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화기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화기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9.1 소화관
9.1.1 입
9.1.2 인두
9.1.3 식도
9.1.4 위
9.1.5 소장
9.1.6 대장

9.2 부속기관
9.2.1. 간
9.2.2 담낭
9.2.3 췌장
9.2.1. 간
9.2.2 담낭

9.3 복막
9.3.1 복막의 주름
9.3.2 각 부위의 복막
9.3.2 각 부위의 복막

본문내용

립선 뒤에, 여성에서는 자궁과 질 뒤에 위치, 항무에 개구하기 바고 직전의 직장 하부를 항문관이라고 하며, 그 상방에 내용물이 있을 때 방추상으로 부푸는 곳을 직장팽대부라고 한다.
4) 대장벽의 구조
대장의 내면은 소장의 윤상주름과 비슷한 반월주름이 결장팽기의 마디에 일치하여 안으로 돌출되어 있으나 비교적 매끈하다.
9.2 부속기관
9.2.1. 간
1) 간의 형태
간의 상면인 횡격면은 둥글고 불룩하며 횡격막에 접해 있고, 하면인 장측면은 여러 장기들과 접축으로 인하여 결장압흔, 십이지장압흔, 신압흔, 위압흔, 등의 여러 함요부가 생겨 전체적으로 불규칙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중앙에 간동맥과 문맥 및 신경들이 들어가고 간관과 림프관이 나오는 간문이 있다.
또한, 간은 대부분이 복막에 싸여 있으나 횡격면 후부와 장측면의 간문이 있는 곳은 복막이 없는데, 특히 횡격면 후부의 복막이 없는 삼각형의 부위를 나부라고 한다.
간은 전 후로 걸쳐 있는 겸상인대라는 복막의 주름에 의해 좌엽과 우엽으로 대별되나, 우엽 하면에 조그마한 방형엽과 미상엽이 붙어 있어 총 4개의 엽으로 구분하며, 우엽과 방형엽 사이에 담낭이 부착되어 있다.
대장의 외형상 특징
대장은 외형상 소장과 구별할 수 있는 결장유, 결장팽기 및 복막수라는 특징적인 구조물이 있다. 결장유는 대장벽을 구성하고 있는 종주근이 3곳에서 비후되어 끈처럼 나타나는 것으로 전벽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대망유라고 하며, 후벽에 있는 2개를 각각 간막유와 자유유라고 한다. 이들은 충수 기시부 이후부터 볼 수 있으나 직장의 종주근은 전체적으로 두꺼워져 이러한 끈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결국 결장의 특이한 구조물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결장팽기란 결장유에 의하여 장관이 마디를 지어 볼록하게 밖으로 튀어나온 부분이며, 반대로 안쪽을 향해 돌출된 곳을 반월주름이라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결장은 전체적으로 잘룩잘룩하게 보이게 된다. 한편, 복막수는 지방이 들어 있는 복막의 주머니로서 대망유와 자유유에 잎사귀처럼 붙어 있다.
2) 간의 인대
* 겸상인대 : 간을 좌엽과 우엽으로 구분하며 횡격막과 전복벽에 부착시키는 복막의 주름
* 관상인대 : 간의 후면과 횡격막을 연결하는 복막의 주름
* 삼각인대 : 관상인대의 양측에서 횡격막을 잇는 복막의 주름
* 원인대 : 흔히 간원삭이라고 불리는 것으로 겸상인대의 자유연이 두꺼워진 상태
3) 간의 미세구조
복합관상선인 간은 얇은 피막으로 싸여 있는데, 이들은 간문을 통하여 간 속으로 들어와 간실절을 무수한 간소엽으로 구분한다. 간소엽 중심부에는 중심정맥이 관통하고 각 모서리에는 간동맥과 문맥 및 담관이 들어가고 나오는 형태를 이루고 있어, 이를 흔히 문맥삼조라 한다.
간세포는 간소엽 내의 모세혈관 사이에서 서로 연접하여 2줄로 된 간세포삭을 형성하고, 중심정맥에서 주변부로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소엽을 채우고 있다. 세포와 세포 사이에는 담세관이 있고, 이들은 주변부로 진행하여 소엽간담관에 연결된다.
동양혈관은 간세포삭 사이 고유간동맥과 문정맥의 끝을 합쳐서 형성한 내강에 모여 있는 모세혈관이다. 이 혈관벼의 내피세포 사이에는 여러 돌기를 가진 별 모양의 성상(쿠퍼)세포가 있는데, 이는 혈액이 간을 통과하는 동안 혈액 속의 이물질을 탐식하는 일종의 대식세포이다.
4) 간의 혈관
* 고유간동맥 : 복강동맥의 분지로 간문에서 좌 우 간동맥으로 갈라져 좌엽과 우엽으로 들 어가는 엽간동맥과 소엽간동맥이되고, 마지막으로 간소엽 내의 동양혈관에 주입된다. 즉, 소엽간정맥과 합류하여 동양혈관을 형성한다.
* 무정맥 : 위장관에서 흡수한 영양물질이 함유된 혈액을 운반하는 혈관
* 중심정맥 : 간의 정맥혈을 회수하는 첫단계로
9.2.2 담낭
담낭은 담즙의 농축과 저장을 주 기능으로 하는 서양배 모양의 푸른색을 띄고 있는 근육성 주머니로 간의 우측 저부에 부착되어 있다.
담낭은 막힌 쪽의 볼록한 부분을 담낭저, 가운데를 담낭체, 담낭관에 이어지는 좁은 곳을 담낭경이라 한다.
담낭은 우측 간동맥의 분지인 담낭동맥으로부터 영양분과 산소를 제공받고, 정맥혈은 담낭정맥이 되어 문정맥으로 들어가 회수된다.
9.2.3 췌장
췌장은 제 1.2 요추, 높이, 위 바로 밑에 위 바로 밑에 위치한 내 외분비 작용을 겸비한 복막후 장기이다. 십이지장에 둘러싸여 잇는 우측단은 췌두라고 하며, 비장에 닿아 있는 왼쪽끝은 췌미, 그리고 중간부는 췌체라고 하는데, 췌두의 일부가 하방으로 돌출하여 구상돌기를 형성하고 있다.
췌장은 3대 영양소를 모두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생산하는 외분비부와 이런 영양소들의 대사과정에 관여하는 호르몬들을 생산하는 내분비로 구분할 수 있다.
9.3 복막
복막은 복강 및 골반강의 내벽과 내강에 잇는 장기들을 싸고 있는 투명하고 얇은 장막으로서 내벽을 덮는 것을 벽측복막, 장기를 싸고 있는 장측복막, 이들 사이에 형성되는 보막강이 있다.
9.3.1 복막의 주름
복막의 주름은 복막이 붙는 장기에 따라 망, 장간막, 인대등으로 불리어진다.
9.3.2 각 부위의 복막
전복벽을 덮는 벽측복막은 횡격막 하면에서접어져 장측복막으로 이행하여간을 싸느 겸상인대로 변하고, 이는 다시 관상인대가 되어 좌 우로 퍼진다.
복막의 복잡한 이행상태 때문에 복강 상부에는 간, 소망, 위 대망, 횡행결장, 횡행결장간막 및 후복벽으로 둘러싸여 2차적으로 복막주머니가 형성되는데, 이를 망낭이라고 하며, 간과 십이지장 및 소망 사이에 뚫려 있는 망낭공에 의하여 복막강과 교통하고 있다.
9.3.3 복막과 장기들의 관계
복부내장 중에서 위, 공장, 회장, 충수, 횡행결장, s상결장, 비장 난소 및 난관 등은 거의 모든 표면이 복막으로 싸여 있어 이들을 복막내장기라고 한다. 한편, 맹장과 상행결장, 하행결장, 직장, 간, 자궁 및 방광 등은 표면 일부가복막이 없이 결합조직으로 체벽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은 반복막장기라고 한다. 그러나 췌장과 신장, 요관, 부신, 십이지장, 복대동맥, 하대정맥 및 흉관등은 복막 뒤쪽의 결합조직 속에 묻혀 있어, 이를 복막후장기라한다. 따라서 이러한 복막후 장기들은 단지 복강을 열기만해서는 그 위치나 모양을 관찰하기가 어렵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1.0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1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