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소설의 사적전개
2. 고소설의 유형
3. 고소설의 특질
Ⅲ. 결론
♣. 참고문헌
Ⅰ. 서론
Ⅱ. 본론
1. 고소설의 사적전개
2. 고소설의 유형
3. 고소설의 특질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대부계층의 소설인식이 있다.
셋째, 조선조인들의 소설관이다. 經(경). 史(사) 등 점잖은 글에 대립되는 글, 雜記(잡기)에 해당되는 글 모두 포함(소설은 짧은 글을 말함)했다. 중국에서의 소설에 대한 언급은《장자》 외물편, 동한인, 환담과 《한서》예문지에서의 반고의 언급 등이 있다.
조위. 이덕문. 이식. 유몽인 등 이덕문의 소설배격론을 펼쳤는데, 소설이 역사적 사실과 다른 허구라는 점에 비판하였다. 반면, 소설의 효용가치 인정하기도 했는데 서거정. 홍만종. 양성지. 김만중. 이양오. 만하옹. 이우준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소설의 향유 양상과 독자층위는 중국계 소설·한문소설은 양반. 서리계층의 남성들이 향유했고, 국문소설은 양반사대부 집안의 여성이 주요 독자층이었다. 직업적 이야기꾼인 낭독자의 등장으로 평민. 천민계층으로 확대되었고, 방각본·목판본으로 인기작품 대량 출판해서 영웅소설 등을 유통시켰으며, 세책본이란 책대여점이 있었는데 독자후기가 있어 독자 계층을 파악할 수 있다. 딱지본(활판본)이 등장하기도 했다.
특히, 국문소설은 국문문학의 기반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근대문학성립에 큰 역할을 했고, 판소리계소설은 일상 생활어를 사용하여 언문일치 문학수립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음에 그 의의가 있다.
♣ 참고문헌
《한국문학의 이해》, 박춘우 외,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1
《한국문학개론》, 김광순 외, 경인문화사, 1996
《한국문학개론》, 김학동·박노준, 새문사, 1992
《국문학사》, 조동일·서종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2
《국문학개론》, 김광순 외, 새문사, 2003
셋째, 조선조인들의 소설관이다. 經(경). 史(사) 등 점잖은 글에 대립되는 글, 雜記(잡기)에 해당되는 글 모두 포함(소설은 짧은 글을 말함)했다. 중국에서의 소설에 대한 언급은《장자》 외물편, 동한인, 환담과 《한서》예문지에서의 반고의 언급 등이 있다.
조위. 이덕문. 이식. 유몽인 등 이덕문의 소설배격론을 펼쳤는데, 소설이 역사적 사실과 다른 허구라는 점에 비판하였다. 반면, 소설의 효용가치 인정하기도 했는데 서거정. 홍만종. 양성지. 김만중. 이양오. 만하옹. 이우준 등을 들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고소설의 향유 양상과 독자층위는 중국계 소설·한문소설은 양반. 서리계층의 남성들이 향유했고, 국문소설은 양반사대부 집안의 여성이 주요 독자층이었다. 직업적 이야기꾼인 낭독자의 등장으로 평민. 천민계층으로 확대되었고, 방각본·목판본으로 인기작품 대량 출판해서 영웅소설 등을 유통시켰으며, 세책본이란 책대여점이 있었는데 독자후기가 있어 독자 계층을 파악할 수 있다. 딱지본(활판본)이 등장하기도 했다.
특히, 국문소설은 국문문학의 기반을 확대했다는 점에서 근대문학성립에 큰 역할을 했고, 판소리계소설은 일상 생활어를 사용하여 언문일치 문학수립에 선구적인 역할을 했음에 그 의의가 있다.
♣ 참고문헌
《한국문학의 이해》, 박춘우 외, 대구대학교 출판부, 2001
《한국문학개론》, 김광순 외, 경인문화사, 1996
《한국문학개론》, 김학동·박노준, 새문사, 1992
《국문학사》, 조동일·서종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2
《국문학개론》, 김광순 외, 새문사, 2003
추천자료
중국 현대문학 ; 소설과 시
채만식 문학 연구 -풍자소설 중심으로
10대들은 왜 인터넷 소설에 열광하는가!!
허균의 생애와 한문소설 연구
홍계월전에 나타난 여성의식의 한계와 여성영웅소설의 문학사적 위치
조선시대 대표문학, 고소설 연구
포스트 모더니즘 소설
연암 박지원의 소설 속 비판관
<옥중화>,<은세계>를 통한 신작고소설과 신소설의 모색
식민지 시대의 소설
조선후기 산문문학 -소설을 중심으로-
국어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옥상의 민들레꽃을 중심으로―
박태원의《소설가 구보 씨의 일일》
[문학의이해] 다음 소설 작품 중 한 편을 골라, 교재 123~131쪽을 참고하여 등장인물의 특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