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속 여성의 이미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광고속의 여성이미지 : 중국과 호주 -중국광고 속의 여성이미지 -호주광고 속의 여성이미지 -속좁은(?) 여자의 광고 보기

2.서론

3.본론
1>. 대중매체를 통해 조명되는 여성상과 남성상
◈ 패션잡지 광고에 나타난 여성상
◈ 컴퓨터 잡지에 나타난 여성상
2>. 광고 속에 성의 상품화
3>. 성차별 해소방안

4. 결론

★★★ 덧붙이는 말

본문내용

재로 대상화시킨다.
2>. 광고 속에 성의 상품화
우리는 무분별하게 쏟아져 나오는 광고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우리는 알게 모르게 광고의 공해에 시달리고 있다. 공기와 수질의 오염이 물리적인 오염이라면 광고는 정신적인 오염을 가져다 준다고 할 수 있다. 그 오염의 한가운데에 여성의 성 상품화가 있다.
짧은 시간에 잠깐 스치는 광고가 무슨 영향을 줄까도 싶지만 의외로 대중매체가 미치는 영향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 대중매체가 보여주는 남성상과 여성상은 어린이의 사회화의 모델 역할 뿐 만 아니라 성인들의 의식구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친다. 한 어린이가 성장하기까지 15만 편의 광고를 본다고 한다. 이런 광고들 속에서 여성이 어떻게 비춰지는가를 생각해 볼 때 가정을 위해 헌신만을 하고 자신을 꾸미기 위해 다이어트를 한다거나 아름답게 화장하는 모습들 밖에는 비춰지지 않을 것이다. 이것은 곧 여성은 남성을 위해 존재하고 남성에게 서비스를 하는 모습들이 나타나면서 남녀가 평등한 것이 아닌 상하 종속적 관계임을 표현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광고에서 보여지는 여성들의 모습을 대체적으로 분류해보면, 1.현모양처형 여성, 이들은 청소나 요리등 집안 일에 전념하고 아이들과 남편 뒷바라지에 희생적이며 가정에의 활동에만 만족하는 좋은 주부가 되기 위해서 애쓰는 모습으로 나타나고 있다. 2.소비적이고 호화스러운 여성, 이들은 주로 값비싼 의상이나 장신구 등으로 치장하는데 열심이며, 고가품의 소유에 관심을 갖고 여가나 여행을 위해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만족해 하는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다. 3.성적인 대상으로서의 여성, 광고하는 상품과 아무런 관련이 없는데도 여성모델이 장식적인 역할로 등장하며 유혹적으로 성적 연상을 불러일으키며 여성의 신체를 노출하는 등의 방법으로 표현되고 있다.
3>. 성차별 해소방안
하나, 여성이 매스미디어의 노예가 되지 말고 주체로서 적극적으로 매스미디어를 이용함으로써 제반 여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을 얻을 수 있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적극적인 자세로 그 내용을 선별, 비판하여 받아들이는 자세가 요구된다.
둘, 여성들의 힘을 결집할 수 있는 여성운동단체들을 이용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미디어 모니터 운동을 실시함으로써 여성들의 입장을 매스 미디어에 반영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도록 할 수 있다.
셋. 사회여론을 형성하는 매스미디어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남성임을 감안할 때 미디어 조직 내에 보다 많은 여성들이 활동 할 수 있도록 여성인력 충원의 제도적 장치를 주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넷, 사회적인 측면에서 비윤리적이고 불공정한 매스미디어 내용에 대하여 심의 규제하는 신문윤리위원회, 방송심의위원회, 언론중재위원회, 도서잡지 주간신문 윤리 위원회, 그리고 방송위원회 등의 언론유관단체를 적극 이용함으로써 미디어로부터 받는 침해나 불공정을 시정해 나가야 하며, 여성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촉구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매스미디어와 여성문제에 관한 보다 체계적인 연구들이 있어야하며, 계속적인 연구를 통해서 여성문제를 여론화하고 사회의식을 개혁시키는데 필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정부에 대한 정책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방송을 비롯한 각종 대중매체에 내용이 양성 평등적이며 민주적으로 바뀌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문제제기와 제도개선 노력, 여론의지지 확산 등을 끈질기게 추구해야 할 필요가 있다.
4. 결론
물론 위에서 거론된 광고와 잡지를 비롯한 대중매체의 내용이 전부는 아니다. 하지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것이 우리가 알지 못하는 사이에 여성이 여러 양태로 상품화되고 있다는 것은 문제이다. 이런 대중매체에 대한 비판은 없고 심지어 여성들 사이에 광고에서 보여지는 모습을 동경하거나 그것이 당연한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기까지 한다. 여자는 상품이 아니며 남성의 부속물도 아니다. 여성은 독립적인 인격체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런 질 낮은 미디어 내용에 대해 더욱 적극적으로 비판하는 자세를 길러야한다.
미디어를 통해 어떠한 이미지가 만들어졌을 때, 그것은 그 사회에 통용되고 있는 가치관과 문화를 보여 주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미디어는 어떠한 의미에서 볼 때, 문화 반영의 도구이자 동시에 문화 생산의 도구일 수 있는 것이다. 일상생활을 통해 미디어를 수없이 접하면서 그 접촉 자체만으로도 우리는 암암리에 미디어에 의해 조작된 문화를 수용하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키워드

광고,   여성,   이미지,   호주,   중국,   대중매체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1.04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647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