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식인이란 무엇인가?
2.지식인의 기능
3. 작가는 지식인인가?
2.지식인의 기능
3. 작가는 지식인인가?
본문내용
O의 경우도 Green-peace, 국경 없는 의사회 등의 대표적 단체들은 사회 전반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 언론, IT발달 IT 분야의 신흥 자본계급은 지배계급인 동시에, 지식인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독립적인 존재로서, 전문가 단계에서 지배계급의 도움 없이 그 힘을 얻은 계층이다. 이들은 이전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따르지 않는 새로운 지배계급이지만, 노동계급과 지배계급의 구분을 없애주는 존재로서, 보편주의(사회민주주의)를 퍼트리는 지식인이기도 하다. 사르트르는 지식인이 자신 계급보다 하급계급인 노동계층과 동질화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고 하였지만, 이 새로운 계급은 반대로 상향화 하여서 하급계층을 보호하는, 지식인 본연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인터넷 등의 정보혁명은 특권의 범위(지식분야)를 줄여나가고 있는 것이다.
등으로 생긴 새로운 분야의 종사자들이 대표적인 현재의 새로운 지식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전문 분야의 지식으로 명성을 얻은 뒤, 현 사회체제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지식인의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나아가 자신들의 존재를 확인하고 사회 발전의 방향을 이끄는 영향력이 있다.
나는 사상이 모순의 갈등들에 의해 발전한다는 주장에 찬성하고, 그 점에서 사르트르가 내린 지식인의 가치에도 찬성한다. 하지만 -다분히 지배계급 이데올로기에 젖은 사고라 비난 받을 여지가 있지만- 지식인의 끝없는 지배계급에 대한 투쟁에서 얻어지는 실익이 무엇일지 의문이 생긴다. 70년대의 사회보다 지금 시대에는 보다 많은 지식인들이 활동하고 있고, 사회민주주의적인 요소도 많이 도입이 되었지만, 대중이 느끼는 ‘상대적 빈곤’은 오히려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 지금의 지식인이라 주장하는 자가 대개 ‘사이비 지식인’이기에 그렇다는 반박이 예상된다. 그러나 사이비 지식인의 증가는 곧, 지배 계층이 지식인의 반발에 대항하기 위하여 옹호자를 만든 것이므로 지식인의 증가를 의미한다.
지식인은 주어진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타파하는데 (사상의 완전한 자유를) 목표를 두지만, 새로운 지배계급이 되려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또 이러한 충돌의 상황에서, 지식인이 어떠한 대안을 얻어야 하는지도 의문이다. (변증법적 사고는 끝없는 대립으로 계속해서 발전해 나가지만, 실질적으로 적용을 위해서는 어느 특정한 결론(선택)이 있어야 한다. 즉, 지식인과 사상의 자유는 그 기반을 지배계급에 두고 있는 것이 아닌지 하는 의문이 든다.)
, 언론, IT발달 IT 분야의 신흥 자본계급은 지배계급인 동시에, 지식인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독립적인 존재로서, 전문가 단계에서 지배계급의 도움 없이 그 힘을 얻은 계층이다. 이들은 이전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따르지 않는 새로운 지배계급이지만, 노동계급과 지배계급의 구분을 없애주는 존재로서, 보편주의(사회민주주의)를 퍼트리는 지식인이기도 하다. 사르트르는 지식인이 자신 계급보다 하급계급인 노동계층과 동질화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한다고 하였지만, 이 새로운 계급은 반대로 상향화 하여서 하급계층을 보호하는, 지식인 본연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다. 인터넷 등의 정보혁명은 특권의 범위(지식분야)를 줄여나가고 있는 것이다.
등으로 생긴 새로운 분야의 종사자들이 대표적인 현재의 새로운 지식인이라고 생각한다. 그들은 전문 분야의 지식으로 명성을 얻은 뒤, 현 사회체제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지식인의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나아가 자신들의 존재를 확인하고 사회 발전의 방향을 이끄는 영향력이 있다.
나는 사상이 모순의 갈등들에 의해 발전한다는 주장에 찬성하고, 그 점에서 사르트르가 내린 지식인의 가치에도 찬성한다. 하지만 -다분히 지배계급 이데올로기에 젖은 사고라 비난 받을 여지가 있지만- 지식인의 끝없는 지배계급에 대한 투쟁에서 얻어지는 실익이 무엇일지 의문이 생긴다. 70년대의 사회보다 지금 시대에는 보다 많은 지식인들이 활동하고 있고, 사회민주주의적인 요소도 많이 도입이 되었지만, 대중이 느끼는 ‘상대적 빈곤’은 오히려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 지금의 지식인이라 주장하는 자가 대개 ‘사이비 지식인’이기에 그렇다는 반박이 예상된다. 그러나 사이비 지식인의 증가는 곧, 지배 계층이 지식인의 반발에 대항하기 위하여 옹호자를 만든 것이므로 지식인의 증가를 의미한다.
지식인은 주어진 지배계급의 이데올로기를 타파하는데 (사상의 완전한 자유를) 목표를 두지만, 새로운 지배계급이 되려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문이 든다. 또 이러한 충돌의 상황에서, 지식인이 어떠한 대안을 얻어야 하는지도 의문이다. (변증법적 사고는 끝없는 대립으로 계속해서 발전해 나가지만, 실질적으로 적용을 위해서는 어느 특정한 결론(선택)이 있어야 한다. 즉, 지식인과 사상의 자유는 그 기반을 지배계급에 두고 있는 것이 아닌지 하는 의문이 든다.)
추천자료
[서평 및 독후감]설득의 심리학
설득의 심리학 독후감
이철우의 '관계의 심리학'에 대한 독후감
[긍정의 심리학] 우수 독후감 요약 .정리
[리더십독후감] \'대화의 심리학\'을 읽고
[독후감] 로버트 치알디니의 <설득의 심리학>을 읽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독후감] 로버트 치알디니의 ‘설득의 심리학’을 읽고
[독후감] 나를 위한 달콤한 위로 심리학 초콜릿
[미움받을용기] 아들러, 아들러 심리학을 담은 최고의 베스트셀러 \'미움받을 용기\' 최우수...
심리학 자존감을 부탁해 슈테파니 슈탈 독후감 감상문 서평
심리학 제 3의 거장 아들러 A+ 미움받을 용기 독후감, 독서감상문 : 최우수 독후감 미움받을 ...
철학의 힘 (저자 김형철) 철학 독후감, 심리학 독후감 독서감상문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김혜남 독후감 감상문 서평!!!!!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를 읽고 독후감 서평 자신감 사회생활 유년기 심리학 사회학 대한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