산 의류 MD파트 지원자 자기소개서 [그룹사 인사팀 출신 현직 컨설턴트 작성]
희귀성의 법칙-마케팅
한국 고전문학의 분류, 한국 고전문학의 특성, 한국 고전문학과 사이버공간(온라인, 인터넷),...
[성과 여성 그리고 종교문화] 한국 여성예인의 삶
-여성의 지위 변화-
역사 속 기생의 다양한 모습
기생의 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