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는 말
2. 줄거리 및 배경과 등장인물
3. 중심 사건의 성격과 이 작품의 개성
4. 인기와 탄압의 이유
5. 국문본 발견의 의의
6. 나오는 말
2. 줄거리 및 배경과 등장인물
3. 중심 사건의 성격과 이 작품의 개성
4. 인기와 탄압의 이유
5. 국문본 발견의 의의
6. 나오는 말
본문내용
작자의 창작의식이 엿보인 점, 당대의 창작품으로 인정된 점 등의 증거가 있으며, 유형상으로 전기소설이며 국문으로 표기된 최초의 전기소설임도 알 수 있다. 그리고 단순한 전기소설이 아닌 사회 비판적인 성격을 강하게 지닌 작품이라는 것도 확인되었다. 또 이 작품이 불교소설이 아니라는 것과 몽유소설이 아니라는 것 역시 밝혀졌다. 이 작품은 불교소설과 달리 불교적인 메시지가 강하게 노출되어 있지 않고, 꿈을 매개로 저승경험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몽유소설도 아니다. 그리고 이 작품은 ‘전(傳)의 소설화’를 보여주는 사례가 아니다. 제목이 〈설공찬전〉일 경우에는 이 작품을 ‘전의 소설화’과정을 보여주는 예라고 평가할 수 있으나, 〈설공찬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오히려 소설(허구)이면서도 사실담인 양 위장한 사례의 하나로 평가되어야 한다.
6. 나오는 말
〈설공찬전〉은 우리의 고소설사를 다시 쓸 수도 있는 작품이다. 그러므로 좀더 다양한 논의와 함께 우리 소설의 형성과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단에 섰을 대 〈설공찬전〉에 대해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좋을지도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
☞이복규, 『설공찬전』, 1997년, 시인사
6. 나오는 말
〈설공찬전〉은 우리의 고소설사를 다시 쓸 수도 있는 작품이다. 그러므로 좀더 다양한 논의와 함께 우리 소설의 형성과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단에 섰을 대 〈설공찬전〉에 대해 어떻게 가르치는 것이 좋을지도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
☞이복규, 『설공찬전』, 1997년, 시인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