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차 -
<성격특성론>
[1] 올포트의 성격특성론
1. 성격의 구조
1) 개별특성과 공통특성
2) 특성의 조직도의 일반성
3) 고유자아
- 7가지 고유자아적 기능
<정신분석적 성격이론>
[2] 프로이드의 성격이론
1. 성격의 구조
1) 원욕(id)
2) 자아(ego)
3) 초자아(super ego)
2. 성격의 발달
1) 구강기(oral phase)
2) 항문기(anal phase)
3) 남근기(phallic phase)
4) 잠복시(latency phase)
5) 성기기(genital phase)
<행동주의적 성격이론>
[3]로터의 통제소재론
1. 기본적 개념
1) 행동의 가능성
2) 기대
3) 강화가
4) 심리학적 상황
2 내재적-외재적 통제이론
※ 참고문헌
<성격특성론>
[1] 올포트의 성격특성론
1. 성격의 구조
1) 개별특성과 공통특성
2) 특성의 조직도의 일반성
3) 고유자아
- 7가지 고유자아적 기능
<정신분석적 성격이론>
[2] 프로이드의 성격이론
1. 성격의 구조
1) 원욕(id)
2) 자아(ego)
3) 초자아(super ego)
2. 성격의 발달
1) 구강기(oral phase)
2) 항문기(anal phase)
3) 남근기(phallic phase)
4) 잠복시(latency phase)
5) 성기기(genital phase)
<행동주의적 성격이론>
[3]로터의 통제소재론
1. 기본적 개념
1) 행동의 가능성
2) 기대
3) 강화가
4) 심리학적 상황
2 내재적-외재적 통제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없다고 보는 것.
3) 강화가
- 몇 개의 강화가가 있을 때 어느 하나의 강화에 대해 다른 강화 이상으로 선택될 개인
의 선호도에 관련되어 있음. 즉, 개인이 어떤 강화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가치 정도를 나타냄.
4) 심리학적 상황
- 개인에 있어서 주관적 의미 가진 것이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은 진공상태와 같은 상황
에서는 행동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관점.
- 행동은 것이 일어나는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고, 특히 개인이 그 상황을 주관적으로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에 크게 좌우된다고 봄.
2 내재적-외재적 통제이론
사회적 학습이론에서 중요 개념 : 최소목표수준, 내재적-외재적 통제란 개념.
=> 최소목표수준 : 어떤 강화가 그 사람에게 계속해서 긍정적으로 인식되는 가장 낮은 포인트를 말함.
즉, 최소목표는 긍정적인 보상과 부정적 보상을 구분하는 선이 됨.
=> 일반화된 기대 : 사람들이 타인이나 행동, 자극 등을 범주로서 이해하고, 그 범주에 대한 기대(예상)를 일반화하는 것에 관련되어 있음.
★ 가장 중요한 일반화된 기대 : 강화의 내적 대외적 통제소재와 대인상호의 신뢰.
내적 통제 : 일어난 일을 자기 자신의 행동이나 태도의 결과로 보는 것.
특징 :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타인에 대하여 우월감 가지고 있으며
자신감이 있다. 행동은 현명하고 일을 합리적으로 처리하며, 타인에게 의존하려 하지 않는다. 미래지향적 기대를 갖고 있으며 능력이나 노력 과 같은 것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둔다. 성공욕구가 강하다.
외적 통제 : 운이나 숙명, 우연의 기회, 유능한 타인의 여향 등에 의해 일어난
결과로 보는 것.
특징 : 자신의 일들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힘을 빌려 고민을 해결하려는 행동 을 나타내며 불안감이 높아 부적응 행동을 보인다. 외적인 힘에 의해 욕구좌절 경험 시 방어기제로 공격성, 적의감을 나타낸다. 또한 권위 주의적이고, 독단적인 경향이 있다. 다른 사람으로 부터의 신뢰가 없 으며 운이나 기회에 대하여 긍정적인 가치를 둔다.
※ 참고 문헌
성격심리학의 이해 - 제 4장 中 올포트의 성격특성론, 제 5장 中 프로이트의 성격이론
제 6장 中 로터의 통제소제론 / 박아청 지음
유아동 발달의 이해 - 제 2장 아동발달의 이론 (정신분석이론)
심리학 입문 - 제 9장 성격이론 / 장현갑 외 편역
발달심리학 - 제 8장 성격 및 사회성 발달(성격발달 이론) / 송명자 저
3) 강화가
- 몇 개의 강화가가 있을 때 어느 하나의 강화에 대해 다른 강화 이상으로 선택될 개인
의 선호도에 관련되어 있음. 즉, 개인이 어떤 강화에 대해서 가지고 있는 가치 정도를 나타냄.
4) 심리학적 상황
- 개인에 있어서 주관적 의미 가진 것이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은 진공상태와 같은 상황
에서는 행동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관점.
- 행동은 것이 일어나는 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고, 특히 개인이 그 상황을 주관적으로
어떻게 지각하고 있는가에 크게 좌우된다고 봄.
2 내재적-외재적 통제이론
사회적 학습이론에서 중요 개념 : 최소목표수준, 내재적-외재적 통제란 개념.
=> 최소목표수준 : 어떤 강화가 그 사람에게 계속해서 긍정적으로 인식되는 가장 낮은 포인트를 말함.
즉, 최소목표는 긍정적인 보상과 부정적 보상을 구분하는 선이 됨.
=> 일반화된 기대 : 사람들이 타인이나 행동, 자극 등을 범주로서 이해하고, 그 범주에 대한 기대(예상)를 일반화하는 것에 관련되어 있음.
★ 가장 중요한 일반화된 기대 : 강화의 내적 대외적 통제소재와 대인상호의 신뢰.
내적 통제 : 일어난 일을 자기 자신의 행동이나 태도의 결과로 보는 것.
특징 :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고, 타인에 대하여 우월감 가지고 있으며
자신감이 있다. 행동은 현명하고 일을 합리적으로 처리하며, 타인에게 의존하려 하지 않는다. 미래지향적 기대를 갖고 있으며 능력이나 노력 과 같은 것에 대해 긍정적인 가치를 둔다. 성공욕구가 강하다.
외적 통제 : 운이나 숙명, 우연의 기회, 유능한 타인의 여향 등에 의해 일어난
결과로 보는 것.
특징 : 자신의 일들을 다른 사람으로부터 힘을 빌려 고민을 해결하려는 행동 을 나타내며 불안감이 높아 부적응 행동을 보인다. 외적인 힘에 의해 욕구좌절 경험 시 방어기제로 공격성, 적의감을 나타낸다. 또한 권위 주의적이고, 독단적인 경향이 있다. 다른 사람으로 부터의 신뢰가 없 으며 운이나 기회에 대하여 긍정적인 가치를 둔다.
※ 참고 문헌
성격심리학의 이해 - 제 4장 中 올포트의 성격특성론, 제 5장 中 프로이트의 성격이론
제 6장 中 로터의 통제소제론 / 박아청 지음
유아동 발달의 이해 - 제 2장 아동발달의 이론 (정신분석이론)
심리학 입문 - 제 9장 성격이론 / 장현갑 외 편역
발달심리학 - 제 8장 성격 및 사회성 발달(성격발달 이론) / 송명자 저
키워드
추천자료
프로이드 성격 이론-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프로이드이론]프로이드(Freud)는 누구인가, 프로이드(Freud)의 이론, 프로이드(Freud) 성격...
프로이드 발달 이론을 통한 나의 성격 분석
[성격심리]정신분석 프로이드 이론
나 자신의 성격을 분석하시오. 우선 내 성격을 성격결정요인별로 설명하고, 그 다음에는 유형...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격발달원리, 성격발달요소, 성격발달단계,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정의와 기본개념, 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격발달단계와 성격발...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발달과정과 의의,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의 인간성격구조와 인간...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를 설명하고 6세 이전에 형성된 성격은 변하기 어렵다는 프로...
프로이드(프로이트, Freud)의 성격발달단계 이론과 실제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_프로이드 정신분석이론의 성격기제
올포트(Gordon Willard Allport)의 특질이론 {올포트의 생애, 주요개념, 성격발달, 올포트의 ...
소개글